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훤당 김굉필은 어떻게 ‘도학지종道學之宗’이 되었는가?

$23.76
SKU
97911897664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Mon 05/2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6 - Mon 05/2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1/08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8976645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훤당이 ‘수양과 실천의 주체인 도학자’였으니, 한훤당은 틀림없는 광풍제월의 소유자이다. 세상에서는 여러 이름으로 한훤당을 광풍제월의 소유자라고 칭송하고 있다. 어느 칭송어이든 간에 휘황찬란하다. 예컨대, 『선조수정실록』 권8, 선조 7년 11월조에서 ‘계왕성개래학繼往聖開來學’이라고 했고, 모재 김안국은 ‘수창성리지학’이라고 했고, 퇴계 이황은 ‘도학지종’이라고 했다. 그 뜻을 순차적으로 풀이해보면, ‘성현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후손에게 전한 자’, ‘도학을 처음으로 주창한 자’, ‘당대 도학자 중의 최고봉’이 된다. 군자급 내지 성인급에게나 붙이는 칭송어가 한훤당에게 붙어 있으니, 한훤당이야말로 최소한 군자급 더 나아가서는 성인급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군자급 혹은 성인급을 거론하기 위해서는 근거를 제시해야 옳다. 한훤당의 행적 그 자체에 근거가 있다.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소학小學』 공부와 도학운동이 그것이다. 위기지학이란 ‘천리가 넘쳐흘러 자기 마음뿐만 아니라 천지만물에까지 두루 은택을 미치는 경지’이고, 『소학』 공부란 ‘신독愼獨하고 계신공구戒愼恐懼하며 율신수기律身修己하는 일용함양공부’이고, 도학운동이란 ‘도학을 전파하고자 하는 『소학』 교육과 결사結社 활동’이다. 이런 특징을 모두 갖추기가 어렵다. 경敬으로 율신돈인하고 타인을 감화시키는 경지에 이르러야 갖출 수 있다. 여타 도학자들도 모두 갖추지 못했음을 상기할 때, 한훤당이야말로 군자급 내지 성인급의 자질을 갖추었다고 할 만하다.

한훤당은 대구 사람들에게 낯익은 호칭어이다. 대구 사람치고 ‘한훤당 고택’과 ‘한훤당 고택 카페’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니, ‘한훤당’을 낯익은 호칭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낯익다고 해서 속속들이 알려졌다고 하기는 어렵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한훤당’이 누구인 줄 모른다. 어쩌면 ‘한훤당’을 성명 정도로 알고 있는 듯도 하다. ‘한’은 성이요, ‘훤당’은 명인 셈이다. ‘한훤당’을 김굉필金宏弼의 호號로 안다고 해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김굉필이 어떤 인물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도동서원에 배향되어 있으니 훌륭한 인물이겠거니 하고 짐작하는 정도가 고작이다. 문제의 깊이를 확인하고 해법을 모색해야 할 이유가 여기서 생긴다.
Contents
머리말 : 한훤당 도학, 그 광풍제월光風霽月의 경지
Ⅰ. 왜 ‘한훤당寒暄堂 도학道學’인가?
1. 한훤당에 대한 올바른 인식
2. ‘광풍제월’ 이해를 위한 기본 지식
3. 「소학」의 대중 교육, 그 광풍제월 구현

Ⅱ. 한훤당을 왜 ‘도학지종道學之宗’이라 하는가?
1. ‘도학지종’의 근거
2. 근거1 : 위기지학
3. 근거2 : 「소학」 공부
4. 근거3 : 도학운동
5. 한훤당 사후에 자리잡는 도학자상道學者像

Ⅲ. 한훤당이 도학을 어떻게 인식했는가?
1. 한훤당이 도학을 언급하지 않은 이유
2. 도학 인식을 담은 한훤당의 행위 점검
3. 행위 유발 근거와 한훤당의 도학 인식
4. 한훤당의 도학 인식에 대한 후대인의 시각

Ⅳ. 한훤당이 성리학을 공부하지는 않았는가?
1. 한훤당의 학문, 그 오해와 진실
2. 시詩에 나타난 성리학 이론
3. 부賦에 나타난 성리학 이론
4. 문文에 나타난 성리학 이론
5. 시詩·부賦·문文을 통해본 한훤당 성리학의 의의

Ⅴ. 한훤당 도학의 도달 지점, 수기修己인가 치인治人인가?
1. 수기치인론修己治人論에 대한 접근 방법
2. 수기와 치인의 개념 및 특징
3. 한훤당의 추구 지점과 도달 지점
4. 한훤당의 도달 지점이 지닌 사회적 의의

Ⅵ. 한훤당 도학시道學詩의 세계, 현실인가 이상인가?
1. 도학시道學詩의 개념
2. 주제의 표출 방향
3. 도학시의 세계, 그 형성 원리
4. 형성 원리로 본 이상적 인간상

Ⅶ. 한훤당의 인물담론人物談論, 어떤 내용을 담았는가?
1. 한훤당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한 근거
2. 인간과 사물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3. 한훤당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방법
4. 이치 궁구의 규범적 가치, 그 사천事天·낙천樂天·외천畏天

Ⅷ. 한훤당은 야외에서 도학을 어떻게 교육했는가?
1. 야외에서 도학을 교육하는 까닭
2. 대양정 교육, 그 장소와 방법
3. 수포대 교육, 그 장소와 방법
4. 야외 도학교육의 사상사적 의의

Ⅸ. 한훤당 도학에 대한 의문, 그 답변을 어떻게 할까?
1. 의문의 유형과 성격
2. 청소년기 도학에 대한 의문과 그 답변
3. 성년기 도학에 대한 의문과 그 답변
4. 환로기 도학에 대한 의문과 그 답변
5. 평생기 도학에 대한 의문과 그 답변

Ⅹ. 한훤당 도학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1. 남명이 제시한 교훈 담론
2. 실천 의지가 주는 교훈
3. 수기 방법이 주는 교훈
4. 주체 인식이 주는 교훈
5. 교훈의 가치와 그 수용 방안

부록
참고논저
찾아보기
Author
신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