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01 DNA, 염색체, 유전체 불안정성 14
1. DNA의 구조 15
2. 진핵생물의 염색체 구조 17
3. 동원체와 텔로미어 22
4. 유전체 23
4.1 인간 유전체의 유전자 배열은 논리적이지 않다 24
4.2 반복적인 DNA는 인간 유전체의 중요요소이다 25
4.3 레트로트랜스포존은 인간 유전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27
5. 유전체의 불안정성 27
5.1 일반적인 유전체 상황 28
5.2 유전체 불안정의 원인 28
5.3 신경 질환 및 신경근육 질환에서 유전체 불안정 31
5.4. 암에서 유전체 불안정 32
02 돌연변이와 돌연변이의 원인 36
1. 돌연변이 38
1.1 돌연변이는 자연적인 상태에서도 일정한 비율로 발생하고 있다 38
1.2 DNA는 가수분해와 탈아미노화에 의해 자연적 손상이 일어난다 39
2. DNA 돌연변이의 원인 41
2.1 DNA 손상의 원인 42
2.2 DNA는 알킬화, 산화 및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는다 43
07 DNA 손상과 p53 140
1. DNA 복구와 p53 141
1.1 뉴클레오티드 절제 복구(NER)과 p53 143
1.2 염기 절제 복구에서 p53의 기능 146
1.3 Mismatch repair에서 p53의 기능 149
1.4 이중가닥 절제 복구과 재조합 과정에서 p53의 기능 150
1.5 p53과 RecQ helicase 153
2. 유전체 안정성과 p53 154
2.1 p53은 유전체 불안정성을 차단한다 155
2.2 DNA 손상은 p53을 활성화한다 157
2.3 염색체 이수성, 배수성과 p53 158
2.4 p73은 유전체의 안정성을 돕는다 160
2.5 돌연변이 p53은 ATM 경로 억제를 통해 유전적 불안정성을 증가시킨다 161
08 p53과 이동성 유전인자 163
1. 서론 164
2. 반복 요소repetitive elements에 숙주가 선택한 기능이 존재하는가? 166
3. p53 단백질은 반복 요소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167
4. p53이 반복 요소repetitive elements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작 169
5. 결론 171
09 텔로미어와 유전체 보호 174
1. 텔로미어의 구조 및 유지 174
1.1 텔로미어 DNA와 G-사중가닥체 174
1.2 쉘터린 176
2. 텔로미어 기능이상의 분자적 기반 183
2.1 유전체 불안정성에서 텔로미어 “uncapping”의 역할 183
3. 유전체 불안정성의 근원, 텔로미어 184
3.1 유전체 불안정성과 텔로머레이스 184
3.2 유전체 불안정성과 쉘터린 단백질 186
4. 텔로미어의 텔로머레이스-매개 신장 187
4.1 인간 텔로머레이스의 세포주기에 의해 조절되는 수송 187
4.2 텔로미어에 모집과 쉘터린과 연합 188
10 유전체 안정성과 CST의 역할 191
1. 텔로미어 복제과정 개요 192
2. CST 복합체 195
2.1 CST 복합체의 보존 195
2.2 DNA 결합 활성 197
2.3 DNA 중합효소 알파-프리마제의 자극 198
3. 세포 생존을 위한 CST의 중요성 199
4. 텔로미어 복제에서의 CST 역할 200
4.1 텔로머레이스 억제와 C-가닥 채우기 200
4.2 텔로미어 듀플렉스 복제 201
5. 복제 정지 후에 유전체 전체의 복제 복구에서 새로운 역할 202
5.1 반복적인 DNA 요소의 복제 202
5.2 휴면 복제원점 활성화 203
5.3 유사분열에서 복제되지 않은 DNA가 초래하는 결과 205
6. CST와 질병 206
6.1 코츠 플러스와 선천성 이상각화증 206
6.2 암 208
11 유전체 안정성과 WRN 단백질 209
1. DNA 복제기작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211
2. DNA 복구기작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213
2.1 RecQ helicase와 WRN 213
2.2 p53-매개 경로(p53-mediated pathway)에서 WRN의 역할 216
2.3 DNA repair 경로에서 WRN의 기능 218
3. 텔로미어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221
3.1 WS 세포에서 보이는 스트레스 반응과 텔로미어 기능장애 221
3.2 텔로미어에서 WRN의 역할 224
3.3 텔로미어 대사과정에서 WRN의 역할 226
3.4 mTerc-/- Wrn-/- 돌연변이 생쥐는 인간 WS(워너증후군) 모델이 된다 228
3.5 mTerc-/- Wrn-/- 세포의 텔로미어에서는 상동재조합 증가와 ALT 경로의 진행이 일어난다 229
12 유전체 불안정성과 조로증 232
1. 조로증 233
2. 워너증후군 235
3. 허친슨-길포드 조로증후군 238
3.1 샘 번스와 조로증 연구재단 240
3.2 허친슨-길포드 조로증후군 특성 242
3.3 HGPS 조로증의 원인 유전자 245
3.4 라민 A 생합성과 post-translational processing 248
3.5 HGPS 조로증에서의 유전체 불안정성 250
3.6 텔로미어 유지에 대한 라민 A의 역할 254
3.7 조로증 대사에 관한 쥐 모델 255
3.8 허친슨-길포드 조로증후군과 대사적 기능이상 256
4. 코케인증후군 257
5. 블룸증후군 259
13 색소성 건피증 261
1. XP의 역사 262
2. XP의 분자생물학 264
2.1 햇빛 노출과 피부암과의 관계 264
2.2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및 피부암 발생에서 일광화상의 역할 265
2.3 광노화의 모델 266
2.4 임상 연구 모델: 피부암의 화학예방법 267
2.5 손상인자에 대한 민감성의 특이성 268
2.6 DNA 복구-발암의 분자 메커니즘 268
2.7 신경퇴행을 동반하는 XP 272
2.8 DNA 복구장애를 가진 가족 내에서의 관계 273
14 헌팅턴 무도병 276
1. 헌팅턴병 연구의 역사 277
1.1 헌팅턴병의 발견 277
1.2 헌팅턴 유전자의 발견 278
2. 헌팅턴병의 증상 282
3. 야생형 헌팅틴 단백질: 구조 및 기능 282
4. 헌팅턴병의 발병기전 286
4.1 돌연변이 헌팅틴의 응집체 형성 286
4.2 유전자 발현의 dysregulation 288
4.3 헌팅틴은 스캐폴드 단백질로 작용한다 290
4.4 단백질 분해 시스템의 손상 290
4.5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291
4.6 응집체의 세포 간 전달 292
5. 결론 295
15 유전체 불안정성과 암 294
1. 종양형성의 주된 동력으로서의 유전체 불안정성 295
2.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기작 296
2.1 DNA 복제의 정확성 296
2.2 산발적인 DNA 손상에 대한 오류-없는 복구(error-free repair) 297
3. 유사분열 단계에서 정확한 염색체 분리 299
4. 세포주기 진행을 조정하는 체크포인트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