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금수강산』이라는 특정 잡지를 선택하여 북한어의 글, 영상 자료 등을 바탕으로 북한어의 개념, 표기, 발음, 어휘, 표현, 문장, 언어 예절 등 전반적인 모습을 조망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북한어 화자가 아닌 저자로서는 무엇이 소개할 만한 언어 자료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았다. 북한어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무엇보다도 대중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어느 정도 학술적 내용을 담으면서도 과도한 내용은 주석으로 처리하였다.
Contents
제1장 북한어란 무엇인가
1.1. 두 개의 언어
1.2. 북한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1.3. 이질화인가 다양화인가
제2장 닮은 듯 다른 규범의 세계
2.1. 남북한 어문 규범의 갈림길
2.2. 맞춤법, 무엇이 같고 다른가
2.3. 외래어 적는 법
2.4.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제3장 멀고도 가까운 북한어 어휘
3.1. 북한어 어휘의 색채
3.2. 경계의 어휘들
3.3. 우리가 잊은 말들
제4장 다듬은 말로 보는 북한어
4.1. 온 인민의 언어 운동 ‘말다듬기’
4.2. 이상과 현실 사이
4.3. 다듬은 말을 찾아서
제5장 지역에서 찾은 말들
5.1. 방언에서 고른 문화어
5.2. 방언의 거리
제6장 북한 사회를 비추는 어휘
6.1. 정치의 언어
6.2. 사회를 비추는 또 다른 언어들
제7장 말소리로 보는 북한어
7.1. 우리 귀의 북한어 발음
7.2. ‘아’ 다르고 ‘어’ 다른 말들
제8장 엇갈리는 말들
8.1. 조어법이 만든 차이
8.2. 형태가 다른 말
8.3. 어긋나는 말의 의미들
제9장 관용적 그러나 생소한 표현들
9.1. 이은말의 세계
9.2. 관용 표현 이해하기
제10장 북한어 문장의 가로세로
10.1. 북한어 어미의 스펙트럼
10.2. 눈에 띄는 조사, 귀에 선 표현들
10.3. 즐겨 쓰는 표현 방식들
제11장 북한어의 예절
11.1. 부르고 가리키는 말
11.2. 높임의 말하기
11.3. 다양한 빛깔의 인사말
11.4. 공감의 언어 예절
제12장 통일 시대의 한국어
Author
허철구
국립국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우리말의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를 순화하는 일을 했다. 현재는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를 아끼는 한마음으로 일간지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글을 써왔으며, 국어심의회 위원 등으로 우리말을 보살피는 활동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말 규범의 이해』, 『단어와 어휘부』(공저), 중학교 『국어』(공저) 교과서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우리말의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를 순화하는 일을 했다. 현재는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를 아끼는 한마음으로 일간지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글을 써왔으며, 국어심의회 위원 등으로 우리말을 보살피는 활동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말 규범의 이해』, 『단어와 어휘부』(공저), 중학교 『국어』(공저) 교과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