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대학교육의 미래

$20.41
SKU
97911922751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Mon 05/2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6 - Mon 05/2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4/19
Pages/Weight/Size 150*210*20mm
ISBN 9791192275185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AI 혁명 대전환의 시대,
6인의 교육자가 찾은 대학교육의 미래


『AI시대 대학교육의 미래』는 대학의 총장, 교수로서 교육혁신의 최전선에 서 있는 6명의 저자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대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 책이다. 챗GPT, 생성형 AI 등 AI의 발전은 ‘불의 발견’에 버금가는 문명사적 사건이다. 인류 문명은 대전환기를 맞이했으며, 학생들이 사회에서 활동할 즈음에는 일자리는 물론, 인간의 역할도 크게 변할 것이다. 그러나 미래를 준비해야 할 핵심 제도인 교육은 과거의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AI시대,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저자들은 학생들이 폭넓은 시야와 횡단적 사고능력을 갖추고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를 위해 혁신적 교육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첨단과학 전문가의 기술 발전에 대한 분석과 인문사회학자의 통찰을 더해 교육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
Contents
서문

1장 디지털 문명시대의 고등교육 패러다임 대전환 염재호

1. 들어가며
2. 교육을 변화시켜야 할 시점
3. 디지털 혁명과 비대면 원격교육
4.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5. 문명전환기의 교육혁신
6. 우리나라 교육혁신의 사례들
7. 나가며

2장 AI 혁명과 대학의 역할 이광형

1. 들어가며
2. AI 혁명과 한국의 미래 산업 전략
3. AI 혁명과 미래산업을 위해서 대학이 가야 할 길
4. 나가며: AI시대 한국 대학 제도의 방향

3장 문명전환기 미래충격과 대학혁신 박명규

1. 들어가며: 일상화된 미래충격
2. 제도지체와 교육 위기
3. 대학혁신의 향방과 네 영역의 과제
4. 나가며

4장 AI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교육 장병탁

1. 들어가며: AI 개념과 원리
2. AI의 발전
3. AI와 인간의 능력 차이
4. AI시대 인재상과 교육
5. 나가며

5장 대학교육과 도구로서의 생성형 인공지능 박섭형

1. 들어가며
2. 딥러닝의 약진: 알파고에서 거대언어모델까지
3. 에듀테크와 AI
4. 생성형 AI를 결합한 대학교육
5. 나가며

6장 불확실성의 시대, ‘소확행’으로부터 대학 구하기: 통합과 연결의 플랫폼 대학 생태계 조영헌

1. 들어가며: 불확실성의 시대, 확실하게 길을 잃어버린 대학
2. 언제, 어디서 길을 잃어버렸나?: ‘소확행’ 추구와의 관련성
3. ‘대학(大學)’이란 무엇인가?: ‘소학(小學)’과의 차이
4. 사례: 대운하시대 담론의 형성과정에서 연구와 교육의 통합과 연결
5. 나가며: 통합과 연결의 플랫폼 대학 생태계를 꿈꾸다

지은이 소개
Author
염재호,이광형,박명규,장병탁,박섭형,조영헌
1955년 생. 고려대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정경대학 행정학과 교수를 거쳐 고려대 총장을 역임했다. 일본 히토츠바시대와 쓰쿠바대, 호주 그리피스대, 영국 브라이튼대, 중국 인민대와 북경대 등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도 연구하고 가르쳤다. 한국의 교육과 연구 발전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한국고등교육재단 이사, 한국과학재단 이사 등을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장, 국회 예산정책자문위원 등의 활동을 통해 국가정책을 자문했다. <사회비평>과 Asia Research Policy 등의 편집장을 역임하고 한국정책학회 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산학연네트워크포럼 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現代韓國の市民社會と利益團體》(2004, 東京: 木鐸社),《일본 과학기술개발의 네트워크화 현황과 전망》(1997),《딜레마 이론》(1994) 등이 있다.
1955년 생. 고려대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정경대학 행정학과 교수를 거쳐 고려대 총장을 역임했다. 일본 히토츠바시대와 쓰쿠바대, 호주 그리피스대, 영국 브라이튼대, 중국 인민대와 북경대 등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도 연구하고 가르쳤다. 한국의 교육과 연구 발전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한국고등교육재단 이사, 한국과학재단 이사 등을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장, 국회 예산정책자문위원 등의 활동을 통해 국가정책을 자문했다. <사회비평>과 Asia Research Policy 등의 편집장을 역임하고 한국정책학회 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산학연네트워크포럼 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現代韓國の市民社會と利益團體》(2004, 東京: 木鐸社),《일본 과학기술개발의 네트워크화 현황과 전망》(1997),《딜레마 이론》(199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