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 형, 교육이 왜 이래

$23.81
SKU
97889632447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6 - Wed 05/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3 - Wed 05/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1/2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63244754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교수님, 학교는 이제 인성교육의 장으로 바뀌었어요.”
“엥? 그럼 지식교육은?”
“아! 지식교육은 학원에서 다 하니까요.”

이제 학교에서 ‘가르치던 시대’는 끝났다. 90% 이상의 학생들이 자고 있다. 선생님의 말씀은 그저 허공의 메아리일 뿐? 그냥 몇몇 학생들만 눈뜨고 있다. 아마도 모범생들일 거다. 아이들이 자는 이유는 다양하다. 학원에서 다 배워서. 선생님은 학원쌤보다 실력이 없다. 재미가 없다. 내 관심사가 아니다. 어렵다. 모르겠다. 알아야 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 밤새 게임을 해서. 밤에 안 자고 공부하는 바람에. 졸려서. ‘공부’하면 골치가 아프다. 그냥 짜증이 난다. 그래서 잔다.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건 책상에 엎드려 있는 것뿐이다.

그렇다면 학교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 설령 가르침이 있다고 해도 배움은 없는 학교. 직금 학교는 과연 무엇을 하는 곳인가? 공부하면 학교보다 학원이 먼저 떠오른다. 물론 둘 다 지겹지만. 그래도 진짜 공부는 학원에서 하는 걸로 되어 있다. 의대 열풍으로 학원들의 제2의 전성기? 이제 대학에서 인문계열에 입학하면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자연계열에 입학하면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로가 결정된다. 대학은 이제 두 개의 전문대학원만 남겨 놓고 모두 다 이미 내용적으로는 문을 닫은 셈이다.

예전에는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가르치면 아이들은 무조건 배웠다. 그러니까 가르쳤는데도 안 배우면 그건 죄였다. 그래서 선생님께 당연히 맞았다. 80점을 맞으면 1점 당 1대. 100점 만점 맞으라고 가르쳤는데 20점을 깎아 먹었으니. “너 나와!” 20대 맞는 건 당연했다. 학생도 저항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지은 죄가 있으니까. 못 배운 죄? 선생님은 반 평균을 깎아 먹었다고 또 때렸다. 이렇게 하여 예전의 학교는 억지로라도 가르침과 배움을 일치시켰다. 지금 같으면 112 신고감이다. 체벌이라고 하면서. 형사소송감이다. 체벌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니까.

그렇다면 왜 선생님은 배우는 아이가 없는데도 혼자 교과서를 읽고 있는 것일까? 과거 학교 즉 미션스쿨에서 교과서는 ‘경전’(經典)이었다. 서구 기독교 국가에서는 교과서가 성경 즉 바이블(Bible)이었고, 동양에서는 공자의 말씀 논어(論語)였다. 물론 화엄경, 반야심경 같은 불경도 교과서였다. 물론 불교는 학교와 무관하다. 불교는 딱히 학교를 운영하지 않았다. 그러니까 당시 교과서였던 서양의 성경과 동양의 논어는 곧 진리(眞理)였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 서구의 미션스쿨의 전통을 계승한 전 세계의 일반 학교들에서 교과서가 곧 진리로 둔갑한 셈이다.

그러니까 예나 지금이나 선생님은 진리인 교과서를 아이들 앞에서 읽어대고 있는 거다. 진리니까 가르쳐야 한다. 설령 아이들이 배우지 않더라고 학교는 진리를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들은 왜 자는 걸까? 위에서 언급한 그대로다. 그러나 어쩌면 교과서를 진리로 둔갑시켜 가르치고 있는 학교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뭐 그런 거 아닐까? 정말 교과서가 진리인가?

근데 문제는 교과서가 수시로 바뀐다는 사실이다. 세상이 변하는데 교과서의 내용이 안 바뀔 수는 없다. 그래서 개정 교과서도 나오는 법이다. 지난 수업 때 현직 학교 교사인, 그것도 ○○외국어고 고3 담임으로 재직 중인 한 수강생이 한 말이다. “교수님, 학교는 이제 인성교육의 장으로 바뀌었어요.” “엥? 그럼 지식교육은?” “아!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지식교육은 학원에서 다 하니까요.” 엥? 이걸 주객전도라고 하던가? 망치로 한 방 맞은 기분? 그래도 솔직한 그 학생의 이실직고. 어쩌면 그게 최선은 아니라도 차선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 그냥 기분 탓이었을까?
Contents
프롤로그

I. 교육에 대한 30문 30답

1. 교육은 반드시 필요한가?
2. 우리는 어떻게 아는 걸까?
3. ‘인성’은 어떻게 자라는 걸까?
4. 심리학자 에릭슨은 뭐라고 했을까?
5. 도덕성은 어떻게 발달하는 걸까?
6. ‘가르침’은 정말 가능할까?
7. ‘학생’은 누구일까?
8. ‘교육’에서 ‘매’는 필요할까?
9. ‘교육’이란 무슨 뜻일까?
10. 문헌상 최초의 교육은 어떠했을까?
11. 소피스트는 교육자였을까?
12. 소크라테스도 가르쳤을까?
13. 플라톤의 교육이 남긴 건 무엇일까?
14. 수사학교를 세운 이소크라테스는 누구일까?
15.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을 가르쳤을까?
16. 대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17. 교육도 ‘르네상스’가 있었을까?
18. 실학교육이란 무엇일까?
19. 로크의 계몽교육이란 무엇일까?
20. ‘공교육’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21. 자연주의 교육이란 무엇일까?
22. 루소의 교육은 계승되었을까?
23. 서구의 근대 교육은?
24. 아동증심교육은 정말 가능한 걸까?
25. 현대의 교육은?
26. ‘듀이 교육’의 본질은 무엇일까?
27. 한국의 교육 전통은 알 필요가 없을까?
28. 그런데 정말 학교는 ‘지식교육’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29. 지식이란?
30. 그럼 도대체 ‘학교철학’은 뭘까?

II. 소크르라테스의 질문법: ‘산파술(産婆術)’

1. 아, 근데 왜 갑자기 소크라테스란 말인가?
2. 소크라테스는 생전에 단 한 번도 글을 쓰지 않았다
3. 소크라테스도 소피스트다?
4.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가 아니다?
5.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의 차이, 이제 감이 좀 잡히나요?
6. 그럼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진정한 교사는 누구일까요?
7. 근데 학교에서도 질문이 오가고 있지 않나요?
8. 그럼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훌륭한 질문이란?
9.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를 그대로 계승했을까요?
10. 그럼 ‘상기론’은 소크라테스의 업적 맞나요?
11. 소크라테스 ‘산파술’의 매력은 뭔가요?
12.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차이점, 팩트체크할 수 있을까요?
13. 소크라테스의 산파술 과정에 어떤 소득이 있을까요?
14. 왜 스티브 잡스는 굳이 소크라테스를 소환했을까요?
15. 왜 이 시대에 소크라테스가 반드시 부활해야 할까요?
16. ‘이분법적 사고의 종식’, 산파술이 답입니다
17. 챗GPT 시대에 ‘테스 형의 산파술’?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18. 과학사고와 산파술?
19. 인공지능과 산파술?
20. 산파술의 종착점도 ‘설득’ 아닐까요?
21. 지식과 지혜 그리고 산파술의 관계는?
22. 경험과 지식 그리고 메타인지
23. 지혜로움과 판단력
24. 챗GPT는 나의 비서 아니면 BF(베프)가 될 수 있을까요?
25. 실습 ― 산파술의 적용: 소크라테스 Jr.와 챗GPT의 대화
26. 이제 좀 지혜로워지셨나요?
27. 전체와 부분

III. 산파술 워크숍: 문제해결 사고력 훈련

1. 열린 사고: “생각을 열어라”
2. 해석적 사고: “세상을 해석하라”
3. 피드백 사고: “부족한 2%를 채워라”
4. 복잡계 사고: “진리는 단순하다?”
5. 공진화 사고

부록: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1. 인문학의 위기, 진짜 원인은 뭘까요?
2. 지금 이 시대에도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이유는 과연 뭘까요?
3. 구체적으로 인문학이란 뭘까요?
4.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융합해야 한다고 하는데 과연 그게 가능할까요?
5. 그렇다면 융합학문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6. 그렇다면 인문학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에필로그
참고문헌
Author
이상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교수로 20여 년간 학생들을 지도하다 정년퇴임했으며,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창의인성연구센터장, 연세리더스포럼 책임교수, 미디어아트센터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10여 년간 벤처기업 창업지도를 해왔으며, 현재는 베세토국제학교 교장직을 맡고 있다. 평생 읽은 독서량은 어림잡아 2만 권 정도다.
지은 책으로는 『학습혁명 H사고』, 『지식의 탄생』, 『상상력과 교육: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만남』, 『언택트사회의 미래: 엔트로피 이론에 근거하여』,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전자책) 등 50여 권이 있으며, 논문으로 「문화해석학의 조건」, 「HRD의 상상력」 등 100여 편이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교수로 20여 년간 학생들을 지도하다 정년퇴임했으며,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창의인성연구센터장, 연세리더스포럼 책임교수, 미디어아트센터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10여 년간 벤처기업 창업지도를 해왔으며, 현재는 베세토국제학교 교장직을 맡고 있다. 평생 읽은 독서량은 어림잡아 2만 권 정도다.
지은 책으로는 『학습혁명 H사고』, 『지식의 탄생』, 『상상력과 교육: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만남』, 『언택트사회의 미래: 엔트로피 이론에 근거하여』,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전자책) 등 50여 권이 있으며, 논문으로 「문화해석학의 조건」, 「HRD의 상상력」 등 100여 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