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28.35
SKU
979118965644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0 - Thu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7 - Thu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05
Pages/Weight/Size 190*260*30mm
ISBN 9791189656447
Categories 대학교재 > 인문학 계열
Contents
·제4판 서문 ― 5

제01장
― 정보매체와 교수매체의 이해

제1절 정보매체와 교수매체의 성격 23
1. 정보매체와 도서관 23
(1) 정보매체의 개념 23
(2) 정보매체의 발달 24
(3) 뉴미디어 25
(4) 정보매체의 특징 27
(5) 정보매체와 도서관의 관계 29
2. 교수매체의 개념과 발달 30
(1) 교수매체의 개념 30
(2) 교수매체의 발달 33
(3) 교수매체의 개념 변화와 관련 영역 35
3. 교수매체와 교수?학습 이론 39
(1) 행동주의 39
(2) 인지주의 42
(3) 구성주의 44
(4)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의 관점 비교 46
제2절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의 교육과 교수매체 49
1. 교육과 커뮤니케이션 49
(1) 교육의 3요소 49
(2) 교육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변화 50
2.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교육적 의의 52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52
(2)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53
(3) 커뮤니케이션 모형 54
제3절 교수매체의 교육적 효과 62
1. 교수매체의 교육적 효과 이론 발달 62
(1) 호반의 교육과정 시각화 62
(2) 올센의 대리학습 이론 63
(3) 데일의 경험의 원추 이론 64
(4) 킨더의 지적 과정 이론 67
2. 교수매체의 교육적 효과 68
3. 매체이론 69
(1) 핫미디어와 쿨미디어 69
(2) 미디어 결정론 71
(3) 매체 풍부성 이론 72
(4) 매체 의존 이론 73

제02장
― 교수매체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제1절 교수매체의 관점에서 본 학교도서관 77
1. 학교도서관의 의의 77
(1) 학교도서관의 목적과 기능 77
(2) 학교도서관 발전과 교수매체 79
(3) 정보활용능력을 통한 학습공동체 구현 86
(4)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미국의 새로운 학교도서관 기준 101
(5) 미국 학교도서관기준(AASL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109
2. 학교도서관 자원기반학습 116
(1) 학교도서관 자원기반학습의 의의 116
(2) 자원기반학습과 탐구과정 118
(3) 학교도서관 자원기반학습의 장점 120
(4) 학교도서관 자원기반학습 시나리오 122
제2절 교수매체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범위 124
1. 교수매체 관련 시설 및 시스템 124
(1)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124
(2) 학교도서관 디지털도서관으로서의 DLS 125
(3) 교수학습센터?교수학습지원센터?교수학습도움센터 128
2. 학교도서관 관련 영역의 연계 체계 130
3. 학교도서관에서 다루어야 할 교수매체 영역 133
제3절 교수매체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시설 구축 135
1. 학교도서관 시설?설비의 원칙 135
(1) 일반원칙 135
(2) 입지조건 136
(3) 공간구성과 배치 137
2. 정보기기와 자료 140
(1) 정보기기 140
(2) 가구 및 비품 141
(3) 정보자료 142
3. 학교도서관 러닝 커먼스 143
(1) 개념과 특징 143
(2) 블렌디드?러닝센터?메이커스페이스?STEAM 연계 144

제03장
― 교수매체의 종류와 특성

제1절 교수매체의 구분 153
1. 정보의 현실 근접성에 의한 구분 154
(1) 구체성과 추상성 154
(2) 경험의 확대 정도에 따른 구분 155
2. 교수매체의 속성에 의한 구분 156
(1) 전달기호와 감각 요소 156
(2) 동작 및 활동성 157
(3) 상호작용성 157
(4) 기호의 복합성 158
3. 정보관리와 이용자의 관점에 의한 구분 158
(1) 국제표준 서지기술법(ISBD, 통합판, 2011) 158
(2) 한국목록규칙(KCR4) 159
(3) 한국도서관기준 160
4. 복합양식 매체 161
제2절 인쇄자료 163
1. 인쇄자료의 교육적 특성 163
2. 인쇄자료의 유형별 특징 164
(1) 도서 164
(2) 참고도서 167
(3) 신문 168
(4) 잡지 170
(5) 기타의 인쇄자료 175
3. 인쇄자료의 교육적 활용 177
(1) 인쇄자료의 활용을 위한 전략 177
(2) PISA의 독서 리터러시와 인쇄자료 활용 179
(3) 독서전략 중심의 지도에 의한 인쇄자료의 활용 183
(4) 정보활용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연계 189
(5) 교육적 활용을 위한 인쇄자료의 재구성 191
제3절 녹음자료 192
1. 녹음자료의 교육적 특성 192
2. 녹음자료의 유형별 특징 192
(1) 카세트테이프 193
(2) 오디오 CD 194
3. 녹음자료의 교육적 활용 195
(1) 교육적 활용전략 195
(2) 정보활용능력으로서의 청취능력 교육 196
제4절 화상자료 199
1. 화상자료의 요소와 특성 199
(1) 화상자료의 기호 199
(2) 화상자료의 구성요소 201
(3) 화상자료의 구성 원리 205
(4) 화상자료의 교육적 특징 211
2. 화상자료의 유형별 특성 212
(1) 비-투사 화상자료 212
(2) 슬라이드와 파워포인트 218
(3) 실물화상기와 스마트폰에 의한 스마트뷰 222
3. 화상자료의 교육적 활용 224
(1) 시각정보활용능력 224
(2) 화상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관계 225
(3) 화상정보의 제시 226
제5절 영상자료 227
1. 영상자료의 교육적 특징 227
2. 영상자료의 유형별 특성 228
(1) 디지털 비디오 228
(2) 텔레비전 228
(3) DVD 232
제6절 전자자료와 디지털콘텐츠 233
1. 전자자료의 특성 233
2. 전자자료 이용 환경 234
(1) 멀티미디어 컴퓨터 234
(2) CD-ROM 235
(3) 스캐너와 디지털카메라 235
(4) 화면확대장치 236
3. 전자자료 이용 환경으로서의 컴퓨터 통신 236
(1) 정보통신과 컴퓨터 통신 236
(2) 인터넷과 교육 237
4. 에듀테크와 하이퍼미디어, 멀티미디어 243
(1) 에듀테크의 개념과 유형 243
(2) 하이퍼미디어 244
(3) 멀티미디어 247
5. 컴퓨터보조수업(CAI)과 전자책?디지털교과서 248
(1) CAI 248
(2) 전자책 252
(3) 디지털교과서 255
6. 디지털 교육목표분류학과 디지털도구 257
(1) 교육목표분류학의 의의 257
(2)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개정 교육목표분류학’ 258
(3) 디지털 교육목표분류학 261
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263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의의와 특징 263
(2) SNS의 종류 264

제04장
― 교수매체와 장서관리

제1절 교수매체와 장서관리의 의의 269
1. 교수매체와 장서관리의 과정 269
2. 장서관리를 위한 교육적 요구 및 이용자 분석 270
3. 장서 평가 및 교육용 콘텐츠 품질관리 272
4. 장서개발정책 277
5. 교수매체 및 장서의 선정 279
6. 교수매체 및 장서의 수집 284
(1) AASL/AECT의 정보자료 예산 산출 공식 285
(2) AASL/AECT의 정보기기 예산 산출 공식 287
(3) 전자자료의 수집과 제공 287
7. 교수매체 및 장서의 조직, 보존, 폐기 289
제2절 교수매체의 조직 293
1. 교수매체의 분류 293
(1) 한국십진분류법(KDC) 293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 분류 체계 294
2. 교수매체의 목록 303
(1) DLS에 의한 목록 작성 304
(2) 학습객체 307
(3) KEM 메타데이터 308

제05장
― 교수매체의 설계와 제작

제1절 교수매체 개발 및 제작의 원리 317
1. 교수매체 개발과 사서교사의 역할 317
2. 교수매체 제작을 위한 시각자료의 설계 원리 319
3. 시각자료의 설계 지침 320
제2절 교수매체 제작과 가이드라인 322
1. 교육용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322
2. 교육용 실감형 콘텐츠 322

제06장
― 교수매체 활용 교육

제1절 교수매체 활용교육의 의의 327
1. 교수매체 활용교육의 개념 327
2. 교수매체 활용교육과 교수방법 328
제2절 교수매체 활용교육의 과정 330
1. 교수매체 활용교육의 과정 330
(1) 딕과 케리 모형 331
(2) ADDIE 모형 333
(3) ASSURE 모형 339
(4) 과정 모형의 비교 343
2. 학습자 분석 344
(1) 일반적 특성과 출발점 행동 분석 344
(2) 학습 스타일 분석 345
(3) 동기요인 분석 352
(4) 생리적 요인 분석 357
3. 학습목표 설정과 학습과제 분석 358
(1) 학습목표 설정 358
(2) 학습과제 분석 362
4. 평가도구 개발 363
5. 교수전략 개발 364
(1)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의 교수전략 365
(2) 강의수업과 탐구 및 발견학습의 교수전략 368
6. 교수매체 선정 및 개발 369
(1) 교수매체의 선정 369
(2) 교수매체의 개발 및 제작 372
7. 교수매체 활용 수업 전개 373
8. 평가 374
제3절 백워드 교수설계와 내러티브 교수설계 374
1. 백워드 교수설계 374
(1) 교수설계의 의의와 전통적인 교수설계의 한계 374
(2) 백워드 교수설계의 개념 375
(3) 백워드 교수설계의 구조 376
2. 내러티브 교수설계 379
(1)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379
(2) 내러티브 교수설계 380
제4절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 383
1.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의 의의 383
(1)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의 관계 383
(2) 도서관협력수업 수준의 다양성 384
(3) 정보활용과정 모형 389
2. 도서관협력수업 통합모형 394
(1) 협력수준 395
(2) 정보활동 395
(3) 협력접근 399
(4) 시간운영 401
(5) 기술통합 404
3. 도서관협력수업 전개 406
(1) 도서관협력수업의 전개 과정 406
(2) 도서관협력수업의 요구조사 및 일정 조정 406
(3) 수업계획 408
(4) 수업전개 412
(5) 수업평가 414
제5절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 416
1.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416
(1) 기본 방향 416
(2) AI 튜터의 교육적 역할과 관련 기술 417
2. 메타버스 활용교육 419
(1)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징 419
(2) 메타버스 기반 미래교육 환경과 교수학습 설계원리 420

·참고문헌 ― 424
·색 인 ― 430
Author
이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