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자’라는 보편의 각본,
그리고 그 일등 시민의 세계를 찢고 부순
비非-남성들의 파열음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원본 없는 판타지』 등 한국 현대문학/문화를 페미니스트의 시각에서 탐구한 저작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저자 허윤이 4년여 만에 새로운 단독저작을 펴냈다. 한국문학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 텍스트를 젠더적 관점에서 연구해온 그는 이번 책에서 2012년부터 10년간 연구해온 ‘한국의 남성성’이라는 화두 아래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주요 문학(소설)과 영화, 연극 등의 대중문화 콘텐츠를 다시금 불러낸다. 주로 ‘남성 지식인들’의 손에서 탄생해 ‘남성 독자들’에 의해 소비된 극중 ‘남성 주인공들’은 대부분 이승만에서 박정희로 이어지는 폭력적인 독재체제가 강조한 영웅이나 용사, 전사로서의 남성성을 충실히 체현하고 있다.
‘한국 남자’라는 하나의 보편 범주를 만들어낸 것은 가부장의 강력한 힘을 근거로 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다. 이 책이 초점을 두는 1940년대 후반~1950년대 내내 한국(남한)은 외부의 강대국에게 정치적 결정권을 박탈당했다. 주체성을 위협받는 상황에서 국가는 자기 자신을 희생해 국가를 지킬 ‘일등 시민’의 존재를 요구했다. 가장 강력한 수단은 전쟁이었다. 국가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을 ‘일등 시민’으로 명명하고 전사자들을 기념한다. 하지만 민족국가와 지배체제에 충실한 이 남성성 각본은 언제나 실패할 수밖에 없다. 그 위계화에 따를수록 일등 시민은 죽거나 다치는 모순에 빠진다.
이 책은 한국문학/문화사를 다시 써내려가며 남성을 ‘전사-일등 시민-가부장(아버지)’으로 소환하는 그 보편의 각본이 누구를 배제하며 어떤 지점에서 실패하는지 탐구한다. ‘이미’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서사들이 ‘여전히’ 충분히 읽히고 다루어지지 않았음을 드러내고, 읽는 주체와 관점을 달리하여 새로운 논점들을 발견해나가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민족국가의 탄생 과정에서 삭제된 비-남성들의 목소리를 복원함으로써 편견과 혐오를 뛰어넘는 다채로운 남성성 각본들을 펼쳐 보인다.
Contents
책머리에 | 길을 잃은 아들들의 시대: 한국 남성성의 각본 다시 쓰기 _ 7
1장
기로에 선 아들들: 불안과 공허의 식민지를 살아가는 법 _ 21
2장
반공전에 나선 용사들: 남한 우익의 계보 _ 45
3장
형제들의 공동체: 남성동성사회와 좌우익 청년단체 _ 71
4장
가족 재건 프로젝트: 한국전쟁이 만든 전선의 젠더 _ 97
5장
무대 위의 남성성: 남장여자가 만든 세계 _ 131
6장
전후 문학의 ‘퀴어’한 육체들: 해체되는 남성성 신화 _ 165
7장
냉전체제 속 여성혐오: 너무 많이 말하거나, 말하지 않거나 _ 193
8장
성별이분법의 틈새들: 병역법과 젠더의 위계 _ 235
9장
‘남자 없는 사회’의 남성들: 모험을 허락하지 않는 모험 서사 _ 257
10장
슈미즈를 입은 남자: 여장남자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불/가능성 _ 291
11장
상경과 귀향의 젠더정치학: 남성의 얼굴을 한 민중 _ 325
발표 지면 _ 363
연표 _ 364
Author
허윤
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에서 한국 현대소설을 공부했다.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1950년대 퀴어 장과 법의 접속」 등의 논문과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단독, 2018) 『그런 남자는 없다』(오월의봄, 공저, 2017),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공저,2018), 『일탈』(2015) 등의 역서가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교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에서 한국 현대소설을 공부했다.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1950년대 퀴어 장과 법의 접속」 등의 논문과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단독, 2018) 『그런 남자는 없다』(오월의봄, 공저, 2017),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공저,2018), 『일탈』(2015) 등의 역서가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교 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