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를 불문하고 십수년 동안 지속된 저출산 추세에 통상 키즈산업 수요 자체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됨에도 이용자의 전체 이용횟수가 곧 수요가 되는 ICT 환경 특유의 무한한 파급력 때문에 아이들을 위한 ICT 콘텐트·플랫폼 분야는 호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 등 웬만한 오프라인 산업에선 소비자의 절대숫자가 줄면 줄수록 수요도 자연히 줄어든다. 하지만 온라인에선 소비자의 절대숫자가 줄었더라도 조회 수와 같은 이용횟수가 급증하면서 해당 서비스의 수익성 강화로 이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특히 대표적 ICT 서비스인 IPTV(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쌍방향 TV 서비스)의 경우 영유아 가정의 시청 시간이 일반 가정에 비해 20% 정도 긴 것으로 알려져 소비자 유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이 보고서에서는 전반적인 최근 육아트랜드를 분석하고 영유아용품 산업에 대해 분석해보고사 한다.
Contents
1. 출생아수 인구 동향 5
가. 출산율 정의 방법 5
나. 연도별 출생아 수 및 합계출생율 추이 6
다. 주요 시도별 출산율 7
라. 출산율 저하 원인 8
3. 유아용품시장 소비 주체 및 트렌드 20
가. 유아용품 소비 주체 20
나. 유아용품 소비 트렌드 20
1) 의(衣) 21
2) 식(食) 21
3) 주(住) 22
다. 업체에서 선정한 2018년 하반기 유아업계 트렌드 : 'S.A.F.E.T.Y’ 22
1) 우리 아이를 위한 최상의 안전성 (Safety First) 23
2) 아날로그 육아법의 귀환 (Analog Parenting) 23
3) 아빠 육아 트렌드의 확산 (Father’s Love) 24
4) '노케미맘' 위한 친환경 제품의 인기(Eco-Friendly) 24
5) 여행 즐기는 밀레니얼 세대 부모를 위한 여행용 유아용품 인기(Travel System) 24
6) 유튜브 선생님 전성시대(Youtube Creator Followers) 25
라. 업체에서 선정한 2019년 하반기 유아업계 트렌드 25
1) 육아도 뉴트로 열풍 (Going new-tro) 26
2) 한 아이에게 집중 (Only One) 26
3) 랜선라이프 확대 (LAN’s Life) 27
4) 홈퍼니싱 육아용품 (Design First) 27
5) 육아 영상 콘텐츠 확대 (Play Video) 27
6) 육아맘도 홈트족 (In-home training) 27
7) 친환경 제품의 강세 (Green Friendly) 28
4. 유아동 산업 30
가. 유아동[엔젤] 산업의 정의 30
나. 유아동(엔젤) 산업 현황 30
1) 유아용품 31
5. 육아박람회 74
가. 해외 육아용품 박람회 74
나. 국내 육아용품 박람회 74
다. 박람회를 통해서 본 2018년 유아용품 트렌드 75
1) STEAM TOYS 75
2) High-Tech를 입은 유아용품 75
3) 유모차와 카시트 브랜드 강세 75
6. 해외 시장에서의 영유아용품 사용 실태 및 한국 기업의 진출방안 77
가. 중국 77
1) 중국 영유아용품 시장 77
2) 주요 유아용품 시장 현황 82
3) 국내 유아용품 업체의 진출 94
나. 아세안 시장 95
1) 베트남 96
2) 필리핀 99
3) 인도네시아 101
다. 그 밖의 나라 103
1) 러시아 103
2) 브라질 105
8. 대한민국 키즈산업의 향후 방향 110
가. Convenience, Safety, Self-control 3대 핵심 Keywords 고루 갖춰야 Kids 상품 111
나. Kids 상품 자체의 수익성보다 생애주기 내“First Entry Market”으로서 성인 시장으로의 연계 111
다. 성공한 Kids Contents와의 제휴로 마케팅 강화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