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은 얼마나 가볍고 또 무거운가

사회학자 조은의 노트가 있는 칼럼
$17.25
SKU
979119637489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1/22
Pages/Weight/Size 130*195*18mm
ISBN 9791196374891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우리는 일상에서 어떤 이야기와 만날까?
사회학자의 일상 읽기는 소설 같기도 하고 로드 무비 같기도 하다.
칼럼보다 노트에 더 눈길을 머물게 한다.


사회학자 조은 교수(동국대 명예교수)가 2017년 1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한겨레신문에 연재한 칼럼을 모아 펴내면서 한 편의 긴 노트와 다섯 편의 짧은 노트를 붙였다. 학문과 장르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글을 써 온 저자가 칼럼 앞에 붙인 ‘긴 노트’는 50년 만에 고향을 방문하면서 시작한 귀향소설 같은 현장 일지다. 로드 무비 같기도 하다. 저자의 사유의 공간에 똬리를 틀고 앉아 칼럼을 수시로 간섭하고 사유의 궤적을 드러낸다. 칼럼 앞에 노트를 붙인 이유다.

조은 교수의 칼럼은 연재 내내 독자들에게 잔잔한 파장과 감동,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시기와 무관하게 지금 읽어도 공감과 흡입력을 자아내는 저자의 글은 시사적인 문제나 소수자의 문제 등 우리 사회의 여러 단면에 대해 글쓴이 특유의 식견과 안목을 발휘하며 읽는 이로 하여금 생각의 단서를 열어 준다. 따뜻하고 진솔하지만 예각이 있는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겸허함과 공감대를 자아내는 글쓰기는 책 전체를 관통하며,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이 사실 “얼마나 가볍고 또 무거운가”라는 문제의식을 환기시킨다. 아울러 “공통된 의미 지평을 잃어버린 통약 불가능한 비극적 공동체로 가는 징후”로서의 지금, 현재를 진단한다.

스물다섯 편의 칼럼 중 다섯 편에 붙은 ‘짧은 노트’는 칼럼에 미처 담지 못한 사유의 회로와 더 짚어야 할 담론 거리들을 담았다. 현장 연구자의 감수성을 드러내면서 읽기와 쓰기가 지식인의 실천의 영역임을 거침없이 짚는다. 특히 2장의 칼럼 〈여성들의 혁명은 일상에서 시작한다〉에 붙인 노트는 역사 추리 소설 같은 제목으로 역사학계에 질문을 던지고 지식권력의 장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요청한다. 3장의 〈장산곶매 이야기 좀 빌려도 될까요〉라는 칼럼에 붙은 노트 〈문제적 칼럼이 돠다〉는 하나의 글이 ‘문제적’이 되는 과정을 여과 없이 메모로 드러낸다. 독자들에게 사유와 성찰의 공간으로 열어놓은 계산된 여백의 글이다.
Contents
프롤로그 12

Ⅰ부 어떤 한 해, 가까운 옛날이야기

50년 만의 고향 방문
고향을 다녀온 지 열흘 만에 전화 한 통을 받다
두 번째 영광 방문
육십 몇 년이 지나 떨어뜨린 이야기
‘목소리 소설’ 작가를 토론하다
시국을 잘못 만난 사람들
어떤 기억과 어떤 기록

Ⅱ 부 일상에 대한 예의

1장 일상의 무게

위 캔 스피크…
올해도 스치고 싶은 사람들
노예 만들어 줄 일 있느냐고요
왼손과 오른손을 찬찬히 들여다보다
- 채의진 선생 작업장 풍경
우리 모두 위로가 필요하다
(자본주의적) 가족을 사랑하는 방식?!
읽고 쓰기의 쓸모를 생각하다
올해 만나 보고 싶은 사람들

2장 글 안의 사람, 글 밖의 풍경

여성들의 혁명은 일상에서 시작한다
- 여성 독립운동가의 육필 원고에 누가 손댔을까?
학문이(도) 패션 상품일까
〈기생충〉과 중산층 파국의 징후 읽기
내가 만난 가장 아름다운 여름 정원
역사가 부끄러움을 가르칠 수 있다면
어떤 가난과 어떤 가혹한 70년
글을 쓰다가 길을 잃다
오월 광주와 ‘우리 선생님’에 대한 사유
- ‘우리 선생님’이 던진 숙제 그리고 …
팬데믹 영화제 로드 무비를 상상하다

3장 일상에서 던지는 물음

장산곶매 이야기 좀 빌려도 될까요?
- ‘문제적 칼럼’이 되다
집에 대한 예의를 생각해 보는 시간
‘그들의 시간’과 만날 수 있을까
어떤 위로 어떤 감동 어떤 아름다움을
‘어떤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
“살림 따라오나 봐라”
어떤 말하기와 읽어 주기의 힘
- 페미니스트 지식인의 ‘어떤 읽기’와 문해력
우리는 어떤 길을 낼 수 있을까?

에필로그
Author
조은
1946년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83년부터 2012년까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다. 페미니스트 사회학자로 학문과 장르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연구하고 작업을 해 왔다. 학술논문 외에 다큐멘터리 〈사당동 더하기 22〉, 〈사당동 더하기 33〉을 제작 및 감독했다. 문화기술지 《사당동 더하기 25》와 소설 《침묵으로 지은 집》을 출간했다
1946년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83년부터 2012년까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다. 페미니스트 사회학자로 학문과 장르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연구하고 작업을 해 왔다. 학술논문 외에 다큐멘터리 〈사당동 더하기 22〉, 〈사당동 더하기 33〉을 제작 및 감독했다. 문화기술지 《사당동 더하기 25》와 소설 《침묵으로 지은 집》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