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 에듀케이션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교육학 창조
$27.39
SKU
979116519457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0 - Thu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7 - Thu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15
Pages/Weight/Size 176*248*20mm
ISBN 9791165194574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네오에듀케이션 1판이 나온 지 4년이 조금 지났다. 2019년 8월에 초판이 나왔으니, 2020년 초반부터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이 거의 겹치는 시기에 학생들과 함께 했다. 힘겨운 시간이었다. 교육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양상들이 등장했다. ‘대면’ 수업이냐? ‘비대면’ 수업이냐? ‘동영상 녹화’ 강의냐? ‘실시간 화상’ 강의냐? 등등, 첨단과학기술문명과 더불어 역동성을 더하는 거대한 전환이 교육으로 파고들었다. 그것은 인간 사회 전체를 새로운 카오스(Chaos)의 시공으로 삼키는, 삶의 대전환이었다. 텍스트와 이미지, 오디오와 영상, 검색 엔진과 데이터, 광고와 마케팅, 콘텐츠와 미디어, 금융과 회계, 법률, 디자인 등 사회를 이끌어가는 수많은 영역에서 다양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고, 이들은 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게 뭐지? 단순하게 변화(變化: change)라는 말로 해소하기에는 너무나 거대한 물결이다. 인간의 ‘수명(壽命)’과 첨단과학(尖端科學)의 두 영역에 관한 현재의 분석을 언급하면서 고심(苦心: 高深)해 본다. 이런 변화 앞에서 ‘교육’은 무엇이어야 할까? 어떤 물결을 타고 가야 할까?

인간의 수명? 젊고 오래 사는 시대가 온다. 인류는 머지않아 30대의 몸으로 150세 이상 살게 된다. 인간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렇게 된다. 노화(老化)와 장수(長壽)에 관한 인식이 전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상당수의 전문가들이 인간의 수명이 파격적으로 연장되고 거의 모든 인류가 장수하는 시대가 온다고 입을 모은다. 인류가 단순히 죽지 않고 오래 사는 상황이 아니라, 노화 자체를 예방하고, 멈추게 만들고, 역전시켜, 젊음을 유지한 채 오래 사는 상태가 온다는 의미다. 150세나 200세까지 살게 된다면, 인생은 어떠해야 하는가? 전통적으로 교육을 인생의 원형적 현상으로 정돈하곤 했는데, 이런 시대의 교육은 무엇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

거기에 더해지는 첨단우주과학 기술문명? 인공지능(AI), 그것도 생성형 인공 지능의 문제가 교육에서 뜨거운 논쟁거리다. 특히, 챗 지피티(Chat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가 문제다. 챗 지피티로 만든 교육의 양상은 스스로 학습하고 사고하여 펼쳐낸 결과물이 아니다. 타인이 대신 만들어준 것과 다름없다. 물론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혁신의 도구로 활용할 수는 있다. 교육의 방식 자체를 전환시킬 수도 있다. 이미 이런 기술을 활용한 교육콘텐츠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런 첨단기술 문명의 진보가 인류의 교육을 담보하는가?

이런 상황을 앞에 두고, 교육학 원론에 해당하는 전통 방식의 교재를 다시 출간한다는 것이 매우 엄중하게 느껴졌다. 그래도 학생들에게 교육(학)에 관한 관점과 교육을 마주하는 자세를 소통해야 하는 것이 교육자의 임무 아니던가! 균형 잡힌 시각과 비판적 태도,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진보적 자세를 가질 수 있기를 소망하며, 초판에 없던 내용을 상당 부분 보완했다.

기본적으로 초판의 체제를 유지하되, 초판에 없던 동양의 전통 교육, 평생교육(성인교육), 교사에 관한 내용 등을 집중적으로 추가하였다. 또한 매 강의마다 논의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논쟁의 양식을 바꾸었다. 초판에서 제시했던 ‘강(講)-습(習)-토(討)-론(論)’의 양식은 학생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전통 수업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롭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서 고등교육의 참 맛을 보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이를 단순화하고 명확한 형식으로 전환하여, 매주 수업에서 활성화를 기하도록 고민했다. 교육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학생들의 성장과 진보가 이루어지기를 소망할 뿐이다. 마지막으로 개정판을 제안해준 박영스토리 노현 대표와 편집을 맡아 고생해 준 배근하 선생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Contents
제1강
교육의 근거
주제 1) 대한민국 교육의 근거-?대한민국헌법? 제31조 / 15
주제 2) 대한민국 교육의 근거-?교육기본법? / 18
보 론 / 20
논 의 / 24

제2강
‘교육’의 동양적 개념
주제 1) 한국어[한글]에서 ‘가르치다’와 ‘기르다’의 뜻 / 29
주제 2) 한자[漢字]에서 ‘교육(敎育)’의 의미 / 33
보 론 / 37
논 의 / 42

제3강
‘교육’의 서구적 개념
주제 1) 서구교육의 기원: 고대 그리스의 ‘파이데이아(paideia)’ / 47
주제 2) 서구 교육개념의 중심: 에듀케이션(education)?
페다고지(pedagogy)?빌둥(Bildung) / 49
보 론 / 51
논 의 / 54

제4강
교육을 정의하는 방식
주제 1) 교육의 목적론적 정의: 규범적 정의 / 59
주제 2) 교육의 기능적?조작적 정의 / 61
보 론 / 63
논 의 / 70

제5강
교육의 본질 탐구
주제 1)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유전과 환경 요인 / 75
주제 2) 교육의 필요성: 준비?가치?문화?능력 / 77
보 론 / 81
논 의 / 88

제6강
‘교육’의 공간
주제 1) 교육의 공간 변화 추세 / 93
주제 2) 교육공간 확장의 정당성 / 95
보 론 / 101
논 의 / 108

제7강
‘교육’의 시간
주제 1) 교육의 시간 변화 / 113
주제 2) 평생학습교육의 중요성 / 115
보 론 / 118
논 의 / 124

제8강
교육의 기본 요소
주제 1) 교육의 3요소: 교육자[교사]-교육내용[매개]-
학습자[학생] / 129
주제 2) 교육자의 개념 / 131
보 론 / 133
논 의 / 140

제9강
교육자에 대한 이해
주제 1) 세 가지 교직관 / 145
주제 2) 교육자의 권리와 권익 / 148
보 론 / 151
논 의 / 164

제10강
‘교육학’의 성립과 학문적 성격
주제 1) 교육학의 성립 / 169
주제 2)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171
보 론 / 175
논 의 / 182

제11강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새로운 교육(학)의 모색
주제 1) 시대정신 / 187
읽기 자료
1. ?대한민국헌법?의 ‘교육’ 관련 조항 변천사 / 192
2. 군자교육: 공자의 [논어] / 205

3. 이데아교육: 플라톤의 [국가] / 213

4. 지도자교육: 유교의 [대학]·[중용] / 218

5. 각성교육: 불교의 세계관과 인간관 / 225

6. 시민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 237

7. 학문교육: 유교의 견해들 / 249

8. 격몽교육: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 / 253

9. 자연교육: 루소의 [에밀] / 260

10. 인간교육: 칸트의 [교육학 강의] / 285

11. 완전한 삶을 위한 교육: 허버트 스펜서의 [교육론] / 296

12. 육체노동교육: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 302

13. 생활경험교육: 존 듀이의 [나의 교육신조] / 307

14. 유용한 교양교육: 화이트헤드의 [교육의 목적] / 320

15. 자유평화교육: 몬테소리의 [교육과 평화] / 329

16. 현대 교육의 여러 차원들: 존 롤스의 [정의론] / 334


참고문헌 / 339
Author
신창호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