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홍 문학전집

$345.00
SKU
97911904761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3/14
Pages/Weight/Size 152*225*80mm
ISBN 9791190476126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1969년 서울신문에 평론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경희대 명예교수이면서 백석대 석좌교수인 김재홍 평론가가 등단 반세기를 기념하여 김재홍 평론 전집을 펴냈다. 이 전집은 모두 20권으로 기획되었는데 이번에 발간된 10권은 그 중 1차 본으로 1982년 서울대 국문과 박사학위 논문 『한용운 문학연구』을 단행본으로 출간한 이래 1990년대 중반부까지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하던 시기의 저작물 중에서 선별하여 펴낸 것이다. 그의 역저로 꼽히는 『한국 현대시인 연구』, 『한국전쟁과 현대시의 응전력』, 『한국 현대시 형성론』, 『현대시와 열린정신』 등을 비롯하여 『현대시와 역사의식』, 『현대문학의 비극론』 등이 새롭게 정리 조명되어 있다.

특히 그의 박사학위 논문이자 최초의 저서인 『한용운 문학연구』는 만해 한용운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이면서 본격적인 만해학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도권을 잡고 있다고 한다. 그의 최고의 역작이라고 볼 수 있는 『한국 현대시인연구』는 해방 이전의 우리 시사 주요 시인들의 시세계를 적지 않은 분량으로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에 입각해서 정치하게 분석한 텍스트로 분석하고 종합하는 새로운 비평의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ontents
제1권 한용운 문학연구
(1982년 일지사)


머 리 말 5

Ⅰ. 序 論
1. 問題 提起 13
2. 硏究史 14
3. 硏究方法과 範圍 26
Ⅱ. 基礎的 考察
1. 著作과 文體意識 29
2. 文 學 觀 40
3. 版本과 表記體系 47
(1) 版本의 考察 47
(2) 表記體系의 特徵 54
Ⅲ. 장르的 接近
1. 漢詩 59
(1) 漢詩 槪觀 59
(2) 素材의 分析 63
(3) 詩世界의 特徵 69
2. 時 調 74
(1) 時調의 性格 74
(2) 措 辭 法 77
(3) 詩世界의 特徵 80
3. 『님의 沈默』論 85
(1) 消滅과 生成의 辨證法 85
(2) 否定的 世界觀 92
(3) 世俗과 神聖의 葛藤 97
(4) 「님」과 사랑의 問題 102
(5) 女性主義의 意味 111
(6) 構成(plot)의 分析 117
4. 小 說 論 127
(1) 敍事장르 선택의 이유 127
(2) 구성의 分析 132
(3) 내용적 고찰 135
(4) 『님의 沈默』과의 等差 148
Ⅳ. 構造의 分析
1. 詩型의 分析 154
(1) 行의 形態 154
(2) 聯의 構成 166
(3) 詩의 構造 173
2. 이미지의 類型 179
(1) 植物的 이미지 180
(2) 鑛物的 이미지 188
(3) 人間的 이미지 194
(4) 天體的 이미지 201
(5) 大地的 이미지 205
3. 隱 喩 論 212
(1) 現代詩와 隱喩 212
(2) 基本形式 216
(3) 「의」의 隱喩 219
(4) 動詞型 隱喩 223
(5) 活物論的 隱喩 226
4. 逆說의 構造 233
(1) 現代詩와 逆說 233
(2) 論理的 形式 238
(3) 內容構造 242
(4) 表現的 特性 248
V. 文學史的 硏究
1. 外來詩와의 影響關係 254
(1) 比較文學的 檢討 254
(2) 受容과 克服 257
(3) 文體論的 分析 263
(4) 措辭法의 考察 271
2. 傳統詩와의 接脈 277
(1) 鄕歌的 源泉 278
(2) 麗謠와의 脈絡 281
(3) 朝鮮朝詩歌의 계승 284
3. 當代詩와의 相關性 296
4. 萬海文學의 文學史的 位置 308
Ⅴ. 結 言 312
?究論著 發表年代別 總目錄 317
『님의 沈默』版本對照表 326
參考文獻 333

제2권 한국전쟁과 현대시의 응전력
(1979년 평민사)


머 리 말 4

Ⅰ. 문제의 제기 9
Ⅱ. 상황과 응전 13
① 전쟁 그 현장의 노래 13
② 또 다른 목적시 18
③ 초토의 시 26
④ 휴전선의 엘리지 31
Ⅲ. 방법과 정신 35
① 모더니즘의 공과 35
② 고전정신의 의미 43
③ 실존과 역설 52
④ 존재와 언어 60
Ⅳ. 존재와 서정 70
① 리리시즘(lyricism)의 형성 70
② 전후 서정의 향방 78
③ 휴머니즘의 탐구 89
④ 소시민의식의 대두 97
Ⅴ 맺는말, 육이오의 시사적 의의 104
참고문헌 109

제2권 시와 진실
(1983년 이우출판사)


머 리 말 113
제1부 한국문학의 비평적 성찰 121
1. 60~70년대의 문제작가와 작품론 123
2. 6·25와 한국문학
-50년대의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154
3. 1950년대 시론의 한 고찰 164
4. 시와 비평의 상관성과 최근 동향 176
제2부 현대시의 사적 전개 183
1. 「불놀이」와 ‘근대시’ 및 ‘현대시’문제 185
2. 상징주의의 한국적 전개 200
3. 모더니즘의 시와 시론 217
4. 해방 후 동인지 운동의 변모 225
제3부 현대시의 이해 방법 239
1. 현대시 분석 방법론 241
2. 한국 현대시 은유형태 분석론 267
3. 현대시의 새로운 정의 290
제4부 현대 시인편론 299
1. 민족시의 등불/한용운 301
2. 진달래꽃의 미학/김소월 307
3. 하늘과 땅의 변증법/서정주 313
4. 대결 정신과 허무의 향일성/유치환 330
5. 청교도적 구도와 서정의 힘/박목월 345
6. 운명애와 부활 의지/윤동주 351
7. 휴머니즘 또는 미래 지향의 역사의식/정한모356
8. 낭만주의의 생철학 / 조병화 383
9. 전원 상징과 낙화의 상상력 / 박용래 388
10. 자유로의 귀환/황동규 403
11. 사랑과 평화의 시/김후란 409
12. 가을정신의 지향/정진규 421
13. 유년 체험과 과거적 상상력 /김원호 435
14. 비관적 세계인식과 휴머니즘/이탄 445
15. 비극적 삶의 비장한 아름다움/박제천 450
16. 무의식 속의 혼돈과 시적 질서/이승훈456
17. 혼의 울음/김초혜 473
18. 휴머니즘과 리리시즘의 친화력 / 손기섭477
제5부 분석과 감상의 실제 483
1. 한용운―「님의 침묵」 484
2. 김광섭―「저녁에」 492
3. 이육사 ―「절정」 495
4. 윤동주 ―「서시」 498
5. 조지훈 ―「풀잎 단장」 500
6. 박두진 ―「낙화기」 502
7. 조병화 ―「예약된 길」 505
8. 전봉건 ―「돌·8」 508
9. 이성부 ―「벼」 511
10. 김종해―「항해일지」 514
11. 김광협―「유자꽃 피는 마을」 517
12. 박제천 ―「월명」 520
13. 유안진 ―「마흔 살」 523
14. 감태준 ―「소인일기」 526
15. 최승호 ―「대설주의보」 529

후 기 532

제3권 한국현대시의 형성론
(1985년 인하대학교출판부)


머 리 말 5
제1부 현대시의 방법론 11
Ⅰ. 시적 조사법 13
1. 은유 16
1) 은유의 정의 16
2) 은유와 직유 18
3) 은유와 상징 20
2. 이미지 22
3. 역설 24
Ⅱ. 현대시와 은유 29
1. 은유의 발생원리 29
2. 이론적 접근 31
3. 형태적 분석 35
(1) 기본형태 36
(2) 조사활용형 41
(3) 용언활용형 46
(4) 특수변이형 49
제2부 현대시의 형성론 53
Ⅰ. 초기 시단의 형성 53
1. 육당시가(六堂詩歌)의 경우 56
2. 『태서문예신보』-김억의 시 60
3. 『창조』지-주요한의 시 67
Ⅱ. 현대시의 모색과 실험 74
1. 상아탑 황석우의 시 74
2. 『백조』지-회월과 상화의 시 78
3. 소월시의 미학 84
Ⅲ. 현대시에로의 전환 90
1. 만해 시학의 원리 90
2. 정지용의 시 101
3. 시문학파-김영랑의 시 107
Ⅳ. 모더니즘 시학과 현대시의 분화 111
1. 모더니즘(modernism) 시학 111
1) 김기림의 시론과 시 111
2) 이상의 시 114
3) 김광균의 시 116
2. 1930년대 후반의 시 119
Ⅴ. 결언 121

제3권 현대시의 열린정신
(1987년 종로서적)


종울림 문학총서를 내면서 127
머 리 말 128
제1부 한국현대시의 사적전개
제1장 한국 현대시의 형성과 전개 133
제2장 모국어의 회복과
1950년대의 시적 인식 196
제3장 1960년대 시의 몇 갈래 219
제4장 1970년대의 젊은 시인들 245
제5장 1980년대,
현실의 수용과 양식의 분화 261
제2부 현대시의 현장점검
제1장 1987년 신춘문예와 문학상 275
제2장 1986년 신춘문예 시평 282
제3장 추위와 어둠의 시 297
제4장 시의 본도 304
제5장 비관적 세계 인식과 인간애 313
제6장 대춘부 319
제7장 사는 법과 인간의 조건 327
제8장 현실 비판의 몇 가지 방법 333
제9장 실락원의 시 341
제10장 휴머니즘과 잠언 351
제11장 은둔과 절조 363
제12장 생애사와 역사적 순응주의 367
제13장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376
제14장 존재와 무(無)의 현상학 385
제15장 생략과 부연 392
제16장 개방과 은폐 397
제17장 원숙과 달관 402
제18장 중진의 시, 신진의 시 409
제19장 상상력과 서정의 힘 413
제20장 관념의 힘과 이미지즘 418
제21장 젊은 세 시인의 허무주의 424
제3부 1980년대 문학의 비평적 성찰
제1장 1980년대 비평의 한 양상 433
제2장 무크지와
1980년대 문단의 한 동향 455
제3장 산문시의 제 양상 459
제4장 민중시의 진로 점검 468
제5장 현실과 극기, 1986년의 시 477

제4권 한국현대시인연구
(1986년 일지사)


머 리 말 5

1.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15
소멸과 생성의 변증법|16 종교적 상상력과 은유시학|19 부정적 세계관과 저항정신|21 사랑과 자유의 문제|24 역사의식의 문제|28 신성과 세속의 갈등|32 예언자적 지성과 역사의식|35 맺음말|37

2. 소월(素月) 김정식(金廷湜)|41
전원 서정과 민중의 가락|42 꽃과 존재론(存在論)의 시학|46 달의 상상력과 사랑의 미학|52 지속과 변화, 흐름의 철학|56 한(恨)의 구조와 극복 의지|60 노동의 사상과 저항의식|64 맺음말|68

3. 상화(尙火) 이상화(李相和) |71
낭만적 에로티시즘의 정화|72 어둠과 울음의 현실인식|80 망국의 한, 유랑의 민족사|83 소외계층의 울분과 휴머니즘|84 농민의 고달픔과 민중적 생명력|87 노동사상과 저항정신의 육화|89 맺음말|94

4. 파인(巴人) 김동환(金東煥)|97
북방 정서와 극복의지|98 국경의 밤, 비극적 현실의 상징화|103 암흑시대의 서사적 저항|110 민요시 운동과 민족의식|117 봄 지향성과 위장된 순응주의|123 맺음말|128

5. 심훈(沈熏)|131
객수(客愁)와 향수(鄕愁)|132 망명의 비애와 민족의 재발견|136 불모의 상황과 비관적 현실인식|142 유형의 땅, 죽음의 시대|146 상황시와 비극적 황홀|151 국토애와 조국사상, 민족사상|161 민중적 생명력과 예언자적 지성|165 맺음말|169

6. 영랑(永郞) 김윤식(金允植)|172
‘밤’과 비관적 세계인식|173 흐름의 시학 또는 낙하의 상상력|176 하늘지향성의 의미|180 언어미학과 탐미주의|183 생의 재발견 또는 존재론의 시|186 저항의식과 순결 의지|190 맺음말|193

7. 이산(怡山) 김광섭(金光燮)|196
부정적 현실인식과 관념적 저항|197 옥중 시와 해방의 노래|201 향일성 또는 상승의지|205 생명감각과 생의 재발견|208 문명 비판과 휴머니즘에의 지향|213 분단 극복 의지와 평화 사상|219 맺음말|223

8.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226
생의 모순과 극복의 정신|227 향일성 또는 우주적 생명력|231 북만 체험과 힘의 의지|235 생명의 원상과 위버멘쉬에의 길|238 광물적 상상력 또는 견고에의 집념|242 파동성과 부드러움, 사랑의 미학|245 현실비판과 저항의 정신|250 맺음말|254

9. 노천명(盧天命)|257
유년회상과 향수의 미학|258 풍물시와 과거적 상상력|264 모순의 발견과 자전적 요소|268 수정(水晶)과 장미(薔薇), 사랑과 오뇌|273 수난체험과 현실도피|277 맺음말|284

10. 김광균(金光均)|288
유년 회상 또는 그리움의 정조|289 내면공간과 불연속적 세계관|292 어둠과 등불의 의미|295 이미지즘 또는 비유의 시학|302 생의 고통과 서정적 진실|307 맺음말|311

11. 육사(陸史) 이원록(李源祿)|314
절망적 현실과 떠돌이의식|315 이미지즘의 한 실험|321 불연속적 세계인식과 수인의식|324 자기극복 의지 또는 운명애의 길|328 기다림의 철학, 평화사상|332 선구자의식 또는 미래지향의 역사의식|335 맺음말|341

12. 다형(茶兄) 김현승(金顯承)|344
자연과의 친화와 교감|345 소멸과 생성의 변증법|349 가을정신, 또는 자유에의 길|353 고독의 가치화, 고독의 사상|360 종교적 상상력의 의미|364 신성과 세속의 갈등|367 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 천국사상|373 맺음말|375

13.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378
대지적 삶과 동물적 상상력|379 소멸의 미학, 한의 탐미주의|386 솟아오름과 수직 상상력의 의미|392 신라정신과 사랑의 영원주의|400 생의 투명화, 자유에의 비상|406 맺음말|410

14. 목월(木月) 박영종(朴泳鍾)|413
『청록집』『산도화』, 달의 상상력과 흐름의 시학|414 『난·기타』, 『청담』, 세속사(事)와 식물적 상상력|425 『경상도의 가랑잎』, 이별시학과 모성회귀|439 「사력질」, 『무순』, 존재론과 자유에의 길|451 『크고 부드러운 손』, 신성사(史)와 영원에의 길|460 맺음말|465

15. 혜산 박두진(兮山 朴斗?)|469
비관적 현실인식과 미래지향성|470 자연의 생명력과 ‘해’의 상상력|477 수직상상력의 의미|482 지상의 척도, 천상의 척도|489 분단 극복과 자유민주주의에의 길|494 신앙시, 섭리사관과 종말론|500 광물적 상상력과 영원주의|506 맺음말|510

16. 지훈(芝薰) 조동탁(趙東卓)|513
폐쇄된 자아와 불안의식|514 고전정서와 민족의식|518 방랑의식 또는 소멸의 미학|522 세속과 신성의 갈등, 조화의 미학|528 미시적(微視的) 자연 응시와 교감(交感)의 정신|534 자유의 사상, 평화의 사상|538 4·19의 사회시와 역사의식|542 맺음말|546

17. 윤동주(尹東柱)|549
실향의식과 그리움의 정서|552 동심지향과 인간애|557 천상에의 동경과 자연 친화|561 부정적 현실인식과 비극적 세계관|566 운명애와 자기애|570 예언자적 지성의 발현|573 속죄양의식과 저항의식|576 맺음말|581

주요 연구서지 586

제5권 현대시의 역사의식
(1988년 인하대학교출판부)


머 리 말 5

제 1 부 문학과 시대정신 11
1.한국 근대서사시와
역사적 대응력 13
2. 한국 현대시와 민중의식의 전개 58
3. 6·25와 한국의 현대시 134
4. 4·19의 시적 수용과 문제점 237
5. 광복 40년의 한국시 274
제 2 부 한국문학과 전통 301
1. 한국문학의 전통논의 303
2. 한국시의 장르 선택과 전통문제 321
3. 한국시의 한과 극복 양상 341
4. 개화기 시조의 한 고찰 371
5. 광복 40년 남북 문학사의 한 점검 385
6. 정지용, 또는 역사의식의 결여* 391
제3부 한국 한국시의 현장점검 423
1. 한국 서정시의 새로운 인식 424
2. 베스트셀러 시집과 상상력의 세 유형 437
3. 개작의 유형과 문제점 448
4. 양적 풍요와 거리좁히기 456
5. 가치의 다원화와 열림 지향성 483

한국 현대문학의 현주소 [정 담] 502

제6권 카프시인비평
(199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머 리 말 5

경향파 프로시인, 유완희와 김창술 13
1. 머리말 13
2. 적구 유완희 15
3. 김 창 술 29
4. 맺 음 말 41

신념파 프로시인, 박세영 44
1. 초기 프로시와 민족·계급 모순 47
2. 현실의식과 민중의식 50
3. 북만의 시 또는 유이민의 참상 56
4. 산제비, 초극의지와 자유지향성 61
5. 대륙적 풍모와 남성주의 65
6. 해방, 문학 또는
이데올로기의 선택 명제 70
7. 맺음말 76

갈등의 프로시인, 박팔양 78
1. 머리말 78
2. 수난의 현실과 저항의식 80
3. 계급의식과 실천성의 결여 86
4. 선구자의식 또는
예언자적 지성의 의미 91
5. 생명사상과 대지사상 97
6. 낭만성과 주지성, 갈등과 방황 102
7. 맺음말 107

동반자 프로시인, 김해강 109
1. 머리말 109
2. 죽음과 수탈의 현실 상징 110
3. 빈궁문학 또는 프로적 세계관 116
4. 봉건비판과 사회개조의지 125
5. 노동사상의 의미 129
6. 예언적 지성, 해의 상상력 133
7. 맺음말 137

낭만파 프로시인, 임화 139
1. 머리말 139
2. ‘네거리’, 방황과 퇴행의 공간 141
3. ‘화로’, 그 무명화와 정녀의 의미 153
4. 비내리는 요코하마, ‘우산’의미 161
5. 암흑의 정신, 부정과 비극의 정신 170
6. ‘현해탄’ 또는 운명의 거울 176
7. 맺음말 184
볼셰비키 프로시인, 권환 189
1. 머리말 189
2. 계급의식과
아지프로(Agi~Pro) 시 191
3. 볼셰비키 투쟁노선 또는 무기의 시 201
4. 전향과 순수서정지향성 212
5. 맺음말 220

북한시의 한 고찰 223
1. 머리말 223
2. 북한 시단 형성과 문예이론 225
3. 북한 시의 갈래 229
4. 해방 후 시의 시대구분 233
5. 북한 시의 시대적 전개 236
6. 1980년대 오늘의
남북 시의 한 검토 266
7. 맺음말 274

제7권 한국현대문학의 비극론
(1992년 시와시학)


머 리 말 5

제1부 우리 문학 속의 백두산 15
조기천의 「백두산」, 민족혼의 상징 17
1. 「백두산」과 조기천 17
2. 「백두산」의 서사시적 요건 19
3. 「백두산」의 구성과 내용 20
4. 「백두산」의 주제 36
5. 「백두산」이 지닌 결함 42
고은의 『백두산』 그 진행형 테마 46
1. 머리말 46
2. 『백두산』의 서사적 구도 47
3. 통일지향 문학의 한 가능성 56
제2부 문학과 사회·공동체의식 59
프로문학의 선구, 실종문인 조명희 61
머리말 61
1. 방황과 애상의 노래 65
2. 현실적인 절망과 부정정신 69
3. 인간혐오와 모순의 발견 72
4. 대지적 삶과 생명사상의 한 모습 77
5. 「짓밟힌 고려」와
「낙동강」의 의미 81
6. 시론의 한 검토 89
맺음말 92
농민시의 개척자, 박아지 94
머리말 94
1. 농민들의 삶 또는 농촌 지향성 96
2. 흙의 사상, 노동의 의지 100
3. 농촌의 궁핍상과 계급적 각성 104
4. 농민투쟁과 노농연대의식 112
5. 새 조국 건설 의지와 좌절의 행로 118
맺음말 124
계급적 민족의식의 시, 정노풍 127
머리말 127
1. 실향의식과 어둠의 현실인식 128
2. 민중의 참상과 계급적 민족의식 134
3. 유이민(流移民) 시와
민요시 운동의 의미 139
4. ‘님’, 조국사상과 미래지향성 146
맺음말 153
정치의 길, 예술의 길, 임화 155
1. 프로시인, 실종시인 임화 155
2. 노동·투쟁·사랑­ 혁명적 로맨티시즘 158
3. 계급모순 또는 민족혼의 상징화 162
4. 현해탄 콤플렉스, 그 운명의 표정성 166
유이민(流移民) 문학의 한 표정, 이용악 168
1. 슬픈 민족사, 변두리의 삶 168
2. 궁핍화와 유이민의 삶 171
3. 역사의 수난과 슬픈 운명의식 175
4. 민족의 운명, 예술의 운명 177
유랑의 삶과 생활서정, 안용만 179
1. 압록강과
아라가와 강(江)의 거리 179
2. 경계인(境界人)의 삶,
유이민(流移民)의 삶 180
3. 살림의 문학, 서정의 문학 185
4. 분단의 비극적 운명 187
제3부 문학과 생명·고향·예술의식 189
만해와 장르 선택, 한용운 191
1. 만해(萬海)와 장르 선택 191
2. 1910년대, 논설 또는 투쟁의 시대 192
3. 1920년대, 시와 상징적 저항 196
4. 1930년대, 소설과 혁명의지 200
5. 만해, 민족사의 등불 202
존재론과 저항의식, 김소월 203
1. 왜 소월(素月)인가? 203
2. ‘혼자 있음’,
‘떨어져 있음’의 존재론 204
3. 역설의 시, 운명론의 시 208
4. 노동의지와 저항의식 211
결언: 천재 시인, 철학하는 시인 214
갈등의 시인 방황의 시인, 정지용 216
1. 실종과 현존의 모순 216
2. 향수의 시학, 또는 고향 상실과 낙원 지향의 갈등 217
3. 바다와 산, 진보의식과보수주의의 갈등 221
4. 낭만성과 주지성의 갈등 226
5. 지용시의 의미와 한계 229
생의 양면성 또는
존재론의 시, 김영랑 232
1. 80년 이전의 평가는
섬세한 언어의 아름다움 232
2. 80년대에 행해진 비판적 분석 233
3. 비극적 세계인식
또는 존재론(存在論)의 시 235
4. ‘모란’이 의미하는 생의 절망과 희망 236
5. ‘모란’의 개화와 생의 기다림 238
6. 소월시(素月詩)와의 맥락 241
7.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진달래꽃」이 호응되는 점 242
8. ‘진달래’와 ‘모란’은
비극적 세계관 암시 244
9. 영랑은 소월을 발전적으로 계승 245
민족적 삶의 원형성과 운명애, 백석 247
머리말 247
1. 유소년회상과 과거적 상상력 249
2. 민족시의 원형 또는 민중지향성 255
3. 북방정서와 방언주의, 평등의 정신 262
4. 이미지즘시의 한 모습 268
5. 한국적 비관주의와 운명애의 의미 272
맺음말 277
제4부 현대문학 100년, 그 고단한 삶의 역정 281
한국 서사시와 역사의식 282
1. 장시와 서사시의 차이점 282
2. 「동명왕편」과 민족주체성 모색 288
3. 「국경의 밤」,
혹은 식민지 현실의 상징화 292
4. 「남해찬가」와 민족 수난 극복의 희원 298
5. 「금강」, 민중혁명 정신
또는 분단극복 의지 303
6. 「오적」, 민족시의 길 민중시의 길 309
7. 결론:
한국 서사시의 지평 317
한국 현대시의 민중·민중의식 321
1. ‘민중’의 개념 321
2. 민중의식 329
3. 민중문학의 내용과 형식 331
4. 결론 334
현대시와 4·19 혁명 338
1. 서론 338
2. 4·19와 현장시 339
3. 1960년대의 4·19시(詩) 350
4. 1970~80년대의
시적 응전 359
결언: 4·19혁명의
문학사적 의미 372
광복 50년 남북한
시의 한 변모 374
1. 서론 374
2. 남북시단 형성과
시의 개념 376
3. 남북한 시의 시대적 전개 379
4. 맺음말 409

제8권 한국현대시인비판
(1994년 시와시학)


머 리 말 5

제1부 사회·역사와의 만남 11
『백두산』과 『만인보』, 고은의 문학사상 12
김지하, 반역의 정신과 인간해방사상 70
이성부, 리얼리즘인가 허무주의인가 118
김규동, 통일 지향시의 한 표정 132
홍희표, 꽃, 그 서정과 역사의 만남 143
허형만, 분노와 소망의 변증법 158
제2부 생명사랑과 영원주의 173
서정주, 운명의 거울·존재의 거울 175
김남조, 사랑시학의 한 지평(地平) 194
박이도, 생명의 꿈과 희망 209
허영자, 갈망과 절제의 시 217
김초혜, 사랑시의 한 가능성 233
제3부 자유에의 길, 지성에의 길 255
조병화, 자유에의 길, 영원에의 길 257
황동규, 자유로의 귀환 270
정현종, 자유에의 길 또는 생명사상 276
유안진, 고향찾기와
맨발의식 또는 자유에의 길 309
오탁번, 투명한 지성 또는 냉소주의 330
감태준, 소외 또는 인간 회복의 꿈 352
제4부 한국시의 형이상(形而上) 375
박두진, 가시면류관 또는 부활의지 377
김달진, 무위자연과 은자의 정신 395
오세영, 사랑과 존재의 형이상 421
김종철, 참회와 명상 444
조정권, 염결주의와 초극의 정신 467
제5부 한국시 자유인의 한 계보 479
천상병, 무소유 또는 자유인의 초상 480
박용래, 전원상징과 낙하의 상상력 502
박정만, 한(恨)의 시인 떠돌이 시인 517

제9권 누가 눈물없이 울고 있는가
(1991년 시와시학)


머 리 말 5

1월 새해, 겨울의 서정시들 11
박용래| 눈물과 그리움의 시 12
허영자| 새해의 행복학 15
김영태| 첼로, 그 저음,
겨울 영혼의 내면 풍경 18
이가림| 1960년대 겨울, 낭만적 우울의 꿈 21
박봉우| 백두산, 그 분단 극복에의 염원 25
2월 겨울·죽음에서 봄·소생으로 29
오탁번| 자연의 질서와 생명법칙 30
유 정| 어둠과 빛의 긴장력 33
박정만| 죽음과 시인 36
박남철| 겨울강, 그 절망과 극복의지 40
안도현| 졸업, 또는 새로운 출발 43
3월 새 봄, 童心과 순결한 사랑 47
정지용| 꽃샘 눈바람과 생명감각 49
조병화| 동심과 역사의식 52
오규원| 봄사랑, 그 순결과 자유 56
4월 4·19 또는 진행형 혁명 61
박두진| 4·19 또는 진행형 혁명 63
김수영| 왜 자유에는
피의 냄새가 섞여 있는가 69
신동엽| 분단극복과 흙가슴의 의지 73
5월 사랑, 그 갈등과 화해 77
이형기| 사라져가는
것들의 아름다움을 위하여 79
유치환| 그리움,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83
최영철| 조화와 협동의 사상 87
6월 砲聲(포성)과 들꽃의 아이러니 91
조지훈| 6·25와 휴머니즘 92
김달진| 노장적 세계관, 또는 들꽃 하나의 우주96
홍희표| 분단을 넘어 일을 향해 100
7월 여름비, 물과 불의 긴장력 105
김원호| 동심의 순수와 낭만적 우울 106
이수익| 사랑, 또는 밝음과 어둠 111
강인한| 젊은 날의 장밋빛 초상 116
8월 바다, 그리움과 삶의 굽이침 121
신석정| 그리움, 또는낭만의 바다 122
신석초| 허무, 시간, 존재의 바다 125
정일근| 현실, 또는 삶의 바다 129
9월 가을, 생명·사랑·자유 133
고 은| 생명, 사랑, 자유 135
김지하| 부정정신과 희망의 시학 139
김사인| 삶의 고달픔과 슬픈 긍정 144
10월 가난한 소녀의 가을 집짓기 149
홍윤숙| 가난한 소녀의 가을 집짓기 150
이성부| ‘홀로’와 ‘함께’의 삶 154
이시영| 분단비극의 서정화 157
11월 생각하는 갈대의 슬픔 161
김현승| 가을, 떠나가는
것들의 향기를 위하여 162
신경림| 생각하는 갈대의 슬픔 166
차한수| 낙엽, 술,
그 물과 불의 변증법 170
감태준| 新流移民을 위하여 173
윤재철| 겨울나무, 희망의 변증법 177
12월 누가 눈물없이 울고 있는가 181
백 석| 외로운 영혼을 위하여 183
정한모| 누가 눈물없이 울고 있는가 187
김남조| 정죄와 부활의 바다 192
유안진| 자유로운 영혼의 갈망 196
최승호| 겨울 태백산맥,
그 원시적 생명력의 굽이침 199

제9권 그대 왜그리 허둥대는가
(1993년 시와시학)


머 리 말 205
Ⅰ. 진흙소가 물 위로 가네 211
월명사 | 풀꽃 하나,
그 생명을 사랑하며 212
한산자 | 청정한 마음, 자유에의 길 216
조병화 | 참다운 사랑 또는 자비의 실천 220
서산대사 | 진흙소가 물 위로 가네 224
Ⅱ. 지팡이 하나로 떠돌다보니 229
혜초 | 구도의 길, 순례자의 노래 231
사명당 | 깨달음의 길, 나라 사랑의 길 235
경허선사 | 무애(無碍)
또는 자유로워지기 239
홍신선 | 가난한 사람의 아름답고 소중한 등불을 위하여 243
매월당 | 삶이란 조각구름
일어났다 사라지는 일 248
Ⅲ. 근심걱정 모두 허공, 마음만 있으니 253
김지하 | 생명 사랑 또는 업보의 사랑 254
만해·1 | 근심걱정 모두
허공, 마음만 있으니 258
만해·2 | 참 자유의 길 또는 사랑의 길 262
만해·3 | 불꽃 튀는 그곳에 가을하늘 높아라266
만해·4 | 따슨 볕 등에 지고 유마경 읽노라니269
Ⅳ. 가시풀 지천으로
흐드러진 이승에서 273
박정만?1 | 풀잎으로 이 세상의
곤한 잠을 어찌 깨우랴 275
박정만?2 | 가시풀 지천으로
흐드러진 이승에서 279
백곡선사·1 | 뜬세상 마침내 그 끝이 있거니 283
백곡선사·2 | 뜬구름 원래 자취 없거늘 287
허영자 | 관음보살 그 공덕의 화신 290
Ⅴ. 한 평생의 뜬 인연 서글퍼라 295
영호선사·1 | 허깨비의
이 몸을 되돌아 보면 297
영호선사·2 | 한 평생의 뜬
인연 부끄럽고 서글퍼라 301
김광섭 | 언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305
일연선사 | 스님의 길, 고행의 길 310
Ⅵ. 한 벌 옷에 바리때 하나 315
오현스님 | 행운유수, 저 물과 흰구름 따라서,317
원감선사·1 | 푸른 산에 숨어 살면서 325
원감선사·2 | ‘번뇌가 다했으니 기쁨·슬픔 모두 없어라’ 328
Ⅶ.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333
서정주·1 | 눈물 아롱아롱
피리불고 가신 님아 335
서정주·2 | 도솔천의 사랑, 영원한 사랑에게340
서정주·3 | 섭섭하게, 좀 섭섭한 듯만 하게344
조지훈·1 |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348
조지훈·2 |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352
조지훈·3 | 눈부신 노을아래 모란이 진다 356
Ⅷ. 빛살이란 안과 밖이 모두 없어서 361
묵암선사 | 홀로 앉아 거울 닦는 저 늙은이363
오세영·1 | 고·집·멸·도, 강물은 몇천리 366
오세영·2 | 진정한 나, 깨달음의 나를 찾아서370
Ⅸ. 갈지 않으면 먹지 않는 늙은이에게 375
문정희 | 인연의 강물따라,
약속의 그날 그리며 376
김달진·1 | 대자연의
아름다운 질서 속에서 379
김달진·2 | 무위자연 또는
허정의 마음을 찾아서 383
돈연 | 길지 않으면 먹지 않는 늙은이에게388
Ⅹ. 중생의 바다, 화엄의 바다로 393
확암선사·1 | 무명의 바다, 어둠 속에서 394
확암선사·2 | 소를 찾아 길들이면서 398
확암선사·3 | 진정한 나를 찾아, 공을 깨치고402
확암선사·4 | 중생의 바다, 화엄의 바다로406

제10권 고월 이장희 평전
(1984년 문학세계사)


고월의 생애
1. 프롤로그 6
2. 유년회상(mother complex) 8
3. 오티즘(autism)적 갈등 9
4. 나르시시즘적 동일시 14
5. 박탈과 결여-어둠의 세계 19
6. 취미와 시작 활동 21
7. 영원의 나라로 26
고월의 시 세계
1. 프롤로그 29
2. 억압된 리비도와 자기학대 30
3. 우울과 폐쇄적 자아 39
4. 참회와 눈물 또는 패배주의 45
5. 객관화와 감각세계의 지향 48
6. 에필로그 54
시인 연보 57

제10권 빈궁문학 또는 비극적 세계인식
(1984년 문학세계사)


빈궁문학 또는 비극적 세계 인식 65
젊은이의 시절 70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72
옛날 꿈은 창백하더이다 74
십칠월오십전 75
여 이발사 78
행랑 자식 79
자기를 찾기 전 82
전차 차장의 일기 몇 절 84
벙어리 삼룡이 85
물레방아 88
꿈 90
뽕 92

참고문헌 95

제10권 한국문학 속의 민중의식 연구
(1990년 정신문화원)


Ⅰ. 기초적 고찰 101
1. ‘민중’의 개념 101
2. 민중의식 109
3. 민중문학의 내용과 형식 111
Ⅱ. 근대적 각성과 민중의식의 성장 115
Ⅲ. 민중문학론의 대두와
일제하 민중문학의 전개 123
1. 민중문학론의 대두와
신경향파의 민중시 123
2. 국민문학파의 민중시 131
3. 석송과 소월의 민중시 134
4. 만해와 심훈의 민중시 141
Ⅳ. 분단시대의 문학적 상황과 민중문학 151
1. 해방공간과 전후의 문단 상황 151
2. 4·19와 민중정서의 회복 157
3. 민족문학론의
대두와 민족형식에의 탐구 163
Ⅴ. 결론 172

참고문헌 177

제10권 현대불교시선
(1991년 민족사)

서문 183
해설|현대불교시의 한 이해 186
Author
김재홍
1947년 충남 천안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2년 육군사관학교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충북대학교, 인하대학교, 경희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2년 경희대학교 문과대학에서 정년 연장 명예교수로 퇴직하였다. 현재는 경희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 196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시인론, 작품론 등의 실제비평 및 문학사와 문학이론 연구 분야에서 독자적인 학문적 영역을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현대 시인 연구 1, 2, 3』, 『카프시인 비평』, 『한국 현대 시인 비판』, 『한국 현대시의 사적 탐구』, 『현대시와 삶의 진실』, 『생명·사랑·평등의 시학 탐구』, 『한국 현대시 시어사전』을 비롯한 40여권의 저서를 발표했다. 이외에도 국내 최장수 시전문지 계간 『시와시학』과 한국현대시박물관을 창간 및 설립, 사단법인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상임대표와 만해학술원장 등을 역임하며 시의 대중화 작업 및 인문정신의 실천적 활동을 주도했다. [제1회 녹원문학상], [제33회 현대문학상], [제1회 편운문학상], [김환태문학상], [후광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유심문학상], [만해대상], [서울특별시 문화상]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1947년 충남 천안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2년 육군사관학교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충북대학교, 인하대학교, 경희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2년 경희대학교 문과대학에서 정년 연장 명예교수로 퇴직하였다. 현재는 경희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 196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시인론, 작품론 등의 실제비평 및 문학사와 문학이론 연구 분야에서 독자적인 학문적 영역을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현대 시인 연구 1, 2, 3』, 『카프시인 비평』, 『한국 현대 시인 비판』, 『한국 현대시의 사적 탐구』, 『현대시와 삶의 진실』, 『생명·사랑·평등의 시학 탐구』, 『한국 현대시 시어사전』을 비롯한 40여권의 저서를 발표했다. 이외에도 국내 최장수 시전문지 계간 『시와시학』과 한국현대시박물관을 창간 및 설립, 사단법인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상임대표와 만해학술원장 등을 역임하며 시의 대중화 작업 및 인문정신의 실천적 활동을 주도했다. [제1회 녹원문학상], [제33회 현대문학상], [제1회 편운문학상], [김환태문학상], [후광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유심문학상], [만해대상], [서울특별시 문화상]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