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미세먼지 정책 추진 전략과 감축·저감 유망기술/소재 개발 동향

$476.28
SKU
979115862251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0 - Thu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7 - Thu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08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58622510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관련 법 및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온실가스/미세먼지 정책 추진 전략과 감축·저감 유망기술/소재 개발 동향·를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기술 및 소재 기술개발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미세먼지 대응 정책 및 저감 기술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Contents
제Ⅰ편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및 기술 동향

제1장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핵심기술
1. 온실가스 발생 현황 및 관련 정책 동향
1) 국내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정책 동향
(1) 온실가스 발생 현황
가. 국가 전체 발생
나. 지자체 발생량
다. 부문별 발생량 2020년 배출량 확정
라. 부문별 발생량 2021년 잠정배출량
마.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2) 산업부문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가. 산업부문 에너지원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나. 산업부문 업종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다. 산업부문 지역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라. 산업부문 종사자 규모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마. 산업부문 용도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바. 산업부문 설비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사. 산업부문 공정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3) 온실가스 관련 법 및 관리체계
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생성장 기본법」(약칭: 탄소중립기본법)/환경부
나. 「환경정책기본법」/환경부
다.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지원법」(약칭 : 환경기술산업법) /환경부
라. 「대기환경보전법」/환경부
마.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환경부
바. 「과학기술기본법」/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촉진법」(약칭 : 기후기술법)/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 「에너지법」(약칭 : 기후기술법)/산업통산자원부
(4)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수단
가. 탄소가격 부과
나. 목표관리
다. 탄소차액계약제도(Carbon Contract for Difference)
라. 전기요금 보조
마. 저탄소 생산시설 투자 지원
바. 저탄소 생산기술 개발 투자 지원
사. 측정·보고·검증(MRV, 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 인프라
아. 그린 라벨링(green labelling) 제도
자. 그린제품 구매 촉진제도
차. 안정적인 탈탄소 연료·원료 공급 인프라
(5)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2) 해외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정책 동향
(1) 미국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2) 중국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3) 일본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4) 독일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5) 베트남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 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6) 인도네시아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7) 인도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8) 멕시코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9) 튀르키예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10) 남아프리카공화국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나. 탄소중립 관련 정책
2.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분과별 동향
1) CCUS 분과 동향
(1) CCUS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흡수량 증대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3) 산업 및 시장 동향
(4) 시사점
2) 산업 분과 동향
(1) 배출량 감축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산업 및 시장 동향
(3) 시사점
3) 건물 분과 동향
(1) 배출량 감축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산업 및 시장 동향
가. 글로벌 HVAC 시스템
나. 글로벌 에너지효율화 조명
다. 글로벌 에너지 관리 시스템
라. 글로벌 건물 외피 원자재
마. 국내 시장 전망
(3) 시사점
4) 에너지전환 분과 동향
(1) 배출량 감축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산업 및 시장 동향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소
(3) 시사점
5) 환경 분과 동향
(1) 바이오플라스틱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산업 및 시장 동향
(3) 시사점
6) 수송 분과 동향
(1) 배출량 감축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산업 및 시장 동향
(3) 시사점
제2장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기술 및 전략
1.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현황
1) 산업부문
(1) 산업부문 전기화 배경
(2) 산업부문 전기화
(3) 철강 산업의 전기화
가. 개요
나. 주요 기업 사례
(4) 석유화학 산업의 전기화
가. 개요
나. 주요 기업 사례
2) 수송부문
(1) 연구 배경
(2) 국제사회의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 현황
가. 배출 현황
나. 주요국 정책 비교분석
(3) 해운 분야의 감축정책과 다자협력
가. 배출 현황
나. 주요국 정책 특징
다. 다자협력
3) 농업부문
(1)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 농업부문 저탄소농업 관련 정책
가. 국내 정책 및 실적
나. 해외 정책
(3) 국내외 저탄소 농업기술 현황
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포함된 저탄소 농업기술
나.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포함되지 않은 그 밖의 저탄소 농업기술
4) 폐기물부문
(1)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2)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
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폐기물
나. 폐기물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3)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와 온실가스
가. 에너지 생산을 통한 온실가스 발생 감축
나. 자원 회수를 통한 산업원료 제공
2. 산업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기술 및 전략
1) 철강산업
(1)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구조
가. 철강산업의 에너지 소비구조
나.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구조
다.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추이
(2)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수단
가. 개요
나. 에너지 효율 개선
다. 저탄소 공법 비중 확대(철스크랩-전기로)
라. 저탄소 공법 비중 확대(천연가스 DRI-EAF)
마. 바이오 원료의 활용
바. 혁신기술의 개발 및 적용
2) 석유화학산업
(1)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가. 산업 현황
나. 온실가스 배출 구조
다. 에너지 소비 현황
(2) 국내 석유화학산업 온실가스 감축 전략
가. 개요
나. 자원 순환
다. 연료 대체
라. 원료 대체
마. 공정 개선
바. 감축 결과
(3) 해외 주요국 온실가스 감축 사례
가. 개요
나. 일본
다. 중국
라. EU
3) 항공산업
(1) 무탄소배출 항공기 개발 및 시장 현황
(2) 주요국 항공 부문 탈탄소화 정책 동향
가. 국제기구
나. 주요국
(3) 항공업계 탈탄소화 전략
4) 건설산업
(1) 건물 부문 탄소배출 현황과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세부 내용
가. 개요
나. 건물 부문 탄소배출 현황
다. 건물 부문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세부 내용
(2) 주요 부문별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가. 에너지 전환 부문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나. 산업 부문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다. 건물 부문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라. 폐기물 부문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3)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녹색건축 관련 제도 및 시장 현황
가. 녹색건축물 관련 제도 현황
나.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와 추진 현황
다. 그린리모델링 제도와 추진 현황
(4) 중장기 녹색건축 시장의 성장 가능성 전망
가. 개요
나. 제로에너지건축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 전망
다. 그린리모델링 시장의 성장 가능성 전망
5) 시멘트산업
(1)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구조
가. 공정 현황
나. 온실가스 배출 현황
다. 에너지 소비 현황
(2)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주요 이슈
가. 추진 현황
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주요 전략
다. 주요 이슈
6) 섬유산업
(1) 국내 섬유산업의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현황
가. 섬유공정과 온실가스 배출
나. 에너지 소비 및 집약도 현황
다. 온실가스 배출 및 집약도 현황
라. 온실가스 배출 전망
(2) 세계 섬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과 감축 방안
가.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과 전망
나. 온실가스 감축 방안
(3) 섬유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
가. 기본 방향과 정책과제
나. 세부 추진 전략
(4) 섬유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기대 효과
7) 제지산업
(1) 국내 제지산업의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현황
가. 제조공정과 온실가스 배출
나. 제지업체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노력
다. 에너지 소비 및 집약도 현황
라. 온실가스 배출 및 집약도 현황
마. 온실가스 배출 전망
(2) 일본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감축 방안
가.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나. 온실가스 감축 방안
(3)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
가. 기본 방향과 정책과제
나. 세부 추진 전략
(4)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기대 효과
제3장 온실가스 감축 소재 및 기술 동향
1.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
1) 태양전지 기술 개요
(1) 정의
(2) 상용화기술
2) 국내외 태양전지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3) 태양전지 주요 업체 동향
(1) 태양전지 관련 주요 업체 동향
가. 실리콘 태양광
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다. 수상 태양광
(2) 주요 태양전지 업체별 최신 산업 동향
가. 실리콘 태양광
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다. 수상 태양광
4) 고효율 태양전지의 국내외 환경 변화와 R&D 동향
(1) 글로벌 환경 변화와 기술개발 동향
(2)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R&D 동향
가. 차세대 단일접합 태양전지
나.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다. 다기능 태양전지
라. 국내 태양전지 R&D 주요 이슈 및 시사점
2. 해상 풍력발전 기술
1) 해상풍력 기술의 정의 및 구성
(1) 정의
(2) 구성
2) 국내외 해상풍력 기술 동향
(1) 글로벌 기술 동향
가. 터빈 시스템
나. 하부구조물
다. 발전단지 운영
(2) 국내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 수준 요약
나. 터빈 시스템
다. 핵심부품 요소기술
라. 고정식 하부구조물
3) 국내외 해상풍력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전망
나. 글로벌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4) 국내외 해상풍력 정책 및 R&D 투자 동향
(1) 국내외 해상풍력 정책 동향
가.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2) 국내외 R&D 투자 동향
가. 해외 주요국 R&D 투자 동향
나. 국내 R&D 투자 동향
3.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기술
1)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기술 정의 및 범위
(1) 희토류 정의 및 공급망 현황
(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기술 동향
(1) 해외 주요국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기술 동향
3) 국내외 산업 동향
(1) 해외 주요국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시장 규모
나. 미국
다. EU
라. 일본
마. 중국
(2) 국내 산업 동향
4) 국내외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관련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정책 동향
5) 국내외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관련 R&D 투자 동향
(1) 해외 주요국 R&D 투자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중국
라. 일본
(2) 국내 R&D 투자 동향
4. 환경정화(MOF 등) 소재
1) 환경정화 소재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필요성
(3) 분류
2) 환경정화 소재 관련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가. 글로벌 ESG 의무화
나. 온실가스 저감화에 따른 글로벌 탄소배출 제로화
다. MOF 다공체에 다기능 유기 리간도 도입에 의한 기능화 발현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환경정화 소재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수소,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나. 이차전지용 음극 소재 기술
다. 촉매로 활용
라. 유해물질 선택적 흡착제거 기술
마. 효율적인 약물전달체 소재 기술
바. 응용 기술
(2)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5. 친환경 섬유 소재
1) 친환경 섬유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필요성
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 필요
나. 섬유산업 저탄소화 필요
다. 순환 경제 필요
라. 업사이클링 필요
(3) 분류
가. 용도별 분류
나. 기술별 분류
2) 국내외 친환경 섬유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가.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섬유의 제조
나. 폐의류 리사이클
다. 친환경 섬유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강화 및 기준 상향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국내외 친환경 섬유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친환경 섬유산업의 저탄소화
나. 리사이클 소재
다. 생분해성 섬유 소재
라. 친환경 섬유 관련 정부 정책
(2)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제Ⅱ편 미세먼지 제거·저감 기술 동향

제1장 미세먼지 대응 정책 및 연구 동향
1.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과 정책 동향 분석
1)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전망
(1) 배출 현황
가.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2019년 통계 기준)
나.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증감 추이(2010∼2019년)
다. 대기오염물질별 농도 변화
라. 물질별 대기환경기준 달성률 및 시사점(2021년 기준)
(2) 배출 전망 (한국환경연구원 등)
가. 전망 개요
나. 전망 결과
다. 대기오염물질별 세부 전망
(3)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발생 전망
(4) 기후변화 영향 전망 (2022년 5월, 기상청)
가. 개요
나. 결과
2)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 분석
(1) 필요성
(2)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건강 영향 분석
3) 국내외 미세먼지 대응 정책 현황
(1) 국내 미세먼지 정책 동향
(2) 국내 미세먼지 정책 관련 법·제도 분석(지자체 역할 강화)
가. 지방자치법 개정 주요 내용
나. 지자체의 (환경 분야) 재정자립도 향상 및 재원 마련
(3) 해외 미세먼지 정책 동향
가. 주요국 저감정책 동향
나. 미세먼지 대응 보건의료 정책 동향
2. 미세먼지 R&D 사업 추진 동향
1) 국내 미세먼지 관련 R&D 사업 추진 현황
(1) 미세먼지 R&D 과제 분포 현황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세먼지 R&D 주요 사업 진행 경과
가.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 내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사업단
나.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다.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내 미세먼지 추가경정예산 지원 과제
라.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미세먼지관리 기술개발사업
마. 동북아-지역 연계 초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사업
바. Net-zero 대응 미세먼지 저감기술개발사업
2) 해외 주요국 미세먼지 관련 R&D 사업 추진 현황
(1) 유럽
(2) 미국
(3) 일본
(4) 중국
3. 미세먼지 관련 연구 동향
1) 미세먼지 관련 연구 동향 및 결과
(1) 국내외 주요 연구성과
가. 한미 공동 대기질 조사사업(KORUS-AQ)의 주요 정책 제언
나. 국내 관측 기반 미세먼지 관련 연구성과
(2) 국내 주요 대기오염 저감기술 동향
가. 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
나. 대기오염 저감기술 보급의 니즈 및 대책
다. 공기정화장치 기술개발 및 관련 산업 활성화 방안
라. 지하도로 오염물질 제거기술
마. 저감기술의 대기정책 활용을 위한 제언
2) 미세먼지 저감 소재 기술개발 동향
(1) 대기 미세먼지 저감 소재분야 현황
(2) MOF(metal organic frames) 연구 동향
가. Bimetal 함유 MOFs
나. 금속산화물 함유 MOFs
다. 멀티금속산화물 함유 MOF
라. MOF의 물리화학적 특성
3) 무인항공기를 응용한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1) 서론
(2) 국내외 무인항공기 응용 기술 개발 사례 현황
가. 국내 문헌 조사
나. 국외 문헌
다. 무인항공기 기능 분류
(3)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가. 미세먼지 측정 및 분사 드론 준비
나. 미세먼지 측정 및 분사 드론 비행
(4)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가. 시스템 내 미세먼지 오염도 시각화
나. 미세먼지 오염도 계층화 분석
(5) 결론
4) 사물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1) 서론
(2) 시스템 구성 및 설계
가. 시스템 요구 사항 정의
나. 시스템 구성
(3) 시스템 구현 결과 및 성능평가
가. 미세먼지 측정 장치
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다. 성능평가
(4) 결론
제2장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동향
1.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필요성
(3) 분류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인공지능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
나. 실시간 모니터링 진단 기술
다. ICT 기반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
(2)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2. 실내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필요성
(3) 분류
가. 공기청정필터 기술
나. 공기정화 솔루션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가. 성능 향상과 다단필터 탑재를 통하여 기능을 확장하고 시장규모를 키우고 있음
나.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공기청정솔루션
다. 환기시스템에 필터를 장착한 형태인 청정환기시스템 개발 확대
라.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마. 정책적 지원 요구
(2)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공기질 센서의 감지범위 확대, 정확도 및 모니터링 기술 고도화
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음
다. 고성능과 고에너지효율성, 재생성을 갖춘 필터 연구
(2)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건설사 동향
라.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고효율 헤파필터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중요성 및 의의
(3) 분류
가. 나노섬유 제조 공정 분류
나. HEPA 필터의 분류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동향 분석
(2)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시장 성장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나. 세계 시장 동향
(3) 경쟁 현황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기술수준과 기술격차
(3) 연구개발 동향
가. (주)크린앤사이언스 정읍지점
나. (주)블루인더스
다. 엠에스필터 주식회사
라. 세인
마. (주)라도
바. (주)아모그린텍
사. 대진필터
아. 동화바이텍스(주)
자. (주)엔바이오니아
(4)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도표/그림 목차
Author
R&D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