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ng soon

시남집 5

$34.02
SKU
9791187638964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주문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2 - Tue 05/2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ue 05/2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29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87638964
Categories 소설/시/희곡 > 고전문학
Description
유계(?棨, 1607-1664)의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유계는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이유태(李惟泰)와 함께 충청(忠淸) 산림(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진다. 17세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변화가 발생했던 시기이며, 사회경제 방면의 여러 정책과 예론에 대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충돌했던 때이다. 유계는 이 시기에 현실지향적인 측면에서 사회 모순을 개선하며 학문적으로 오랜 기간 자신이 축적한 경세론과 사회 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역사와 경전 및 예설(禮說)에 조예가 있어 우리나라의 역사와 선현의 예설 등을 참고하여 《여사제강(麗史提綱)》ㆍ《가례원류(家禮原流)》를 편찬하였다. 주자(朱子)의 경전 및 《가례(家禮)》를 바탕으로 평생 경학과 예학에 몰두하고 정리하는 일에 힘쓰고 많은 저작을 남겼다. 아울러 유계의 《시남집》에는 예학과 경세학, 사학 및 문학에 걸쳐 괄목할 만한 글이 남아 있는데 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시남집》에는 그가 추구한 사회개혁 정책과 관련한 상소문과 예론, 경세론 등 유계의 학문과 사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적지 않은 글이 실려 있다.

《시남집》은 원집(原集) 24권, 부록(附錄) 3권 합 11책과 별집(別集) 9권, 부록(附錄) 합 4책으로 총 15책이다. 서문은 송시열이 썼고 윤증(尹拯)이 발문을 썼으며, 별집 말미에는 유노환(兪魯煥)의 별집 발문이 실려 있다.

17세기 중후반 조선은 양란(兩亂) 이전부터 내려오던 폐단과 양란의 영향으로 나라의 재정과 백성의 삶이 더욱 피폐한 상태였다. 유계가 활동하던 시기는 당대 시대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이 요구되던 때였고, 현실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유계의 문집에는 경세사상과 민생에 대한 사회 정책 등의 고민이 여실이 담겨 있다.
Contents
일러두기

시남집 제24권

행장行狀
선조고의 행장 초본 先祖考狀草
선고의 행장 초본 先考狀草
공조 참의 안공 행장 工曹參議安公行狀

시남 선생 문집 발문 市南先生文集跋|윤증尹拯

시남집 부록 제1권

행장行狀
유명조선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춘추관사 예문관제학 성균관 대사성 시남 유공 행장 有明朝鮮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春秋館事 藝文館提學成均館大司成市南兪公行狀|윤선거尹宣擧

시남집 부록 제2권

음기陰記
묘표음기 墓表陰記
신도비명 神道碑銘|송시열宋時烈
묘지명 墓誌銘|문인 파평 윤증門人坡平尹拯

시남집 부록 제3권

제문祭文
사제문 賜祭文|이경휘李慶徽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은진 송시열恩津宋時烈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파평 윤문거坡平尹文擧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파평 윤문거坡平尹文擧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파평 윤선거坡平尹宣擧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월성 이유태月城李惟泰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풍양 조복양?壤趙復陽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풍산 홍주원?山洪柱元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안동 권준安東權儁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문인 파평 윤증門人坡平尹拯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문인 파평 윤증門人坡平尹拯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황산서원 유생 소집중 등 黃山書院儒生蘇執中等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성곡서원 유생 한수신 등 星谷書院儒生韓秀臣等
시남 선생에 대한 제문 祭市南先生文|문인 파평 윤추門人坡平尹推

만장挽章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송시열宋時烈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송준길宋浚吉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정유성鄭維城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강尹絳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조복양趙復陽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홍주원洪柱元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박장원朴長遠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일상李一相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김좌명金佐明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순거尹舜擧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문거尹文擧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선거尹宣擧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선거尹宣擧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원거尹元擧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유태李惟泰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증尹拯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민정중閔鼎重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단상李端相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김수흥金壽興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김수항金壽恒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김만기金萬基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상진李尙眞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경휘李慶徽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경억李慶億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시매李時?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민서李敏敍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강백년姜柏年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윤형성尹衡聖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박세견朴世堅
시남 선생 만사 市南先生挽|이익상李翊相

통문通文
임천서원 영건할 때의 통문 林川書院營建時通文|윤증尹拯

소疏
임천 유생이 서원 세우기를 청하는 상소 林川儒生請建書院疏|조지겸趙持謙

축문祝文
임천 칠산서원 춘추 석채 축문 林川七山書院春秋舍菜祝文|송시열宋時烈

서書
육진 유생이 북평사 이단하 께 올려 부계서원에 병향할 것을 청하는 글 六鎭儒生 上北評使 李端夏 請?溪書院幷享書|오두남 등吳斗南等

시남집 별집 제1권

시詩
이일경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一卿
연경으로 가는 정 간의를 전송하다 送鄭諫議赴燕
성 위에서 윤경임과 이별하다 城上 別尹景任
완산을 지나며 過完山
강파 조박 어른의 시에 차운하다 次江?趙丈 璞 韻
이 진사에게 주다 贈李進士
동지 한탁 만사 挽韓同知 琢
작천주인에게 이별하면서 남겨주다 留別鵲川主人
조자현 전소 에게 주다 贈趙子玄 全素
이청지에게 주다 贈李淸之
북계 어른에게 드리다 呈北溪丈
함경과 함께 서헌에서 취하다 與咸卿醉西軒
해남으로 가는 박자수 유준 를 전송하다 送朴子秀 惟儁 之海南
현재에서 북쪽으로 돌아가는 김일우 어른과 이별하다 縣齋 別金一愚丈北歸
웅현 길가에서 熊峴道上
시냇가에서 취해 김중문에게 주다 溪上醉贈金仲文
이함경이 금성으로 옮겨 부임하였기에 취한 뒤에 써서 주다 李咸卿移任錦城 醉後書贈
이자방 시필 이 찾아오다 李子芳 時苾 來訪
북쪽으로 돌아가는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北歸
임천 집으로 돌아와 고을 사람이 준 시에 차운하다 歸林廬 次鄕中人見贈韻
여산 군수 권호연 성원 이 찾아오다 礪山使君權浩然 聖源 歷訪
첨지 이심에 대한 만사 挽李僉知 諶
정윤승에 대한 만사 挽鄭生 允升
도화숙 거원 과 함께 남강에 배를 띄우다 與都和叔 擧元 泛舟南江
노서의 경사스러운 잔치에서 취해서 짓다 魯西慶筵醉題
청천에서 화분의 매화를 읊어 송영보의 부채에 쓰다 淸川詠盆梅 題宋英甫扇面
금강 도중에 金江道中
3월 삼짇날 술을 마주하여 북쪽 나그네에게 주다 三三日 對酒贈北客
집의 곽지흠 만사 挽郭執義 之欽
이보우에 대한 만사 挽李普雨
서림 이 사또의 시에 차운하다 次西林李使君
거산 독우 박태현을 전송하다 送居山督郵朴太玄
이른 봄에 早春
감회 感懷
족숙 수증에 대한 만사 挽族叔 守曾
북쪽 변방으로 가다가 양주 길가에서 아우 유동연과 헤어지다 赴北塞 楊州道上 別柳弟 東衍

시남집 별집 제2권

소疏
산릉을 간심하라는 명을 환수할 것을 청하는 상소 請還收山陵看審之命疏
산릉을 거듭 살피는 행차에 가지 못해 대죄하는 상소 未赴山陵再審之行待罪疏
판중추부사 송시열을 만류할 것을 청하는 차자 請勉留判中樞宋時烈箚
양현의 종사를 청하는 상소 請兩賢從祀疏
양현의 종사를 청하는 상소 두 번째 상소 請兩賢從祀疏 再疏
양사를 처치하는 것을 사양하는 옥당의 상소 玉堂辭處置兩司疏
양현에 대한 무고를 변론하는 상소 兩賢辨誣疏
양현을 변무하고 종사할 것을 청하는 상소 請兩賢辨誣從祀疏
선영에 흙을 더 얹는 일을 청하는 상소 請加土先壟疏

시남집 별집 제3권

차箚
왕위를 계승하기를 청하는 차자 기해년 請嗣位箚 己亥
권도를 따를 것을 청하는 두 번째 차자 請從權第二箚
권도를 따를 것을 청하는 세 번째 차자 請從權第三箚
권도를 따를 것을 청하는 네 번째 차자 請從權第四箚
권도를 따르기를 청하는 다섯 번째 차자 請從權第五箚
권도를 따를 것을 청하는 여섯 번째 차자 請從權第六箚
권도를 따르기를 청하는 일곱 번째 차자 請從權第七箚
능행을 멈추기를 청하는 차자 請停陵幸箚
능행을 멈추기를 청하는 차자 두 번째 차자 請停陵幸箚 再箚
능행을 멈추기를 청하는 차자 세 번째 차자 請停陵幸箚 三箚
능행을 멈추기를 청하는 차자 네 번째 차자 請停陵幸箚 四箚
삭전과 우제를 친히 행하지 말기를 청하는 차자 請勿親行朔奠虞祭箚
삭전과 우제를 친히 행하지 말기를 청하는 차자 두 번째 차자 請勿親行朔奠虞祭箚 再箚
Author
유계,이상수,오승준,임현정,이재숙
1607(선조40)~1664(현종5). 조선 중기의 인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1630년(인조8) 진사과에 합격하고, 163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시강원 설서로서 척화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성립되자 임천(林川)에 유배되었다. 1639년에 풀려났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금산(錦山)의 마하산(麻霞山)에 산천재(山泉齋)를 짓고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646년 무안 현감이 되었다. 1649년 인조 사후에 인조의 묘호를 정하는 일에 반대하여 선왕을 욕되게 했다는 죄로 효종의 노여움을 사 1650년(효종1)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영월(寧越)로 이배되었다. 1652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다시 등용되어 대사간·대사성·부제학·대사헌·이조 참판·도승지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시남집(市南集)》, 《가례원류(家禮源流)》, 《여사제강(麗史提綱)》이 전한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이유태(李惟泰)·윤선거(尹宣擧)와 더불어 충청 오현(忠淸五賢)으로 일컬어졌다.
1607(선조40)~1664(현종5). 조선 중기의 인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1630년(인조8) 진사과에 합격하고, 163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시강원 설서로서 척화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성립되자 임천(林川)에 유배되었다. 1639년에 풀려났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금산(錦山)의 마하산(麻霞山)에 산천재(山泉齋)를 짓고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646년 무안 현감이 되었다. 1649년 인조 사후에 인조의 묘호를 정하는 일에 반대하여 선왕을 욕되게 했다는 죄로 효종의 노여움을 사 1650년(효종1)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영월(寧越)로 이배되었다. 1652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다시 등용되어 대사간·대사성·부제학·대사헌·이조 참판·도승지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시남집(市南集)》, 《가례원류(家禮源流)》, 《여사제강(麗史提綱)》이 전한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이유태(李惟泰)·윤선거(尹宣擧)와 더불어 충청 오현(忠淸五賢)으로 일컬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