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yton 의학생리학

$102.60
SKU
97911594342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3/05
Pages/Weight/Size 216*276*60mm
ISBN 9791159434266
Categories 대학교재 > 의약학/간호 계열
Description
『Guyton 의학생리학』은 1956년 초판 이후 세계적으로 가장 애독되는 생리학 분야의 최고 교과서이다. 이번 14판은 대한생리학회 주도로 각 의과대학에서 엄선된 총 44명의 현직 교수로 집필진을 보강하였고, 참여 집필진 교수들은 한마음 한뜻으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최대한 원본에 충실한 새로운 번역판을 선보이게 되었다. 용어는 2023년에 새롭게 개정된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제6집을 기준으로 하였고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첫 번째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 책은 복잡한 생체 기능과 기전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생리학의 복잡한 개념을 손쉽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풍부한 표와 그림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생리학의 모든 분야에 걸쳐 기초에서 임상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임상의학 입문을 위한 충실한 안내서가 되고 있음이 큰 장점이다. 또한 본문의 어느 장에서 학습을 시작하더라도 용어나 개념에 막힘이 없도록 잘 풀이해 두고 있다. 생리학의 가장 최근 발전된 내용을 요약한 참고서를 넘어 의학 및 치의학, 간호학 등 의료 분야에서 필요한 기본 원리와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 질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원리를 상세하게 다루어 학생뿐 아니라 임상의와 의료 전문가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생리학의 복잡한 원리를 이해하고 지식을 확장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강력히 추천한다.

『Guyton 의학생리학』 14판의 주요 특징
* 새로운 생리학 원리와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 추가
* 생리학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챕터별 분량 조정
* 시각적인 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그림과 차트 추가
* 최신 연구를 반영한 새로운 참고문헌 추가
Contents
머리말 v
저자 머리말 vi

UN|T | 생리학 개괄: 세포와 일반 생리학 1
CHAPTER 1 민선식
인체의 기능적 구조와 “내환경” 조절 3
세포는 신체의 살아있는 단위이다 3
세포외액―“내환경” 3
항상성―거의 일정한 내환경의 유지 4
인체 제어시스템 6
요약―신체의 자동성 10
CHAPTER 2 임승순
세포와 그 기능 11
세포 기구 11
세포 구조 12
동물세포와 비세포 형태의 생명체 비교 19
세포의 기능적 시스템 19
세포 움직임 25
CHAPTER 3 장수정
유전자에 의한 단백질 합성과 세포 작용, 세포 번식 조절 29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세포 핵 유전자 29
전사―핵의 DNA 유전부호가 세포질 RNA 유전
부호로 이동하는 과정 32
유전자부호해독리보소체에서의 단백질 생성 36
세포내 다른 물질들의 합성 38
세포내 생화학 작용과 유전 기능 조절 38
DNA-유전자 시스템은 세포 번식도 조절한다 40
세포분화 44
세포자멸사―세포예정사 45
암 45

UN|T || 세포막생리학 및 신경, 근육 49
CHAPTER 4 박진봉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51
세포막은 세포막 수송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이중층이다 51
확산 52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능동수송 59
CHAPTER 5 박진봉
세포막전위와 활동전위 65
세포막전위의 기본적 물리현상 65
신경세포의 안정막전위 67
신경세포의 활동전위 69
활동전위 전파 73
활동전위 종료 후 소듐과 포타슘이온의 농도경사 회복―에너지대사의 중요성 74
고원기를 보이는 활동전위 74
흥분성세포의 율동성―반복적인 흥분발사 75
신경줄기에서 신호전달의 특징 76
흥분―활동전위의 발생과정 77
CHAPTER 6 천상우
뼈대근육 수축 81
뼈대근육의 생리적 구조 81
근육수축의 일반적 기전 83
근육수축의 분자기전 84
근육수축 에너지학 88
전체 근육의 수축 특성 89
CHAPTER 7 천상우
뼈대근육의 흥분: 신경근육 신호전달과 흥분-수축 연결 97
신경근육접합부와 신경종말에서 뼈대근육섬유로의 신경자극 전달 97
근육 활동전위 101
흥분-수축 연결 101
CHAPTER 8 방효원
민무늬근육의 흥분과 수축 105
민무늬근육 수축 105
칼슘이온에 의한 수축 조절 107
민무늬근육 수축에 대한 신경과 호르몬 조절 109

UN|T ||| 심장 115
CHAPTER 9 김종연
심장근육: 펌프로서의 심장 및 심장판막의 기능 117
심장근육 생리 117
심장 주기 121
심장 펌핑의 조절 127
CHAPTER 10 조영욱
심장의 율동적 흥분 발생 131
심장의 특수흥분전도계 131
심장에서 흥분과 전도 조절 135
CHAPTER 11 장원석
심전도의 기초 139
정상 심전도 파형 139
심장 주기 동안 심장 주위에서 전류 흐름 141
심전도전극 142
CHAPTER 12 조영욱
심근과 관상동맥 혈류 이상의 심전도 해석: 벡터 분석 147
심전도 벡터 분석 147
정상 심전도의 벡터 분석 149
심실 QRS복합의 평균 전기축과 그 의미 152
QRS복합의 전압 크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상황들 154
길어진 또는 기이한 형태의 QRS복합 155
손상전류 156
T파 이상 159
CHAPTER 13 장원석
심장부정맥과 그에 대한 심전도 해석 161
비정상 굴심방결절 리듬 161
심장 전도경로 내의 흥분전도차단 162
조기수축 164
돌발빈맥 167
심실세동 167
심방세동 170
심방조동 171
심정지 172

UN|T |V 순환 173
CHAPTER 14 김경년
순환의 개요: 혈압과 혈류, 저항 175
순환의 물리적 특성 175
순환 기능의 기본 원리 176
혈압과 혈류, 저항의 상호 관계 177
CHAPTER 15 김성준
혈관 팽창성과 동맥계와 정맥계 기능 187
혈관 팽창성 187
동맥압 박동 188
정맥과 그 기능 192
CHAPTER 16 이동현
미세순환과 림프계: 모세혈관의 액체 교환과 사이질액, 림프 흐름 197
미세순환과 모세혈관계 구조 197
모세혈관 내 혈액 흐름혈관운동 198
혈액과 사이질액 사이의 물과 영양소, 여러 물질의 교환 199
사이질과 사이질액 200
모세혈관을 통한 용액 여과 201
림프계 205
CHAPTER 17 김세훈
조직혈류의 국소조절과 체액성조절 209
조직의 필요에 의한 국소혈류조절 209
혈류조절 기전 210
순환의 체액조절 217
CHAPTER 18 김세훈
순환의 신경조절과 동맥압의 신속 조절 221
순환의 신경조절 221
동맥압의 신경조절 특징 230
CHAPTER 19 김성준
동맥압 장기조절과 고혈압에서 신장의 역할: 동맥압 조절을 위한 통합계 233
신장-체액계에 의한 동맥압 조절 233
혈압 조절에서 레닌-안지오텐신계의 기능 239
동맥압 조절에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의 통합적 요약 246
CHAPTER 20 최성우
심박출량과 정맥혈복귀량 그리고 이들의 조절 249
안정 시 및 활동 시 정상 심박출량 249
정맥혈복귀량에 의한 심박출량 조절―심장의 프랭크-스탈링 기전 249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260
CHAPTER 21 우주한
운동 시 근혈류량과 심박출량: 관상동맥순환과 허혈심장병 263
안정 시와 운동할 때의 뼈대근육에서 혈류 조절 263
관상순환 266
CHAPTER 22 전병화
심부전 275
심부전에서 순환역학 275
일측 좌심장 부전 278
저출력 심부전증―심인성쇼크 279
심부전 환자의 부종 279
심장예비력 281
심부전의 정량적 도표 분석 282
확장기 기능부전을 가진 심부전과 정상 박출률 283
고심박출심부전 284
CHAPTER 23 전병화
심장 판막과 심음: 판막과 선천심장병 287
심음 287
심장 판막병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290
선천심장병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292
심장수술 시 체외순환 이용 294
심장 판막병과 선천심장병에 의한 심장비대 295
CHAPTER 24 김세훈
순환쇼크와 치료 297
쇼크의 생리적 원인 297
혈량저하증에 의한 쇼크―출혈쇼크 298
신경성쇼크―혈관 저장용량의 증가 303
급성중증과민반응쇼크와 히스타민쇼크 303
패혈쇼크 304
쇼크 치료의 생리기전 304
순환정지 305

UN|T V 체액과 신장 307
CHAPTER 25 강다원
체액구획 조절: 세포내 · 외액 및 부종 309
수분 섭취와 배설은 항정상태 동안 균형을 이루고 있다 309
체액구획 310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조성 311
체액구획 용적 측정―지시약희석법 원리 312
세포내·외액 간의 체액교환과 삼투평형 314
비정상 상태에서의 세포내 · 외액의 용적과 오스몰농도 316
영양을 공급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포도당 용액과 기타 용액 317
체액량 조절 이상: 저나트륨혈증과 고나트륨혈증 318
부종: 조직 내 과도한 수분 319
신체의 잠재적공간 체액 323
CHAPTER 26 강다원
비뇨계: 신장의 기능적 구조와 소변 생성 325
신장의 다양한 기능 325
신장의 기능적 구조 326
배뇨 329
사구체여과와 세관재흡수, 세관분비를 통한 소변 형성 333
CHAPTER 27 한재희
사구체여과와 신혈류량, 그리고 이들의 조절 335
사구체여과―소변 형성 첫 단계 335
사구체여과율을 결정하는 요인들 337
신혈류량 340
사구체여과와 신혈류량의 생리적 조절 341
사구체여과율과 신혈류량의 자동조절 342
CHAPTER 28 한재희
신세관 재흡수와 분비 347
세관재흡수는 양이 많고 매우 선택적이다 347
세관재흡수는 수동수송과 능동수송 기전으로 이뤄져 있다 347
여러 신장단위에 일어나는 재흡수와 분비 352
세관재흡수 조절 359
청소율을 활용한 신장 기능 평가 364
CHAPTER 29 우재석
소변 농축과 희석; 세포외액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369
신장은 희석뇨를 생성해 과다 물을 배설한다 369
신장은 농축뇨를 배설함으로써 물을 보전한다 370
역류증폭기전은 수질사이질에 고오스몰농도를 형성한다 372
신장 수질에 용질 축적을 일으키는 헨레고리의 특성 372
세포외액의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378
삼투수용기-ADH 되먹임계 379
세포외액의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에서 갈증의 중요성 381
CHAPTER 30 김수미
포타슘과 칼슘, 인산염, 마그네슘의 신장 조절; 혈액량과 세포외액량을 조절하는 신장 기전의 통합 385
세포외액의 포타슘 농도와 포타슘 배설 조절 385
신장의 칼슘 배설과 세포외액 칼슘 농도 조절 391
신장에서 인산염 배설 조절 393
신장에서 마그네슘 배설과 세포외액 마그네슘 농도 조절 394
세포외액 조절에 관여하는 신장 기능의 통합 394
소듐 및 체액 균형을 유지하는 혈압나트륨배설증가와 혈압수분이뇨의 중요성 395
사이질공간과 혈관계 간 세포외액 분포 397
신경 및 호르몬 기전은 신장-체액되먹임계의 효율성을 올린다 398
소듐 섭취 변화에 대한 통합반응 400
혈액량과 세포외액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상황들 401
세포외액량은 크게 증가하나 혈액량은 정상이거나 감소하는 상황들 401
CHAPTER 31 서인석
산-염기 조절 403
H+ 농도는 정교하게 조절된다 403
산과 염기의 정의 및 의미 403
H+ 농도 변화에 대한 방어기전: 완충제와 폐, 신장 404
체액에서 H+ 완충 404
탄산수소염완충계 405
인산염완충계 407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내액 완충제이다 407
산-염기 균형의 호흡 조절 408
산염기 균형의 신장 조절 409
H+ 분비와 HCO3
재흡수 410
인산염과 암모니아 완충제는 잉여 H+과 결합하여 "새" 탄산수소이온을 생성한다 412
신장으로 배설되는 산-염기 정량 414
신세관의 H+ 분비 조절 415
신장을 통한 산증 교정―H+ 배설 증가 및
세포외액에 탄산수소이온 추가 416
신장을 통한 알칼리증 교정―H+ 세관 분비 감소와 탄산수소이온 배설 증가 416
CHAPTER 32 서인석
이뇨제와 신장병 423
이뇨제 작용 기전 423
신장병 425
급성신장손상 425
만성신장병에서 기능을 하는 신장단위가 비가역적으로 소실된다 428

UN|T V| 혈액세포와 면역, 혈액응고 439
CHAPTER 33 이동현
Author
대한생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