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국한회어의 한중 동형이의어를 중심으로
$28.58
SKU
97911674263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6 - Wed 05/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3 - Wed 05/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28
Pages/Weight/Size 153*225*11mm
ISBN 9791167426307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현대의 한중 동형이의 2자 한자어를 대상으로, 한국어사 자료 중심의 의미 변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해석하는 데 있다. 책 제목에도 반영되어 있듯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 가운데 형태는 동일하나[同形] 의미를 달리하는[異義] 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며, 연구의 초점은 해당 한자어들이 한국어 체계 속에서 겪은 통시적 이의 형성 과정을 한국어사 자료에 근거하여 상정하는 데 두었다.

요컨대 한중 동형이의어 의미 변화의 결과를 판단하고 분류하기에 앞서 마땅히 현대의 의항 비교를 토대로, 각자의 언어 체계 내에서 의미 변화의 과정을 자세히 살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글은 ‘모든 단어는 각자의 역사를 지닌다(Every word has its own history)’는 역사언어학의 명제를 전제로, 한국어사 문헌 자료가 반영하는 어휘 사실 자체에 근거하여 의미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탐구하는 어휘사 특히 의미사 본연의 과제를 수행하려 한다. 즉 기존에 현대 한중 동형이의어를 다룬 논의들의 중점이 이의 비교 및 의미 변화의 결과 분류에 놓여 있었다면, 이 글의 중점은 해당 동형이의 한자어가 한국어 체계 속에서 그러한 이의를 형성하게 된 통시적 과정을 고찰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이 책의 전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사, 연구 방법을 자세히 언급하고, 인용 자료를 정리하여 제시한다. 다음, 연구 방법에서 제시한 연구 대상 분류 기준에 따라 연구 대상 어휘들을 각각 한자어 내부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제2장), 연어 관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제3장), 구문 층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제4장) 등으로 나누어 자세히 기술하고 분석한다. 마지막 제5장은 결론으로,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를 피력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1) 한자어 전반에 대한 사적 연구
2) 개별 한자어의 의미사(意味史) 연구
3) 한중 동형이의어에 대한 연구
3. 연구 방법
1) 기본 방법
2) 연구 대상 선정
3) 연구 대상 분류
4. 논의 구성
5. 인용 자료
① 15세기
② 16세기
③ 17세기
④ 18세기
⑤ 19세기
⑥ 20세기

제2장

한자어 내부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期於(X)’
1) 현대 한국어 ‘期於(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2. ‘一切’
1) 현대 한국어 ‘一切’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3. 기타 한자어

제3장

연어 관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工巧(X)’
1) 현대 한국어 ‘工巧(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2. ‘慇懃’?131
1) 현대 한국어 ‘慇懃(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3. 기타 한자어

제4장

구문 층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已往’
1) 현대 한국어 ‘已往’의 의미적 특징
2) ‘已往’의 통시적 변화
3) 소결
2. ‘放心’
1) 현대 한국어 ‘放心’의 의미적 특징
2) ‘放心’의 통시적 변화
3) 소결
3. ‘若干’
1) 현대 한국어 ‘若干’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변화
3) 소결
4. ‘如干’
1) 현대 한국어 ‘如干’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변화
3)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Author
마원걸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 문학사.
중국 연변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언어문학학과 조선언어학 전공 문학석사.
한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문학박사.
중국 산동대학교 동북아대학 한국학과 조교수.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 문학사.
중국 연변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언어문학학과 조선언어학 전공 문학석사.
한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문학박사.
중국 산동대학교 동북아대학 한국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