2010년 한-EU FTA 체결로 유럽연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제통상 이외에도 문화 ·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유로존 분야 역시 이해가 시급하다. 유로화의 출발은 유럽의 자본시장 통합을 촉진하고, 역내 국가 간의 무역도 증진하는 역할을 도맡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발에도 유로존 국가들은 비교적 위기를 순탄하게 대처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2009년 그리스로부터 경제 위기가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이 금융위기는 유로존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책은 유럽연합 및 유로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들을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향후 EU와 우리나라의 경제 뿐만 아니라 환경정책, 사회정책 등에 대한 문제를 폭넓게 저술하였다.
Contents
제1장 유럽통합 진행과정과 특징
1. 하나의 유럽 : 유럽인의 정체성
2. 유럽석탄철강공동체에서 유럽연합으로
3. 유럽연합의 확대 : 6개국에서 27개국으로
4. 통합의 목적 : 유럽연합과 국가간 제도화된 협력
5. 이사회의 가중다수결 : 강대국과 약소국의 힘의 균형
6. 현실적인 통합방식 : 회원국간 능력의 차이를 인정한 유연한 통합
제2장 유럽연합을 운영하는 기구
7. 유럽위원회 : 통합의 기관차
8. 이사회 : 또 하나의 행정부
9. 유럽이사회 : 최고 정점의 소통을 위한 정치적 회합
10. 유럽의회 : 명목상의 권력에서 실질적 권력으로
11. 유럽연합사법재판소와 판례 : 통합의 숨은 주역
12. 유럽관료 : 유럽연합을 운영하는 독립적인 관료집단
제3장 유럽연합의 경제통합과 대외관계
13. 공동통상정책 : 유럽의 경제적 요새화
14. 유로화 : 경제통합 완성을 위한 마지막 여정
15. 공동농업정책 : 정치적 결정이 야기한 공동정책의 폐해
16. 안보방위정책 : NATO와 협력과 갈등
17. 안보와 시장 : 주변국가 제3세계 국가와의 협력
18. ASEM : 유럽연합과 아시아의 구속력 없는 대화통로
제4장 유럽통합의 수단 : 해외원조정책과 내부통합정책
19. ODA정책 : 도덕적 책임감 혹은 불편한 진실
20. 문화정책 : 정체성 만들기
21. 지역정책 : 초심을 잃은 구조기금 쟁취전쟁
22. 유럽차원의 사회 안전망 : 회원국간 상이한 행복지수의 수렴
23. 사회적 기업의 확산 : 복지책임 분산전략
24. 사회통합 : 초국적 대응 프로그램의 배경과 한계
제5장 유럽통합의 기타 쟁점과 이슈, 그리고 한반도
25. 유럽연합의 예산 : 왜곡된 예산배분
26. 환경정책 : 연성권력의 확산 혹은 금융시장을 대체할 새로운 패러다임
27. 유럽연합과 터키 : 현실적 이해와 유럽적 정체성의 타협
28. 리스본조약 : 유럽식 연방건설을 위한 차선의 선택
29. 유로존 : 경제통합의 마지막 여정에서 직면한 높은 장벽
20. 유럽연합과 한반도 : 경제적 동반자 그리고 북한을 향한 손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