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과 미스터리로 가득 찬 과학의 속살을 들여다보다
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통합적 사유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늘날 과학은 그 어느 때보다 첨예한 모순과 기이한 미스터리로 가득 차 있다. 지구의 위기를 주장하는 생태주의자와 과학기술의 해결능력을 믿으라는 과학자, 원자력이 안전하다고 말하는 정부와 그 파멸성을 경고하는 운동가…. 우리는 누구의 말을 신뢰해야 하는 것일까? 이 책은 이러한 ‘논란 속의 과학’을 단순한 찬성이나 반대에서 벗어나 정치-사회적 관계까지 포괄하는 인문학의 지평에서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책이다. 2012년 초판에 이어 2023년 완전 개정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저자 브뤼노 라투르는 현재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과학기술학자이자 그 이론의 폭과 깊이에 있어서 철학, 사회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석학이다. 철학 쪽에서는 데리다와 들뢰즈, 사회학 쪽에서는 피에르 부르디외 이후 이렇다 할 사상가가 등장하지 않는 상황에서 라투르는 ‘21세기의 헤겔’이라 불릴 만큼 총체적이고 독보적인 사유를 보여주는 학자로 꼽힌다.
이 책은 라투르 스스로 자기 사상의 요체를 편지 형식으로 소개한 것으로, 과학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자율적이라는 통념을 뒤엎고 근대적 세계관이 만들어낸 과학과 정치,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에 이의를 제기한다. 폭넓은 인문학적 시야와 도발적인 과학사 해석을 바탕으로 한 여섯 편의 편지는, 아르키메데스에서 영화 〈아바타〉에 이르는 생동감 넘치는 사례들을 통해 과학기술로 둘러싸인 현대 사회의 작동방식을 적나라하게 해부하며, 철학과 자연과학이 그간 씨름해왔던 인간-자연-사회의 존재방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아리아드네의 실을 제시한다.
Contents
추천의 글 / 라투르는 누구이며 왜 중요한가?
01 첫 번째 편지 - 아르키메데스의 지렛대
과학기술의 자율성을 다시 생각하기 / 아르키메데스의 세 가지 기적
과학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첫 번째 개념: 번역과 구성
02 두 번째 편지 - 과학기술의 미궁 속으로
도처에 널려 있는 과학과 기술 / 두 번째 개념: 시험과 고장
개코원숭이, 외치, 쥘 베른, 그리고 현대인 / 근대화인가, 생태화인가
03 세 번째 편지 - 이것은 왜 과학이 아니란 말인가
떠도는 발화체를 말풍선에 넣기 / 세 번째 개념: 논쟁과 기입
수사학과 증명, 그리고 능변 / 과학의 정치
04 네 번째 편지 - 과학혁명의 역사를 다시 쓰기
혁명의 역사, 명시화의 역사 / 실험실의 삶 속으로
실험실과 현실 세계의 얽힘 / 둘로 쪼개진 세상
05 다섯 번째 편지 - 무엇을 할 것인가?
구획에서 난장판으로 / 과학을 세속화하기
세계들의 정치 / 기술민주주의를 향하여
코기토에서 코기타무스로
06 여섯 번째 편지 - 과학인문학이 그리는 하이브리드 세계
자연의 정치 / 진정한 자연과학자, 다윈과 윅스퀼
아인슈타인의 시계, 뉴턴의 천사 / 지구로 돌아오기
무한한 유니버스에서 복잡한 멀티버스로
감사의 글
더 읽을거리
옮긴이의 글
Author
브뤼노 라투르,이세진,김환석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 철학자, 과학기술학 연구자이다. 1982년부터 2006년까지 파리국립광업학교에서, 2006년부터 2017년까지 파리정치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파리정치대학의 명예교수이며, 2018년부터는 독일 카를스루 미디어아트센터에서 연구를 이어 가고 있다. 그는 과학기술학 분야의 개척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서 2013년에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홀베르상을 수상했다. 대표 저서로는 첫 책인 『실험실 생활(Laboratory Life)』부터, 과학기술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젊은 과학의 전선(Science in Action)』, 근대성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담은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We Have Never Been Modern)』, 과학전쟁의 결과를 탐구한 『판도라의 희망(Pandora’s Hope)』 등 숱한 문제작들을 펴냈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 철학자, 과학기술학 연구자이다. 1982년부터 2006년까지 파리국립광업학교에서, 2006년부터 2017년까지 파리정치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파리정치대학의 명예교수이며, 2018년부터는 독일 카를스루 미디어아트센터에서 연구를 이어 가고 있다. 그는 과학기술학 분야의 개척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서 2013년에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홀베르상을 수상했다. 대표 저서로는 첫 책인 『실험실 생활(Laboratory Life)』부터, 과학기술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젊은 과학의 전선(Science in Action)』, 근대성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담은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We Have Never Been Modern)』, 과학전쟁의 결과를 탐구한 『판도라의 희망(Pandora’s Hope)』 등 숱한 문제작들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