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해법

30개 현안으로 묻고 답하다!
$19.55
SKU
97911920630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0/20
Pages/Weight/Size 145*220*20mm
ISBN 9791192063003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의 주요 현안을 상식의 눈으로 생각하게 하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입문서!


이 책 『북핵 해법』은 북핵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법을 찾으려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해야 하고, 난마처럼 얽힌 사안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 상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 책 『북핵 해법』은 일반 상식에 기반한 주요 현안 30개를 크게 4장으로 나누어 묻고 답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북한의 핵무기, 왜 문제인가’, ‘협상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은 가능할까?’, ‘북한이 정말 핵을 포기할까?’, ‘종전 선언은 왜 필요한가?’, ‘남북한이 안정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오랜 분단의 세월만큼이나 우리가 골머리 앓았던 문제이지만, 막상 답하기에는 부담스럽고 어렵다. 바로 이때, 우리는 이 책 『북핵 해법』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통일연구회 정책실장, 국민연합 집행위원을 지냈고, 오랫동안 통일운동을 실천해 온 저자 백장현 박사는 명쾌한 문장으로 북핵 문제의 핵심을 찌르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의 북핵 문제, 종전 선언과 평화 체제, 통일외교 등의 주요 현안의 문답을 읽으며 이 사안들에 대한 생각을 말끔하게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으리라 확신한다.
Contents
제1장 북핵 문제의 본질

01. 북한은 왜 핵무기를 개발하는 걸까?
· 핵무기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19
· 북한의 ‘억지력 확보를 위한 핵 개발’ 주장 근거 있는가? 21
· 북한 내부적 요인은 무엇일까? 25
· 남북한 군비경쟁이 북한 핵무기 개발에 영향을 미쳤는가? 27

02. 북한의 핵무기, 왜 문제인가
· 국제사회의 핵무기 정책은 왜 나라마다 차별적일까? 29
· 북한의 핵 개발, 얼마만큼 진행되었나? 33

03. 북한은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다면 어떻게 될까? 37
· 핵무기 보유, 민족의 생존과 번영에 도움이 될까? 39
·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 어느 정도 혹독한가? 41


제2장 북핵 해법

04. 군사적으로 북핵 문제 해결할 수 있을까?
· 군사적 선제공격은 현실 가능한 카드일까? 47

05. 압박과 제재로 북한이 핵 포기할까?
· 북한을 봉쇄하고 압박하는 방안 실효성 있을까? 51
·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나 한국의 독자적 핵 개발은 어떨까? 55

06. 협상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은 가능할까?
· 협상과 대화는 유일한 해결책인가? 57
· 외교는 왜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59

07. 북미 양자 협상으로 북핵 문제 풀까?
· 북미 협상에서 합의된 것은 무엇인가? 65
·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은 왜 실패했는가? 68
· 북미 협상의 어려움은 무엇일까? 71

08. 북한은 비핵화 의지가 있는가?
· ‘선대의 비핵화 유훈’은 무엇일까? 74
·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믿을 수 있을까? 76

09. 김정은의 속생각은 무엇일까?
· 김정은 리더십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79
· 김정은, 북핵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을까 83
· 조선노동당 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 메시지는 무엇인가? 85

10. 북한 경제는 자력갱생할 수 있을까?
· 북한 경제, 현재 어떤 상황인가? 89
· 북한 경제는 1980년대 이후 왜 몰락했는가? 91
· 북한 경제, 스스 회생할 수 있을까? 93

11. 북한의 인권 문제, 개선 방안은 무엇일까?
· 북한의 인권, 실상을 어떨까? 95
· 미국의 인권 공세, 어떻게 봐야 할까? 98
· 북한 인권 개선할 수 있을까? 100

12. 북미 협상에서 미국의 입장은 무엇인가?
· 클린턴 행정부, 왜 북핵 문제 마무리하지 못했을까? 105
· 부시 행정부가 북한과 협상하기로 입장을 바꾼 이유는 뭘까? 108
· 오바마 행정부는 왜 북핵 문제 방치했을까? 110
· 트럼프 행정부는 왜 결과를 못 만들었을까? 111
· 미국은 북핵 문제 해결 의지 있는가? 113

13. 바이든 행정부의 북핵 해법은 무엇인가?
· 조 바이든 리더십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118
· 바이든 행정부의 북핵 해법은 무엇일까? 120

14. 북핵 해결 위한 한국의 역할은 무엇일까?
· 한국은 아무런 힘도 없는 것일까? 125
· 북미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은 무엇인가? 128

15. 북미 협상 훼방꾼, 군산복합체는 무엇인가?
· 군산복합체는 왜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방해할까? 133
· 군산복합체 실체는 무엇일까? 135

16. 일본은 왜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방해할까?
· 아베 정부는 왜 한일 갈등을 유발하는 걸까? 138
· 지소미아 갈등은 왜 일어났을까? 141

17. 한국 보수, 왜 북미 협상 못마땅해 할까?
· 한국의 보수의 실체는 무엇일까? 145
· 보수 진영이 생각하는 북핵 해법은 무엇일까? 149


제3장 한반도 평화체제

18. 평화협정은 왜 필요한가?
· 정전협정으로 평화가 정찰될 수 있을까? 155
·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 미군은 철수하는가? 159
·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북한은 왜 민감하게 반응할까? 162

19. 종전 선언은 왜 필요한가?
· 종전 선언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168
· 종전 선언은 북한에게만 유리할까? 170

20. 북미 관계 정상화가 왜 필요한가?
· 북한은이 왜 북미 관계 정상화에 매달리는 이유는 뭘까? 172
· 북미 관계 정상화는 가능할까? 175

21. 동북아에서 안보협력 체제 구축 가능할ㄲㆍ?
· 6자회담에서 동북아 안보협력이 합의된 이유는 뭘까? 178
· 안보협력 체제란 무엇인가? 180
· 동북아의 안보 실태는 어떠한가? 182
· 동북아에서 안보협력 체제 구축이 가능할까? 185


제4장 통일외교

22. 한미 동맹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미국에게 한국은 무엇일까? 191
· 동맹이란 무엇인가? 194
· 전시작전통제권, 미국이 계속 행사해야만 할까? 197

23. 왜 남북한은 교류, 협력해야 할까?
· 이산가족의 아픔을 방치해야만 할까? 201
· 동서독은 통일 전 어느 정도 교류 · 협력 했을까? 204

24. 남북한 협력 방안을 무엇일까?
· 개성공단은 왜 폐쇄된 걸끼? 207
· 남북이 할 수 있는 경협 사업은 무엇이 있을까? 211
· 남북이 안정적으로 협력할 방법은 무엇일까? 214

25. 남북한은 왜 통일해야 할까?
· 통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217
· 통일되면 무엇이 달라지나? 220
· 어떤 방법으로 통일할 수 있을까? 221

26. 우리 정부의 통일 방법론은 무엇인가?
·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무엇인가? 226
· 남북연합은 무엇인가? 228

27. 흡수통일은 왜 문제인가?
· 한반도 현실에서 흡수통일이 가능할까? 232
· 흡수통일론 폐해는 무엇인가? 234

28. 서독은 서서 갈등이 없었을까?
· 독일 통일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238
· 서독은 서서 갈등을 어떻게 극복했을까? 240

29. 남남 갈등을 극복할 방법은 없을까?
· 남남 갈등은 왜 문제가 되는 걸까? 243
· 남남 갈등 폐해는 무엇인가? 245
· 남남 갈등을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247

30. 미중 전쟁, 한국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미중 사이 한국의 외교 전략은 무엇일까? 249
· 자산의 ‘고슴도치 전략’은 무엇인가? 251
Author
백장현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통일연구회 정책실장, 국민연합 집행위원 등 사회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경남대 북한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반도 비전과 통일’ 설립 및 통일방송 개국을 추진했고, 생활 터전에 기반을 둔 통일운동을 일구기 위해 고양·파주 지역에서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을 창립해 통일시민학교 교장을 맡았다.
현재는 한신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며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운영연구위원, 가톨릭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주관하는 ‘민족화해학교’ 강사, 인천대 중국학술원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고양신문」, 『평화의 길』 등 각종 매체에 칼럼을 쓰면서 통일운동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통일연구회 정책실장, 국민연합 집행위원 등 사회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경남대 북한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반도 비전과 통일’ 설립 및 통일방송 개국을 추진했고, 생활 터전에 기반을 둔 통일운동을 일구기 위해 고양·파주 지역에서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을 창립해 통일시민학교 교장을 맡았다.
현재는 한신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며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운영연구위원, 가톨릭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주관하는 ‘민족화해학교’ 강사, 인천대 중국학술원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고양신문」, 『평화의 길』 등 각종 매체에 칼럼을 쓰면서 통일운동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