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의 지배와 왜곡

$24.95
SKU
97889472866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29
Pages/Weight/Size 162*235*30mm
ISBN 9788947286671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이 책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과 관련하여 꼭 알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이슈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가 플랫폼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주목하고 경계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으며, 플랫폼 기업과 국가가 이용자와 국민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과 해답을 던지고자 하였다. 디지털 플랫폼이 가져오는 편의성과 효율성을 거부하자는 반기술주의적 러다이트(Luddite) 관점이 아니라 그것이 가져오는 사회 제반에 미치는 영향력 차원에서 관심과 감시가 필요하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함이다. 이 책은 전체 3부로 나누어 총 9개의 챕터로 구성하였다.
Contents
제1부 디지털 플랫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장 생존재로서의 디지털 플랫폼 10
1. 디지털 플랫폼은 우리의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11
2. 디지털 플랫폼은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18
3. 디지털 플랫폼은 자본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8
4.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사회적 감시는 왜 필요한가? 34

2장 글로벌 거대 플랫폼 기업의 초국가적 지배 42
1.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지역 분포 43
2.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수익 창출 전략 49
3. 국가를 넘어선 글로벌 플랫폼의 영향력 60
4. AI에 의한 거대 플랫폼의 지배력 강화 64

제2부 초연결 사회의 디지털 플랫폼 리스크

3장 커뮤니케이션 : 왜곡 76
1. 챗GPT의 사회적 파장 77
2. 공론장 기능의 변화와 해체 85
3. 소셜 미디어의 관계 왜곡 91
4. 초연결 사회의 병리적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논란 102

4장 소비 : 의식의 산업화 108
1. 주목 경제의 작동 시스템 109
2. 지불 수단으로서의 개인 데이터 116
3. 관심 추적 기술의 진화 124
4. 데이터 경제의 명암 131

5장 노동 : 위험 관리의 개인화 142
1.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확산 143
2. 디지털 플랫폼의 유령 노동 149
3.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의 지위 154
4. 디지털 플랫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국제적 노력 169

6장 시장 : 디지털 식민화 174
1. 디지털 식민화의 개념과 수단 175
2. 플랫폼 영향력의 지배와 국익 갈등 184
3. 글로벌 OTT의 시장 지배 191
4.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의 동반 성장을 위한 국제적 노력 199

3부 디지털 시민권 보호를 위한 책무와 규제

7장 디지털 정체성과 디지털 시민권 208
1. 디지털 정체성의 개념과 중요성 209
2. 디지털 시민의 권리와 책임 212
3. 디지털 미디어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218
4. 디지털 시민권 보호를 위한 국내외 조직과 활동 233

8장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책임과 자율 규제 240
1.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241
2. 플랫폼 기업 자율 규제의 가능성과 한계 245
3. 국내 플랫폼 자율 규제의 특징 252
4. 디지털 플랫폼 자율 규제를 위한 선결 요건 260

9장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재구조화 272
1.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불확실성과 가치 충돌 273
2. 글로벌 플랫폼 규제 법제와 함의 280
3. 국내 디지털 플랫폼 관련 규제 법제 293
4.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재구조화를 위한 두 가지 질문 300
Author
정인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하였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새로운 방송론』(2017, 공저),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현대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가 국내 영화 VOD 공급구조에 가져온 변화와 함의 : 홀드백 구조 변화와 갈등이슈를 중심으로”(2021), “글로벌 OTT의 확산에 따른 미래 예측과 정책 대응”(2020), “방송정책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한 평가”(2019), “방송법 개정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방송정책수단’의 변화와 함의분석”(2018) 등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하였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새로운 방송론』(2017, 공저),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현대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가 국내 영화 VOD 공급구조에 가져온 변화와 함의 : 홀드백 구조 변화와 갈등이슈를 중심으로”(2021), “글로벌 OTT의 확산에 따른 미래 예측과 정책 대응”(2020), “방송정책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한 평가”(2019), “방송법 개정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방송정책수단’의 변화와 함의분석”(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