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만난 한국사

$19.44
SKU
97911913810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Tue 06/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ue 05/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1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9138105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숲을 들여다보는 순간!
한국사의 감춰진 모습이 보인다!


환경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사에서 환경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고구려사 연구자인 김용만은 고구려와 조선 사람들의 삶이 왜 달라졌는가에 대해서 천착하다가 숲에 주목하였다. 한국사의 무대인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일대는 숲으로 가득한 곳이다. 그렇지만 한국사의 주 무대였던 숲은 주목받지 못했다. 한국인이 농경민이라는 선입견이 너무도 강했기 때문이다. 숲은 농경지보다 다채로운 공간이다. 숲이 변하면 인간의 삶이 달라짐에도 우리는 숲을 외면해왔다.
Contents
머리말

1장 왜 한국사에서 숲을 이야기하는가?

1. 한국사는 농경민의 역사일까?
생태 망각 기준점 이동 신드롬 / 달라진 생활환경
2. 농경민이 만든 편견
수렵 채집민이 야만인? / 문명사회의 야만
3. 한국사의 주 무대였던 숲
배움의 공간이자 종교를 탄생시킨 숲 / 나무의 바다 / 신라 촌락문서 / 숲의 질
4. 숲을 바꾼 인간
농업 혁명 / 숲을 구분하다 / 인공조림
5. 국가와 수렵 채집민
농업의 시작은 인류 최악의 실수? / 전염병에서 안전한 숲 / 농경민의 강점 / 만리장성은 인간 목장의 울타리
6. 생업에 따라 다른 사람들
농경민 / 반농반렵민 / 유목민 / 수렵 채집민
7. 한 · 예 · 맥 · 말갈은 누구인가?
한 · 예 · 맥의 차이 / 말갈은 누구? / 말갈족의 계보는 믿을만한가?

2장 왜 환웅은 신단수로 내려왔을까?

1. 신단수와 신시
신단수 / 하늘로 통하는 사다리 / 수렵 채집민이 만든 신전 / 웅녀는 최고의 어머니
2. 숲에서 태어난 건국시조들
숲에서 태어난 건국시조들 / 신에게 허락받은 백제 건국 / 산에서 내려온 신라 6부 촌장
3. 수렵민이 세운 나라의 변신
코미타투스 / 수렵 채집민의 변신 / 인구 증가

3장 숲에 사는 사람들

1. 『삼국유사』에서 만난 숲의 사람들
아나키스트의 땅 / 은자들의 세계
2. 신과, 인간, 동식물이 어울려 사는 숲
고분벽화에 그려진 신수 / 산해경의 세계 / 동물과 인간이 사랑하는 시대 / 숲이 사라지고 남은 유일신
3. ‘데르수 우잘라’와 발해인
데르수 우잘라 / 그가 사랑받은 이유 / 발해인의 후손
4. 나무를 숭배한 사람들
나무가 고분벽화에 그려진 까닭 / 고분벽화에 그려진 신단수 / 산수화 등장의 의미
5. 모피 사냥꾼
농경민과 교역 / 모피 교역 / 모피가 바꾼 사회
6. 인삼, 숲 사람들을 바꾸다
최고의 약재 인삼 / 인삼 교역 / 천연 약재 교역

4장 수렵민 ‘제국을 세우다’

1. 주몽이 되고 싶은 사람들
추모왕과 온달 / 인재선발의 기준 활쏘기 / 강궁 쏘기
2. 전쟁의 시대와 수렵민
쇠뇌와 강궁 / 고구려와 동옥저의 차이 / 경당과 화랑도
3. 전쟁기계
왕을 거부한 수렵 채집민 / 국가를 세운 수렵 채집민 / 전쟁기계
4. 수렵민, 제국을 세우다
말을 탄 수렵민 / 말의 나라 / 수렵민의 제국
5. 전쟁 목적으로 활용된 숲
임수 / 전쟁과 임수 / 전쟁 피해를 입은 숲
6. 살생유택이 세속오계에 포함된 까닭
세속오계 / 수렵 채집민의 계율 / 삼국의 위기 극복 방법

5장 달라져버린 숲

1. 소금, 철, 선박 그리고 나무
권력과 벌목 / 소금과 땔감 / 금속과 나무 / 선박과 목재 / 왜구를 막는 최고의 대책
2. 우경과 숯
신라 촌락문서 / 겨리농사 / 사치품 숯 / 숯의 낭비가 가져온 신라의 멸망
3. 울창한 숲과 거대 건축물
과시용 건축물 / 경쟁적으로 지어진 대형 건축물 / 고려의 대형 건축물 / 시대별로 달라진 목재
4. 숲에 들어온 사찰
사찰로 바뀐 성스러운 숲 / 사찰과 기와 / 불교의 상징물 / 숲 지킴이가 된 사찰
5. 숲과 함께 달라진 돼지의 위상
사람과 동물이 사랑한 도토리 / 돼지가 바꾼 역사 / 돼지와 멧돼지 / 천대받은 돼지

6장 농경민의 세계

1. 발해인과 여진인의 이별
발해의 특산물 / 부족민의 비율이 높았던 발해 / 발해인과 여진인의 차이 / 고려에서 차별받은 사람들 / 고려사 최악의 오판
2. 고려와 숲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고려의 다양성 / 고려의 산림천택
3. 몽골과 왜구가 바꾼 고려의 숲
몽골이 고려에 요구한 물품 / 몽골의 일본원정과 고려의 배 / 왜구가 노린 소나무
4. 가까운 숲과 먼 숲
개경 건설에 필요한 숲 / 강화 천도에 사용된 목재 / 목재 운송비 / 산림의 사유화

7장 호랑이를 잡으려다 숲을 태운 조선

1. 조선의 숲 관리와 산불 대책
조선의 산림정책 / 산불예방 대책 / 나무 심기
2. 조선이 사랑한 소나무
송악산의 소나무 / 조선의 소나무 사랑 / 소나무를 보호하라 / 소나무의 장단점
3. 포호정책의 효과
인왕산 호랑이 / 호랑이의 폐해 / 포호정책의 실시 / 포호정책의 효과
4. 지켜지지 못한 조선의 숲
산림은 공유지 / 조선 산림정책의 문제 / 원칙이 무너진 정책
5. 정약전이 비판한 금송정책
봉산과 송전 / 송정사의 / 악목이 된 황칠수와 감귤나무 / 법 위에 군림한 관리

8장 숲을 잃은 조선

1. 온돌, 기인의 하소연
온돌의 장단점 / 기인의 하소연 / 땔감 수요 급증 / 도성 주변 산림의 황폐화
2. 화전을 앞세운 농민, 숲으로 진격하다
화전농법 / 화전의 급증 / 화전 금지령의 유명무실화
3. 숲을 잃어버린 대가
광산 개발과 숲 / 화전의 6가지 피해 / 홍수 재해의 급증
4. 경제활동의 변화
사냥하지 않는 왕 / 사냥감의 감소 / 물고기 소비의 증가 / 시장에 의지하게 된 농민
5. 서양인이 본 조선의 숲
도성의 비보숲 / 도성 주변의 민둥산 / 서양인이 본 조선의 숲 / 19세기 조선의 환경위기

9장 20세기 숲의 변화

1. 일본의 산림 수탈과 화전민의 증가
열강들이 노린 산림 개발권 / 일제가 만든 산림법 / 산림 황폐화의 지속 / 도시 연료 문제와 철도 / 토막민과 화전민의 증가
2. 산림녹화의 시작
동요 메아리 / 산림 보호정책의 실시 / 쉽지 않은 산림 회복
3. 연료 소비 변화와 산림녹화의 성공
화전민 정리 성공의 이유 / 북한의 산림 빈곤 / 산림 면적의 감소
4. 변화된 숲, 미래의 숲
아직도 부족한 숲 / 중요해진 도시숲 / 숲 없이 살 수 없는 인간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영만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문화연구원 역사학과에서 공부했으며 현재 <우리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 등 인물을 중심으로 고구려 역사를 규명하는 노력을 기울여왔고, 그 연장선상에서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을 집필했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에서 보여준 고대 생활사 연구이며, 한국 고대 문명사를 규명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자료가 부족한 고대사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며, 틀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고구려 수레 연구」, 「2차 고구려-당 전쟁의 진행과정과 의의」, 「고구려 후기 고구려, 수, 당, 북방 제국의 대립관계」 등의 논문과 『고구려의 발견』, 『지도로 보는 한국사』, 『세상을 바꾼 수레』 등을 저술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문화연구원 역사학과에서 공부했으며 현재 <우리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 등 인물을 중심으로 고구려 역사를 규명하는 노력을 기울여왔고, 그 연장선상에서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을 집필했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에서 보여준 고대 생활사 연구이며, 한국 고대 문명사를 규명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자료가 부족한 고대사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며, 틀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고구려 수레 연구」, 「2차 고구려-당 전쟁의 진행과정과 의의」, 「고구려 후기 고구려, 수, 당, 북방 제국의 대립관계」 등의 논문과 『고구려의 발견』, 『지도로 보는 한국사』, 『세상을 바꾼 수레』 등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