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두 음절의 ‘깨침’이 무명의 껍질을 즉각적으로 깨뜨리고 활짝 ‘눈을 뜨고 체득하는 것’이라면, 우리말 세 음절의 ‘깨달음’은 점차적으로 ‘눈을 뜨고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머리와 가슴으로 알게 되는 ‘이해理解’와 온몸으로 살게 하는 ‘체득體得’은 엄밀하게 구별된다.
붓다의 깨침과 원효의 깨침은 카필라와 신라, 즉 인도와 한국에서 1천여 년이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인간을 자유롭게 하였다는 점에서 만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두 사람의 방법에 있어서는 연속점과 불연속점이 있다. 그 닿는 점 위에서 싯다르타의 독자성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 끊긴 점 위에서 원효의 독자성이 나타나고 있다. 고타마 싯다르타와 원효는 왜 깨달아 붓다가 되려고 했을까? 이들은 어떻게 깨달아 붓다가 되었을까? 이들은 무엇을 깨달아 붓다가 되었을까? 붓다와 원효의 깨침은 같은 것일까, 다른 것일까? 같다면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 것일까?
Contents
책머리에_4
1. 깨침 혹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13
- 고타마 싯다르타의 중도中道 연기緣起와 분황 원효의 일심一心 일각一覺
2. 분황 원효, 그 생애와 사상 ·················································································· 85
3. 분황 원효의 오도체와 화성 당항성 ······································································ 111
4, 분황 원효의 여래장 인식과 불성 이해 ································································· 157
- 원효가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5.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란 무엇인가 ······································································· 199
- 분황 원효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
6. 분황 원효의 일심사상 ························································································ 235
- 기신학의 일심一心과 삼매론의 一味와 관련하여
7. 분황 원효의 화쟁 회통 탐구 - 『십문화쟁론』을 중심으로 ······································· 273
8. 분황 원효 『십문화쟁론』과 『판비량론』의 내용과 사상사적 의의 ······························ 331
9. 한국 기신학 연구의 지형과 내용 ········································································· 373
10. 분황 원효 『대승기신론소』의 내용과 특징 ··························································· 409
-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이장의』와 관련하여
11. 분황 원효 『금강삼매경론』의 주요 내용과 특징 ··················································· 465
12. 분황 원효 연구 논저 목록 ················································································ 531
찾아보기_599
Author
고영섭
한국불교사 및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동국대학교 석사, 박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저서로는 『한국불학사』(1-3책), 『한국사상사』,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1-2책), 『분황 원효』, 『원효, 한국불교의 새벽』,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한국불교사 및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동국대학교 석사, 박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저서로는 『한국불학사』(1-3책), 『한국사상사』,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1-2책), 『분황 원효』, 『원효, 한국불교의 새벽』,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