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돈이 통서의 감정과학

국민대학교 문화교차연구소 성리학의 감정과학 연구총서 2
$22.68
SKU
979114107354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23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91141073541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聖人의 본질인 誠은 ‘순수지선’(純粹至善)입니다. 지금 우리 자신의 몸에 고유한 영원의 본성이 純粹至善이며, 몸으로 생겨나 몸으로 존재하는 자연의 모든 것(만물)이 純粹至善을 자기 본성의 필연성으로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돈이가 『통서』에서 주장하는 몸 그 자체의 본성으로서 純粹至善은 절대적으로 몸의 감각적인 현상이나 행동에 의해서 설명되거나 규정되지 않습니다. 이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몸 그 자체의 본성으로 존재하는 영원무한의 생명과 사랑이 純粹至善입니다. 이것 이외 그 어떤 것으로도 純粹至善을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습니다.
Contents
· 서문 1: 성리학의 감정과학 출판 소개 … 13
· 서문 2: 감정과학의 ‘성리학 장르’ 분석 … 19
· 서문 3: ‘참고문헌’에 관하여 … 49
  
제1부 선험(性) · 분석(理)
: 사람의 성스러움

 
1장. 선험(性) · 분석(理) … 57
2장. 선험(性) · 분석(理)의 진실 … 75
3장. 선험(性) · 분석(理)의 변용 … 79
4장. 선험(性) · 분석(理)의 후험(情) · 분석(理)
… 91
5장. 믿음의 과학, 후험(情) · 분석(理) … 103
6장. 후험(情) · 분석(理)에 존재하는 神 … 109
7장. 神의 본성으로 존재하는 사람의 성스러움
… 121
8장. 道德의 기원 … 129
9장. 지금 우리의 성스러운 人生 … 133
  
제2부 후험 (情) · 분석 (理)
: 통서의 감정과학

 
1장. 선험(性) · 분석(理)의 中 … 141
2장. 후험(情) · 분석(理)의 中節 … 151
3장. 감정과학의 論理 구조 … 159
4장. 뉘우치며 사는 성스러운 幸福 … 163
5장. 감정과학의 方法 … 169
6장. 감정과학의 功效 … 181
7장. 心의 후험(情) · 분석(理) 인식 … 185
8장. 情다운 세상의 예술 … 199
9장. 神을 향한 지적인 사랑 … 209
 
 제3부 후험 (情) · 종합 (氣)
: 감정과학의 행복

 
1장. 지금 나의 완전성 … 219
2장. 가장 귀한 지금 나의 몸 … 229
3장. 뉘우치며 사랑하는 아름다움 … 231
4장. 감정과학을 배우는 행복 세상 … 239
5장. 감정의 자기이해 … 243
6장. 감정을 향한 지적인 사랑 … 247
7장. 부귀빈천 모두가 다 좋은 세상 … 251
8장. 영원한 순수지선 안에서 … 253
9장. 감정과학의 신학정치교육학 … 255
Author
성동권
성균관대학교에서 맹자(孟子)의 사단확충(四端擴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 조교수(감정과학전공)로 '감정과학'(Science of Feelings)을 공부하고 있고, '감정과학연구소'에서 감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서 찾고 있다. 저서로는 ‘칸트의 순수이성 재고(再考)’, ‘평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 ‘전쟁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맹자(孟子)의 사단확충(四端擴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 조교수(감정과학전공)로 '감정과학'(Science of Feelings)을 공부하고 있고, '감정과학연구소'에서 감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서 찾고 있다. 저서로는 ‘칸트의 순수이성 재고(再考)’, ‘평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 ‘전쟁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