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

$30.24
SKU
97911586675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5866756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선시대 제주는 한반도 내륙과 떨어진 독특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문화적으로도 뚜렷한 차별성을 드러냈다. 따라서 중앙에서는 제주를 국가체제 안으로 동화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다. 조정에서는 지방관을 파견해 행정적 통치 아래에 두는 동시에 유배 간 지식인들은 주자학적 가르침을 전파하면서 문화적 동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제주문화의 특수성은 뿌리 깊게 자리해 쉽게 근절되지 않았다. 18세기 초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형상의 경우가 대표적 예이다. 그는 유교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풍속 교화를 시도했지만, 무격들의 파행을 끝내 단절하지 못했다. 이처럼 조선시대 제주는 중앙과 팽팽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며 보편성과 특수성 사이에서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 책은 이러한 제주문화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지식문화, 지리공간, 경제환경, 생활문화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조선시대 제주문화를 재검토한다. 역사학·지리학·미술사학·민속학·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종합하여 조선시대 제주문화가 육지와의 교류와 갈등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했는지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Contents
제1부 지식문화와 인간

조선시대 제주학풍의 형성과 전개_김학수
Ⅰ. 머리말
Ⅱ. 15~16세기 주자학적 지식문화의 갈래
Ⅲ. 17세기 주자학풍의 강화
Ⅳ. 17세기 이후 기호·영남학풍의 이원적 수용과 전개
Ⅴ. 맺음말

제주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_이남옥
Ⅰ. 머리말
Ⅱ. 이형상의 누습 인식과 풍습 교화
Ⅲ. 이형상의 폐정 인식과 개혁 정책
Ⅳ. 맺음말

제주 도학자 변경붕의 철학사상_이창일
Ⅰ. 머리말
Ⅱ. 기호학파의 표준 입장
Ⅲ. 실존적 문제의 성리학적 해석
Ⅳ. 미완의 유서와 박물학적 관심
Ⅴ. 맺음말

제주 인쇄문화의 전개와 가치_김소희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Ⅲ. 조선 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Ⅳ. 제주 인쇄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제2부 지리환경과 공간

제주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_정치영
Ⅰ. 머리말
Ⅱ. 제주의 자연환경
Ⅲ. 제주의 인문환경
Ⅳ. 맺음말

지도와 기록화로 본 조선 후기 제주 문화와 공간_정은주
Ⅰ. 머리말
Ⅱ. 제주지도의 변천
Ⅲ. 제주 공마 목장의 운영
Ⅳ. 제주 지방관의 순력과 명승유람
Ⅴ. 맺음말

신광수의 「탐라록」과 조선 후기 지식인의 제주 인식_박용만
Ⅰ. 머리말
Ⅱ. 지방관과 유배 지식인의 서로 다른 제주 인식
Ⅲ. 「탐라록서」에 나타난 당대 문인들의 인식
Ⅳ. 「탐라록」 수록 한시에 흐르는 시적 정서
Ⅴ. 맺음말

제3부 경제활동과 보건환경

제주 토지 소유와 매매의 한 양상_정수환
Ⅰ. 머리말
Ⅱ. 진주강씨의 사회적 위상과 토지 확보
Ⅲ. 명문을 통해 본 제주 토지 매매의 특징
Ⅳ. 맺음말

국가 의례와 제주 흑우 공급_이욱
Ⅰ. 머리말
Ⅱ. 희생제와 흑우 소용
Ⅲ. 흑우 진공 수효의 증가
Ⅳ. 흑우 목양과 수송
Ⅴ. 우역의 성행과 대응
Ⅵ. 흑우의 제향 공급
Ⅶ. 맺음말

제주 의료환경의 주변적 성격_김호
Ⅰ. 머리말
Ⅱ. 제주 약재 공급과 약국 운영
Ⅲ. 제주목사의 의료환경 조성
Ⅳ. 주변성에서 오는 제주의 열악한 보건환경
Ⅴ. 맺음말

제4부 생활문화의 다채성

제주 신화에 담긴 생활문화와 그 의미_강문종
Ⅰ. 머리말
Ⅱ. 신들의 옷과 집
Ⅲ. 신들의 음식
Ⅳ. 신들의 가정 불화
Ⅴ. 신들에게 중요한 나이 15세
Ⅵ. 신들의 사랑과 불륜
Ⅶ. 맺음말

갓 문화를 통해 본 제주 복식의 다름과 습합_이민주
Ⅰ. 머리말
Ⅱ. 제주 풍속과 복식
Ⅲ. 제주의 모자
Ⅳ. 갓 문화로의 습합
Ⅴ. 맺음말

조선 향약의 현대적 실천, 가시리의 마을만들기_한도현
Ⅰ. 제주도 마을의 원리로서 향약
Ⅱ. 제주 가시리의 향약과 마을만들기
Ⅲ. 커머닝의 실천과 현실 유토피아의 건설
Author
김학수,이남옥,이창일,김소희,정치영,정은주,박용만,정수환,이욱,김호,강문종,이민주,한도현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한강학의 형성과 지식문화적 공간의 확장』, 『백곡 정곤수』 등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한강학의 형성과 지식문화적 공간의 확장』, 『백곡 정곤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