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쿠샤, 경성 살던 서양인의 옛집

근대 주택 실내 재현의 과정과 그 살림살이들의 내력
$19.44
SKU
97911911330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4/05
Pages/Weight/Size 150*200*30mm
ISBN 979119113301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1923년 정초석을 놓은 서양식 2층 벽돌집 딜쿠샤,
근대 경성에 살던 서양인의 집,
3·1운동과 독립선언문을 세계에 알린 해외통신원의 집,
반 세기 넘게 닫혀 있던 그 집의 문이 사람들을 향해 다시 열리다

서울 종로구 행촌동 1-88번지에는 약 100여 년 전부터 자리를 지켜온 서양식 붉은 벽돌집이 있다. 이 집에는 이름이 있다. 산스크리트 어로 ‘기쁜 마음의 궁전’이라는 뜻의 딜쿠샤가 이 집을 부르는 이름이다. 오래전부터 서울의 오래된 골목길을 답사하는 이들 사이에 이미 유명세를 얻은 이 집에 얽힌 이야기는 매우 남다르다. 이 집을 짓고 살았던 이는 미국인 앨버트 테일러 가족이다. 앨버트 테일러는 일찍부터 조선에 머물며 활동한 사업가이자 3·1운동과 독립선언문, 일제의 제암리 학살 사건을 알린 해외통신원이었다. 그가 일제의 눈을 피해 미국 AP통신사에 타전한 기사로 우리나라 독립의 의지가 세계에 알려질 수 있었다.

집주인의 사연으로 유명해지기도 했지만 이 집은 집 그 자체로도 눈여겨볼 만하다. 우리나라 근대 건축의 시발점에 선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집주인도, 집도 각별한 딜쿠샤라는 낯선 이름을 가진 이 집은 그러나 집주인 서양인 가족이 일제의 외국인 추방령에 의해 조선을 떠난 뒤 쭉 방치되어 있었다. 약 반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여러 세입자가 들고나면서 그 내부는 좀처럼 공개되지 않았고, 원형은 대부분 훼손되었다. 그런 이 집이 전문가의 손길로 말끔하게 원형을 복원한 뒤 세상을 향해, 사람들을 향해 닫혀 있던 그 문을 활짝 열었다.

복원한 것은 건물만이 아니다. 근대 경성에 살던 서양인 부부가 이 집을 짓고, 이 집에서 오랜 시간 살았던 그 일상을 엿볼 수 있는 실내의 재현이야말로 딜쿠샤 복원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경성 살던 서양인의 옛집, 딜쿠샤 실내 재현의 전과 후

-- 전사前史 -- 딜쿠샤 1923 -- 역사의 한복판 -- 경성, 문화주택 그리고 서양인의 집 -- 길잡이, 사진과 기록 -- 호박목걸이 -- 재현의 시점 -- 불행 -- 세입자 -- 희망 -- 테일러상회 -- 사람들 -- 어제의 딜쿠샤 -- 공간의 언어 -- 벽난로 -- 가문의 상징 -- 거울 -- 은제 컵 -- 벽난로 위 소품들 -- 난로 -- 화로 -- 의자들 -- 테이블과 테이블 보 -- 경매 -- 궤 -- 삼층장 -- 접이식 탁자 -- 캐비닛 -- 닛코보리 탁자 -- 주칠반 -- 자수 병풍 -- 전등 -- 램프와 램프 받침대 -- 은촛대 -- 초상화 -- 풍경화 -- 우산꽂이 -- 할아버지 시계 -- 선택과 배제 -- 종 -- 놋그릇 -- 찻주전자 -- 생강병 -- 패브릭

책을 마치며
참고문헌
Author
최지혜
옛 건물 복원 대상은 ‘건축물’이 전부가 아니다. 실내 재현 또한 중요하다. 건축물이 다 못 전하는 그 시대 일상이 한결 가깝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덕수궁 석조전, 워싱턴 D.C.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등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국내 근대 건물 실내 재현 현장에는 줄곧 최지혜라는 이름이 있다.
국내에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근대 건축 실내 재현 전문가인 그는 런던 소더비 인스티튜트 Sotheby's Institute에서 장식미술 전공으로 디플로마와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국민대학교 미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앤틱 가구 이야기』, 『영국 장식미술 기행』, 「석조전 실내장식과 가구에 관한 고찰」, 「근대 전환기 궁궐에 유입된 프랑스식 실내장식과 가구: 덕수궁 돈덕전, 창덕궁 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테일러 상회의 무역활동과 가구 - 전통가구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국립고궁박물관?덕수궁?창덕궁 서양식 가구와 실내 장식에 관한 자문위원을 거쳐 지금은 앤티크 연구소 ‘수택’의 대표이자 국민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한다.
옛 건물 복원 대상은 ‘건축물’이 전부가 아니다. 실내 재현 또한 중요하다. 건축물이 다 못 전하는 그 시대 일상이 한결 가깝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덕수궁 석조전, 워싱턴 D.C.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등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국내 근대 건물 실내 재현 현장에는 줄곧 최지혜라는 이름이 있다.
국내에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근대 건축 실내 재현 전문가인 그는 런던 소더비 인스티튜트 Sotheby's Institute에서 장식미술 전공으로 디플로마와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국민대학교 미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앤틱 가구 이야기』, 『영국 장식미술 기행』, 「석조전 실내장식과 가구에 관한 고찰」, 「근대 전환기 궁궐에 유입된 프랑스식 실내장식과 가구: 덕수궁 돈덕전, 창덕궁 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테일러 상회의 무역활동과 가구 - 전통가구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국립고궁박물관?덕수궁?창덕궁 서양식 가구와 실내 장식에 관한 자문위원을 거쳐 지금은 앤티크 연구소 ‘수택’의 대표이자 국민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