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30.62
SKU
97911851346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Mon 05/2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6 - Mon 05/2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20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85134697
Categories 대학교재 > 인문학 계열
Description
이 책은 18세기 조선의 진정한 유학자 녹문 임성주(1711~1788)를 학술적으로 심도 있게 조명한 전문적인 학술서이다. 임성주는 화담 서경덕, 퇴계 이황, 율곡 이이, 한주 이진상, 노사 기정진과 더불어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일컬어지는 매우 특징있는 유학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임성주는 우리 학계의 일부 학자들에게만 알려져 있을 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그의 동생 운호 임정주도 저명한 성리학자이고, 여동생 임윤지당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로 유명하다. 녹문 임성주는 기존의 연구가들이 그를 기 철학자 내지 기론자로 규정하여 우리 학계에서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 책은 이러한 임성주에 대한 그릇된 시각과 학문적 편견을 바로 잡고자 손흥철 교수 등 전문 학자들이 여러 분야에서 연구한 성과를 종합해 엮은 녹문 연구의 대표적인 저술이라 할만하다. 녹문의 생애, 율곡성리학의 계승과 창신, 성리학적 위상, 심성론, 인물성동이론, 경학, 예학, 경세,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녹문의 생애, 사상, 인품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다. 무엇보다 녹문은 평생 오로지 학문연구에만 전념했던 發憤忘食의 진정한 유학자로서 진리는 公物이라는 신념으로 율곡은 물론 남계 박세채, 남당 한원진의 설 까지도 비판하였다. 理氣同實, 心性一致라는 그의 성리학적 화두는 율곡의 理氣之妙를 계승하면서 실재와 실천의 지평 즉 氣의 관점에서 세계를 이해하고 사물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創新의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공저자 충남대 황의동)
Contents
녹문 임성주의 가계와 생애 (강순애)
녹문의 율곡성리학 계승과 창신 (황의동)
임녹문의 리기론과 성리학사상의 위상 재고 (손흥철)
녹문 임성주의 심성론과 인간 이해 (김문준)
녹문 임성주의 인물성동이론과 그 리기론적 토대 (유원기)
녹문 임성주의 경학연구와 학문 태도 (곽신환)
녹문 임성주 예학의 범주와 성격 (박례경)
임녹문의 현실인식과 경세사상 (김인규)
녹문 임성주의 근본주의적 재도론과 도학시의 세계 (김풍기)
녹문, 임윤지당, 운호 3남매의 우애와 학문 (손흥철)

·부 록1 : 녹문 임성주 선생 행장(行狀)
·부 록2 : 녹문 임성주 선생 연보(年譜)
·부 록3 : 녹문 임성주 선생 신도비문(神道碑文)
·부 록4 : 녹문 임성주 선생 연구목록
Author
손흥철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받고 중국 南京大學 哲學系 방문학자를 지냈다. 전 안양대 교수,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등을 거쳐 현재 율곡학회 회장, 국제유학연합회 이사, 中國 河南省 國際河洛文化硏究會 해외이사로 있다. 저서로 『녹문 임성주의 삶과 철학』, 『중국 고대사상과 제자백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이정의 신유학』(원제: 『洛學源流』)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율곡의 경세론과 疏通의 정신?, ?다산학의 재조명을 위한 시론?, ?인물성동이논쟁의 논거 분석?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받고 중국 南京大學 哲學系 방문학자를 지냈다. 전 안양대 교수,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등을 거쳐 현재 율곡학회 회장, 국제유학연합회 이사, 中國 河南省 國際河洛文化硏究會 해외이사로 있다. 저서로 『녹문 임성주의 삶과 철학』, 『중국 고대사상과 제자백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이정의 신유학』(원제: 『洛學源流』)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율곡의 경세론과 疏通의 정신?, ?다산학의 재조명을 위한 시론?, ?인물성동이논쟁의 논거 분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