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돌로지

아이돌+팬덤+산업의 변신
$19.44
SKU
97911913831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Fri 05/3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2 - Fri 05/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25
Pages/Weight/Size 145*215*30mm
ISBN 9791191383126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국가와 젠더의 경계를 넘는 아이돌,
저항하고 소비하는 팬덤,
친밀성을 파는 엔터 산업.
‘아이돌과 함께 변화를 꿈꾸는 팬’은 가능한가?


이제 아이돌은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어떤 것이 되어 있다. 우리의 감정, 섹슈얼리티, 그리고 욕망은 이미 아이돌을 매개로 생산되고 조정된다. 이 고도화된 유기체 상품에 대해 대중을 현혹하는 헛것이라고 폄하하거나 공허한 내면을 지닌 소수만의 향유물이라고 외면할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아이돌은 현재 우리가 즐길 수 있는 유일한 문화가 아니고 가장 중요한 문화도 아니지만, 우리 삶의 기반인 유희와 정치와 윤리를 (재)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면해야 하는 것이 되었다.

어제의 아이돌이 오늘의 아이돌이 아니듯, 아이돌을 둘러싼 환경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BTS를 대표로 하는 케이팝 아이돌은 국가와 젠더의 경계를 넘어선 지 오래며, 아이돌과 팬덤은 성공이라는 공통 목표를 향해 열정적·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육성·관리하는 것을 규율화함으로써 결국은 자본-산업과 공모한다. 한편으로는 소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저항하는 팬덤, 콘텐츠를 넘어 친밀성을 파는 엔터 산업이 등장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차별과 자본에 맞서 ‘아이돌과 함께 변화를 꿈꾸는 팬’은 가능할까? ‘페미돌로지(Femi-dology)’는 페미니스트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아이돌로지(Idology)라는 뜻이다. 이 책을 쓴 13명의 페미니스트에게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자.
Contents
책을 펴내며

1부 불타오르는 한류

1장 미디어와 팬덤의 담론 전쟁 / 이지행
2장 초국적 한류와 걸그룹 노동 / 류진희
3장 탄광과 클럽 / 김주희

2부 트랜스하는 케이팝, 퀴어링하는 젠더

4장 무해한 오빠에서 의리 있는 남자로 / 허윤
5장 청춘의 퀴어링, 글로벌 대중문화의 꿈 / 미쉘 조
6장 동아시아 베어 남성 댄스 팀의 걸그룹 커버댄스 / 김경태

3부 친밀성을 살게요

7장 “항상 함께할 거예요”의 이면 / 장지현
8장 저항하는 팬덤과 소비자-팬덤의 모순적 공존 / 김수아
9장 아이돌의 자필 사과문: 소비하는 팬덤, 소진되는 팬심 / 강은교

4부 여덕, 팬덤 그리고 코로나19

10장 다시 만나는 여덕, 소녀시대 GL 팬픽 / 고윤경
11장 미스/터트롯과 여성/중년 팬덤의 탄생 / 장민지
12장 코로나19 이후의 팬덤 / 신윤희


찾아보기
Author
류진희,백문임,허윤
미디어 문화 연구자.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강사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이학사, 미국의 칼아츠대학원에서 영화연출로 예술학 석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으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초빙교수,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 학부 전임강사, 연세대학교 강사 등을 지냈다. 박사학위논문은 “파국과 영화: 21세기 영화에 나타난 파국의 감정구조”(2015)다. 포스트휴먼, 영상문화와 현대성의 관계, 뉴미디어 시대의 대중문화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미디어 문화 연구자.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강사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이학사, 미국의 칼아츠대학원에서 영화연출로 예술학 석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으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초빙교수,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 학부 전임강사, 연세대학교 강사 등을 지냈다. 박사학위논문은 “파국과 영화: 21세기 영화에 나타난 파국의 감정구조”(2015)다. 포스트휴먼, 영상문화와 현대성의 관계, 뉴미디어 시대의 대중문화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