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증수무원록언해

$30.96
SKU
97889521118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3 - Fri 05/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8 - Fri 05/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5/30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52111852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는 고려말 조선초에 중국 원으로부터 전래된 뒤 검시(檢矢)지침서로 널리 사용된 『무원록』을 우리의 실정에 맞도록 내용을 첨삭한 노력의 결실인 『중수무원록대전』을 우리말로 언해하여 활자로 간행한 책이다. 18세기 말의 국어 사실을 파악할 수 있는 국어사 자료임은 물론, 내용상 검시 방법과 절차 등을 설명하고 있는 법의학서(法醫學書)로서 이를 통해서 18세기 말엽의 검시 방법과 원칙, 검안의 작성 요령 등 법제사적(法制史的)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검시의 기본 지식으로 설명하고 있는 인체에 대한 설명은 해부학적 내용을 담고 있어 의학사 자료가 되기도 한다. 또한 간행하자마자 관서(關西)와 양남(兩南) 감영(監營)으로 보내 목판본으로 복각하여 실제 검시에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한 만큼 이 책은 매우 실용적인 목적에서 간행되었다. 실용적 성격의 언해서들이 당시에 대량 간행되었다는 사실과 관련시켜 본다면 이 문헌은 당시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역주서는 18세기 후반의 국어 사실을 중세국어 이후의 국어사적 변화 과정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역주서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증수무원록언해』는 그 자료적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으면서도 한문 원문의 독특한 문체나 당시 국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연구 자료로 적극적으로 이용되지 못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고려할 때, 본 역주서는 학계의 여러 분야에서 『증수무원록언해』가 연구 자료로 활발히 이용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韓國學共同硏究叢書를 간행하면서
머리말
일러두기

增修無寃錄諺解 卷之一
增修無寃錄諺解 卷之二
增修無寃錄諺解 卷之三

雜錄

해제:《增修無寃錄諺解》의 자료적 특성과 언어
1. 들어가는 말
2.《증수무원록언해》의 간행 경위 및 이본
3.《증수무원록언해》의 내용과 자료적 성격
4.《증수무원록언해》의 언어
5. 맺는 말

참고문헌

언해문 어절 찾아보기
주석 내용 찾아보기
ㆍ형태
ㆍ용어
ㆍ문형
Author
송철의,이현희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 졸업. 단국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저서로는 『한국 근대 초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2.25)』,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0.10)』,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8.10.10)』,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5.12.20)』, 『역주 증수무원록언해(서울대출판부, 2006.09.20)』,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1992) 』, 『국어음운론연구 1세기』,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외 다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 졸업. 단국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저서로는 『한국 근대 초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2.25)』,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0.10)』,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8.10.10)』,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5.12.20)』, 『역주 증수무원록언해(서울대출판부, 2006.09.20)』,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1992) 』, 『국어음운론연구 1세기』,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