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수행으로서의 시읽기와 시쓰기

$48.76
SKU
979113082131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0 - Thu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7 - Thu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1/25
Pages/Weight/Size 160*230*28mm
ISBN 9791130821313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근대와 근대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어가는 오늘날,
새로운 세계관과 새로운 시학을 모색하다

문학평론가인 정효구 교수(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영성 수행으로서의 시읽기와 시쓰기』가 푸른사상사의 〈학술총서 63〉으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절감하면서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세계관과 인간관 그리고 새로운 시학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모색한다. 여기서 새롭다는 것은 우주적 진실과 만나면서 영성 수행의 장을 가꾸어 나아가는 일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환지본처’의 상상력과 영성 수행의 길

조종현의 연작시조 「백팔공덕가」의 ‘공덕행’ 담론과 그 미학
정진규 시에 나타난 ‘귀가’의 상상력
정진규 시의 ‘정원’과 생태인문학
서정주 시집 『질마재 신화』의 마을서사와 승화의 메커니즘
영성 수행으로서의 21세기 문학, 종교, 학문, 삶
한용운의 시를 통하여 치유의 원리를 발견하고 구현하는 일
1920년대 시가 발견한 ‘들’의 표상성과 그 의미

제2부 ‘호모 스피리투스’의 상상력과 무유정법의 길

시 ― 유성출가, 그 난경의 미학
시 ― ‘호모 스피리투스’의 마음 혹은 ‘심우도’의 길
시 ― 만행의 길, 화엄의 꿈
허의 미학을 창조하는 일
무한함의 현상학과 무유정법의 해탈감
불교적 생태시의 회향담론에 대한 사유
문명으로서의 근현대시가 가는 ‘무상의 길’
본심이 부르는 소리, 본심에 다가가는 시간
산중실록(山中實錄), 심중유사(心中遺事)
유심(惟心)의 길에서 부른 유심(唯心)의 노래
삼업을 닦으며, 삼보를 꿈꾸며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난처한 과제와 주체 형성의 길고 과격한 길
서향(書香)과 문향(文香), 시향(詩香)과 예향(藝香)의 여정
업식(業識)으로서의 장녀 의식과 구도 의식

제3부 ‘철목개화’의 상상력과 회향의 미학

바다의 철학, 수평선의 미학
봄이 오는 이치, 봄이 온다는 믿음
우주의 이치에 전율하는 고요한 밤
지혜인의 감동적인 사랑론
소박하나 신선한 행복의 풍경
Gobi의 로드맵, 고비의 내비게이션
‘엄마의 품’, 온전한 믿음과 안심의 소우주
아름다움에 대하여 사유하는 시간
하늘을 마시고 능금처럼 익어가는 가을날
마음속에 그린 은혜로운 집과 삶의 풍경
문명의 달력, 인생의 달력, 자연의 달력
물처럼, 강물처럼 하나 되어 흘러가는 시간
여행, 길에서 ‘길’을 찾는 발견의 시간
전나무 숲속에서 들려오는 3월의 법문
4월의 지리산 벚꽃길에 관한 명상
들꽃과 자전거가 동행하는 ‘야생’의 길
청녹색, 우리가 아껴야 할 선량한 색상
‘선우(善友)’가 되어 ‘선연(善緣)’으로 만나는 생명들
산들이 창조한 감동과 영원의 풍경
인간은 언제 둥근 수박만큼 진화할까
현실, 그 너머를 꿈꾸고 사랑하는 인류의 영혼
고요하고 적막한 우리들의 ‘등(背)’을 만난다는 것
낯설고 신선한 이역, 우리들의 유년 시절
흰빛의 매화가 피고, 매화빛의 눈이 내리는 새해 첫날
새들을 예찬하는 특별한 마음
쇠로 된 나무에 꽃이 피는 비경
봄날이어서 가능한 비현실의 꿈길
머무르지 않는 바람의 설법
내일을 그리며 사는 인간만의 특별한 능력

수록지 및 발표지 목록
찾아보기
Author
정효구
1958년에 출생하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의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에 방문교수로 체류한 바 있다.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청하, 1987), 『시와 젊음』(문학과비평사, 1989), 『현대시와 기호학』(느티나무, 1989), 『광야의 시학』(열음사, 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시와시학사, 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시와시학사, 1995), 『백석』(편저, 문학세계사,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새미, 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탐구』(새미, 1998), 『시 읽는 기쁨』(작가정신, 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국학자료원, 2002), 『시 읽는 기쁨 2』(작가정신, 2003), 『재미한인문학연구』(2인 공저, 월인,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푸른사상, 2005), 『시 읽는 기쁨 3』(작가정신, 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푸른사상, 2007), 『마당 이야기』(작가정신, 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푸른사상, 2010),『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푸른사상사, 2011) 등의 저서가 있다. 2016년 현대불교문학상을 받았다.
1958년에 출생하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의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에 방문교수로 체류한 바 있다.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청하, 1987), 『시와 젊음』(문학과비평사, 1989), 『현대시와 기호학』(느티나무, 1989), 『광야의 시학』(열음사, 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시와시학사, 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시와시학사, 1995), 『백석』(편저, 문학세계사,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새미, 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탐구』(새미, 1998), 『시 읽는 기쁨』(작가정신, 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국학자료원, 2002), 『시 읽는 기쁨 2』(작가정신, 2003), 『재미한인문학연구』(2인 공저, 월인,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푸른사상, 2005), 『시 읽는 기쁨 3』(작가정신, 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푸른사상, 2007), 『마당 이야기』(작가정신, 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푸른사상, 2010),『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푸른사상사, 2011) 등의 저서가 있다. 2016년 현대불교문학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