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갈한 언어로 존재의 쓸쓸함과 비극적 아름다움을 빚어내는 김명리 시인은 시집 『친밀한 슬픔』을 두고 “허무와 냉소의 아교질로 구축된 전대미문의 생의 비가”이자 “조현병을 앓는 한 시인이 절망과 비애를 문학의 자양분 삼아 한 줄 한 줄 적어 내려간 생의 비망록”으로 일컫는다. 박종언 시인이 던지고 끌어당긴 언어의 그물에는 과연 무엇이 담겨 있을까.
박종언의 시가 그리는 궤도에는 50명 이상의 시적 화자가 등장해 저마다의 간절함과 안쓰러움, 부질없음과 속절없음의 사연을 털어놓는다. 김봉만(53), 서순금(55), 알렉한드로(23), 이무혁(42), 김준봉(37), 호세 카를로스 세르반테스(71), 이학출(52), 이정자 (55), 송복만(58), 이옥자(29), 심종만(47), 김출봉(41), 이석만(58), 박철환(39), 최애자(18), 김서연(39), 이병만(49), 김소향(35), 아디야 아흐마디(74) … 시인은 이들의 삶에 맺힌 응어리를 어떻게 풀어주고 있는가.
김명리 시인에 따르면 “시집 속 화자의 대부분은 사회로부터, 운명으로부터 내몰린 사람들이자 시인 자신이 바라보는 세계의 고통의 시적 등가물이다. 놀라운 것은, 형식적으로는 정교한 건축학적 설계에 의해 지어진 듯해 보이는 이 시집이 자본주의 체제의 강고한 힘에 떠밀린 뭇 소외되고 버려진 이들의 내상에 입을 달아주고 시인 자신이 멀티 페르소나가 되어 준동하는 절망의 세계를 탄탄하고도 정밀한 시의 언어로 구현”해내고 있다.
한편 ‘죽은 자의 집 청소’의 저자인 김완 작가는 시집에 등장하는 화자들이 “한 하늘 아래 저마다의 굴레를 뒤집어쓰고 장차게 살아가는 사람들”이자 “태어났으니 각자 이름을 얻었고, 살아있으니 옆구리마다 세월의 괄호를 짊어졌다. 무직자이거나 막노동꾼, 동성애자, 노숙자, 시인, 노방전도자, 대학교수, 기자, 유목민, 여공, 간호사, 우울증 환자, 영업사원… 또 누군가의 딸이자 아들, 어머니와 아버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김완 작가에 따르면 박종언 시인은 “곤궁한 사람 곁을 떠나지 않고 마음이 누그러지는 틈을 기어이 배집고 들어가, 어르고 달래고 다독이는 일. 고난에 바동대는 이의 정신 줄 한 가닥을 붙잡고 끝끝내 끌어올리는 일”을 수행함으로써 이들을 위로한다.
Contents
추천의 글
1부 네 존재를 언어로 호명할 때
2부 허리 꺾으며 우는 백양나무 아래로
3부 가장 아프게 빛나는 별
_ 고운 목소리로 슬픈 얼굴을 불러내어_김완
_ 시인의 말
Author
박종언
1972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바람과 함께 자랐다. 20대 중반 브라질에서 근대문학을 공부하던 중 극한의 정신적 고통을 겪으며 생의 모든 명제가 무너져 내리는 걸 경험했다. 이후 정신분열이라는 의학적 용어인 조현병과 싸웠다. 솔직히 말해 나는 병을 이겨내지 못했고 치유하지 못했다. 그저 온몸으로 여기까지 걸어왔고 걸어오며 시를 썼을 뿐이다. 이제 시를 놓아주고 싶다. 그러므로, 잘 가라, 청춘.
1972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바람과 함께 자랐다. 20대 중반 브라질에서 근대문학을 공부하던 중 극한의 정신적 고통을 겪으며 생의 모든 명제가 무너져 내리는 걸 경험했다. 이후 정신분열이라는 의학적 용어인 조현병과 싸웠다. 솔직히 말해 나는 병을 이겨내지 못했고 치유하지 못했다. 그저 온몸으로 여기까지 걸어왔고 걸어오며 시를 썼을 뿐이다. 이제 시를 놓아주고 싶다. 그러므로, 잘 가라, 청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