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19.44
SKU
97911601837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1/15
Pages/Weight/Size 133*198*20mm
ISBN 9791160183771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디지털 문맹에서 탈출하기 위한 필수 지침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SNS, 생성형 AI, 메타버스, 챗GPT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다. 과연 우리는 이에 걸맞은 미디어 지식과 교양을 갖춘 디지털 민주 시민으로 행동하고 있는가? 미디어에 지배당하지 않고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우리는 밥을 먹으면서, 길을 걸으면서, 심지어 서로 대화를 하면서도 손에 든 스마트폰을 통해 유튜브를 시청하고, 인터넷 기사를 검색하고, 챗GPT에 물어본다. 딥페이크를 악용한 정체불명의 가짜뉴스, 허위 조작 정보의 덫에 걸린 줄도 모르고 이를 맹신하고 공유한다. 미디어 문맹에서 벗어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갖추기 위해 어떤 역량과 실천이 필요할까?”

디지털 미디어의 급속한 성장을 목도하면서 그 이면에 허위정보 확산,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표현 증가, 사이버 폭력 등 디지털 미디어의 역기능 목록도 나날이 길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디어 문해력(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의 법제화가 지방자치단체별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도 미래세대 핵심역량으로 디지털 기초소양의 강화와 정보 교육의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등 학교 현장에서도 디지털 문해력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로 미디어를 활용한 제작 교육이나 미디어 역기능에 초점을 둔 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핵심인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과 미디어를 통한 사회참여 교육의 비중은 낮은 상황이다. 특히 최근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이 확산되면서 AI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리터러시 교육의 범위도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키움으로써 미디어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비판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더 나아가 디지털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관점들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10명으로 구성된 미디어 전문가들이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에 대한 개념과 역사를 정리하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실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의 정의와 역사, 디지털 문해력 수준 진단,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향상을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개념들(프라이버시, 프레임, 미디어 재현 등), 해외 선진국들(일본, 영국, 독일)의 디지털 미디어 정책과 사례 등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위한 필수 내용들을 한 권에 담았다. 각각의 고찰에는 다양한 시각으로 수집된 실천 사례들을 수록해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실용서로서의 면모도 갖추었다.

이 책은 교사를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 교육자들이 학교 현장이나 학교 밖에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일반 독자들에게는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성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 줄 것이라 기대한다.
Contents
서문

Part 1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의 개념과 사례

Chapter 01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신삼수
1. 왜 미디어 문해력을 갖춰야 하는가
2. 미디어는 어디까지 발달하고 있는가
3.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5. 어떻게 미디어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가

Chapter 02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교육… 이선민
1. 들어가며
2. 아동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
3. 프라이버시의 의미
4.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5. 프라이버시 교육 프로그램
6. 나가며

Chapter 03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실천 사례… 김봉섭
1. 들어가며
2.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수준
3.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증진을 위한 교육 사례
4. 다중 문해력(Multi Literacies)의 부상과 필요성
5. 나가며

Chapter 04 지역 연계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실천 사례… 유경한
1. 지역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차이와 연계
2. 지역적 특성과 대상의 차별화
3.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거버넌스
4. 성과와 대안, 그리고 남은 과제들

Part 2 주요 이론적 개념과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증진

Chapter 05 미디어 재현의 이해를 통한 문해력 증진… 김지연
1. 미디어 재현의 개념과 쟁점
2. 미디어 재현의 이론적 논의
3. 미디어 재현의 주요 사례
4. 미디어 재현에서 미디어 표현과 참여로
5.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제언

Chapter 06 뉴스 프레임 이해를 통한 문해력 증진… 이창호
1. 뉴스 프레임이란 무엇인가
2. 왜 뉴스 프레임에 주목해야 하는가
3. 뉴스 프레임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을까
4. 뉴스 프레임 분석 사례를 살펴보자
5. 어떤 요인들이 뉴스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가
6. 비판적 사고는 왜 중요한가

Chapter 07 알고리즘 이해를 통한 문해력 증진… 홍남희
1.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2. 넷플릭스와 유튜브의 사례
3. 생성형 AI의 알고리즘과 가짜 정보의 판별
4. 알고리즘 이해를 통한 문해력의 증진
5. 알고리즘 이해와 비판적 문해력의 필요성

Part 3 해외의 디지털 문해 교육

Chapter 08 성찰적 리터러시와 일본의 사례… 김경화
1. 일본과 ICT사회
2. 디지털 기술의 일상성과 성찰적 리터러시
3. 일본 사회와 성찰적 리터러시
4. 고도의 정보화 사회와 성찰적 리터러시

Chapter 09 영국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 봉미선
1. 영국 미디어 문해 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2. 영국 미디어 문해 교육은 그동안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3.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문해력 증진을 위해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가
4. 학교와 가정, 학교 밖에서 미디어 문해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5. 영국의 디지털 문해 교육을 누가 주도하는가
6. 영국의 디지털 문해 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Chapter 10 독일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교육 사례… 강진숙
1. 독일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세부 역량
2. 독일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현황
3. 독일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 및 활동 사례
4. 시사점 및 제언
Author
신삼수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
EBS 수신료정상화추진단장
한국항공대학교 공학사
고려대학교 교육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사

1994년부터 EBS에서 줄곧 일하고 있다. 방송엔지니어로 입사하여 교육전문 기자, 수능강의 CP, 정책기획 등 실무를 담당하였으며 비서실장, 수능교육부장, 정책기획부장, 경영혁신팀장을 맡았다. 한국항공대학교 통신정보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에서 설득커뮤니케이션 연구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공영방송 제도, TV수신료에 관한 논문을 저술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공영방송, 보편적 서비스, 설득 커뮤니케이션, 방송정책, 미디어 리터러시 등이다.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
EBS 수신료정상화추진단장
한국항공대학교 공학사
고려대학교 교육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사

1994년부터 EBS에서 줄곧 일하고 있다. 방송엔지니어로 입사하여 교육전문 기자, 수능강의 CP, 정책기획 등 실무를 담당하였으며 비서실장, 수능교육부장, 정책기획부장, 경영혁신팀장을 맡았다. 한국항공대학교 통신정보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에서 설득커뮤니케이션 연구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공영방송 제도, TV수신료에 관한 논문을 저술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공영방송, 보편적 서비스, 설득 커뮤니케이션, 방송정책, 미디어 리터러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