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 스님의 참선공부법 (큰글자책)

$34.50
SKU
979119093889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7/30
Pages/Weight/Size 210*297*20mm
ISBN 9791190938891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우리시대의 선지식(善知識)
청화 큰스님의 공부법 강설

『청화 스님의 참선공부법』

참선은 우리 불교에서 제일 수승(殊勝)한, 제일 압축된 법문일 뿐만 아니라, 인류의 모든 문화유산의 총 결론 가운데서 제일 수승한 최고도의 수행법입니다.
Contents
프롤로그
청화 큰스님 참선 화보
제1부 청화 스님의 금타 대화상
「보리방편문」 설법
인간의 참다운 행복을 위하여
견성오도(見性悟道)의 첩경(捷徑) 「보리방편문」
삼시교판(三時敎判)으로 보는 부처님 가르침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의 대요(大要) - 마음이 바로 부처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의 실상염불선(實相念佛禪)과 심즉시불(心卽是佛)
「보리방편문」은 마음의 체계(體系)이자 우주(宇宙)의 체계
부처의 눈으로 우주를 보는 것이 「보리방편문」의 지혜

제2부 청화 스님의 참선 법문
참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올바른 참선인가
마음에서 찾아야 할 진정한 자유
참선(參禪)이란 무엇인가?
참선은 불성(佛性)을 찾아가는 지름길
참선(參禪)과 삼매(三昧)
참선의 구체적 방법
참선 공부의 길
인간과 물질의 근본 문제
참선은 불도(佛道)의 바른 문
참선의 근본정신 -본래부처
선오후수(先悟後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
염불선의 가치
선(禪)은 최고의 안락법문
불성(佛性)이 가득한 우주에는 행복만 가득
부처님은 생명
Author
청화스님
1982년 불국사에서 천호당千湖堂 월서月棲 대종사를 은사로 출가. 순천 선암사와 경주 불국사 강원 등에서 경전수학. 중앙승가대학 불교학과를 졸업.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동방대학원대학교에서 천문역경학天文易經學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 중앙승가대학 총학생회 회장, 한국대학생불교연합 지도법사로 활동. 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포교실장, 중앙승가대학교 기획실장,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원장 등의 소임을 역임. 15년 동안 종교교화위원으로 재소자 교화에 몸담은 공로로 1994년 법무부장관상을 수상. 현재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한 행복한 우리절 보현선원 원장. 저서로는 근본불교 시리즈로 『법구경 술해』, 『숫타니파아타 술해』와 『주역선해(周易禪解) 譯註』, 『주역선해 연구』, 그리고 법문과 명상의 글인 『모든 길상이 그대와 함께 하기를』 등이 있으며, 논문에는 「허응당 보우대사 시문학 고」, 「주역선해에 내재된 화엄·천태사상에 대한 연구」, 「주역선해에 내재된 불교사상과 유교사상 연구」 등이 있다.
1982년 불국사에서 천호당千湖堂 월서月棲 대종사를 은사로 출가. 순천 선암사와 경주 불국사 강원 등에서 경전수학. 중앙승가대학 불교학과를 졸업.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동방대학원대학교에서 천문역경학天文易經學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 중앙승가대학 총학생회 회장, 한국대학생불교연합 지도법사로 활동. 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포교실장, 중앙승가대학교 기획실장,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원장 등의 소임을 역임. 15년 동안 종교교화위원으로 재소자 교화에 몸담은 공로로 1994년 법무부장관상을 수상. 현재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한 행복한 우리절 보현선원 원장. 저서로는 근본불교 시리즈로 『법구경 술해』, 『숫타니파아타 술해』와 『주역선해(周易禪解) 譯註』, 『주역선해 연구』, 그리고 법문과 명상의 글인 『모든 길상이 그대와 함께 하기를』 등이 있으며, 논문에는 「허응당 보우대사 시문학 고」, 「주역선해에 내재된 화엄·천태사상에 대한 연구」, 「주역선해에 내재된 불교사상과 유교사상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