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세상을 바꿔 놓고 있다. 일하는 방식과 소통의 방식, 공간의 이동 등 삶의 양식을 통째로 바꾸고 있다. 문명의 대전환이 일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어떤 변화이든 현상적 변화에 그치지 않고 질적 변화, 근본적 변화가 일어날 것임이 분명해 보인다.
이러한 변화가 인류의 문명에 긍정적 모멘텀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사유의 변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으면서 문명의 물질적 조건이 바뀌는데 정신적 조건인 사유는 코로나 시대에 머물러 있으면 뉴노멀이 제대로 자리를 잡을 수 없게 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유 패러다임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만물을 경계 짓고 구분 지어 나에게서 타인을, 사람에게서 자연을 소외시키는 분리형 패러다임을 나와 타인, 사람과 자연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융합형 패러다임으로 바꿀 필요가 있어 보인다.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 코로나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계에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기술적 한계, 문명적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융합적 시도나 작용들이 넘쳐나야 한다. 이 책에서는 경계를 넘어 창조적 융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하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장자의 사유를 통해 추적해보고 있다.
Contents
| 들어가는 말 |
제1장 | 경계에 대한 사유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미래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경계를 품고 즐기고 넘어서라.”
완전한 자유는 모든 것을 초월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경계를 넘어서다.
뒤집고, 뒤집고 또 뒤집어라
-전복적 사고는 사유의 낡은 틀을 깨는 망치
양의 차이가 질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빅 데이터는 시공간의 경계를 돌파한 대붕(大鵬)이다.
아무리 잘생겨도 매력이 없다면!
-미추(美醜)에 경계란 없다. 자신만의 매력으로 승부하라.
“저를 믿어 주시니,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율과 타율의 경계를 허무는 무위의 리더십
내면 깊은 곳에서 들려오는 영혼의 소리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창조의 꽃이 피어난다.
저것은 이것에서 나고, 이것은 저것에서 난다
-물리적 세계의 경계를 허무는 양자역학이 가져올 혁명적 변화
잘 노는 사람이 일도 잘한다
-조삼모사(朝三暮四) 우화, 일과 휴식의 경계를 말하다.
왼쪽이 있으니 오른쪽이 있다
-경계를 차이로 만드는 도그마
나는 모른다, 나는 모른다
-꼰대와 선배의 경계, “내가 해봐서 다 안다.”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관습적 사고와 혁신적 사고의 경계, 잊어야 할 것은 잊어라.
제3장 | 미래에 대한 사유
블록체인, 개방으로 경계를 허물다
-경계를 허물어 더 안전하게 만드는 신비로운 기술
‘디폴트 월드’를 떠나 무(無)의 세계로
-실리콘밸리의 천재들, 경계 없는 사막에서 혁신의 영감을 얻다.
“우리가 알아서 다 해드릴께요.”
-캄테크, 인간과 AI의 경계를 허물다.
질문하고, 의심하고, 또 질문하고, 의심하라
-패러다임 시프트, 크게 의심해야 틀을 바꾼다.
“이젠 대화를 하고 싶습니다.”
-소통하는 애자일 조직을 만들려면 경계부터 허물어라.
구분 짓지 말고 항상 소통하라
-인터넷의 미래, 사물인터넷과 종간인터넷을 넘어 우주인터넷으로
경험으로 지식을 축적하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기술, 체험경제의 경계를 넘어서다.
내가 나비인가, 나비가 나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상과 현실의 구분이 없어진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려면 소비자를 행복하게 하라.
| 에필로그 | 우주, 경계가 없는 평등한 공간 |
Author
박영규
노자와 장자, 주역 그리고 고양이를 사랑하는 인문학자다. 서울대학교 사회교육학과와 동대학원 정치학과를나왔으며,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승강기대학교 총장, 한서대 대우교수, 중부대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동아비즈니스리뷰(DBR)에 〈주역으로 읽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과 인간관계〉로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서울시 교육청과 백상경제연구원(서울경제신문 산하)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고인돌(고전 인문학이 돌아오다) 프로그램에 강사로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인문학을 부탁해》,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다시논어》,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아주 기묘한 장자 이야기로 시작하는 자존감 공부》,《존재의 제자리 찾기》, 《관계의 비결》, 《퇴근길 인문학 수업》(공저),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나의 리틀 포레스트》,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2020 우수 출판 콘텐츠 당선작) 등이 있다.
노자와 장자, 주역 그리고 고양이를 사랑하는 인문학자다. 서울대학교 사회교육학과와 동대학원 정치학과를나왔으며,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승강기대학교 총장, 한서대 대우교수, 중부대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동아비즈니스리뷰(DBR)에 〈주역으로 읽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과 인간관계〉로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서울시 교육청과 백상경제연구원(서울경제신문 산하)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고인돌(고전 인문학이 돌아오다) 프로그램에 강사로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인문학을 부탁해》,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다시논어》,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아주 기묘한 장자 이야기로 시작하는 자존감 공부》,《존재의 제자리 찾기》, 《관계의 비결》, 《퇴근길 인문학 수업》(공저),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나의 리틀 포레스트》,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2020 우수 출판 콘텐츠 당선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