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시작된 온라인 수업 상황은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 전염병이 완전히 종식되기 전까지는 온라인 수업,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수업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또 코로나19 이후에도 다른 전염병이 유행을 하거나, 자연 재해로 인한 예기치 않은 상황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럴 때마다 외부 상황에 의한 블렌디드 수업 상황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온라인 수업을 당장 진행해야 하는 교사들의 입장에서는 어떤 플랫폼을 이용하는 게 좋은지, 촬영은 어떤 기기가 좋은지, 편집은 어떤 프로그램이 쉬운지, 저작권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온라인 수업을 위한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사는 학생들의 출결을 체크하고 평가하는 데 그치는 ‘관리자’도, 눈을 뗄 수 없는 재미와 볼거리로 가득 찬 영상을 만드는 ‘콘텐츠 생산자’도 아니다. 교사는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극복하고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실천해 온 교육 당사자들이다. 그러므로 이런 혼란스러운 블렌디드 수업 상황에서도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존재는 자신, 즉 교사라는 것을 인식하고 수업의 본질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해 나갈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교사 실재감’ 개념이다.
『온라인 교육, 교사 실재감이 답이다』는 ‘수업과성장연구소’ 신을진 대표와 교육 현장에서 고군부투하고 있는 교사들이 함께 고민하고 논의한 결과물이다. 이 책이 사상 초유의 사태로 힘겨움을 느끼고 있는 모든 교사들의 자신감과 용기를 북돋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Contents
들어가며 온라인 수업의 실천적 원리, ‘교사 실재감’을 제시합니다 5
1부 교사 실재감의 실천 원리
1. 온라인 수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교사 실재감 21
2. 온라인 이후, 블렌디드 수업과 교사 실재감 39
3. 교사 실재감의 네 가지 실천 원리 : BEING 61
2부 교사 실재감 실천 사례와 공감 코칭
1. 제1원리 연결되는 관계 만들기 107
안휘준(거창 샛별초등학교 교사)
2. 제2원리 교사 존재감 나타내기 130
전진우(부산 동평중학교 음악교사)
3. 제3원리 수업의 흐름 이끌기 156
조은주(안양 부흥중학교 과학교사)
4. 제4원리 피드백으로 다가가기 189
심효은(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디자인교사)
3부 온라인 수업 Q&A
1. 교사가 궁금해 하는 온라인 수업 Q&A 225
2. 학부모가 궁금해 하는 온라인 수업 Q&A 254
부록
온라인 정책 토론회 발표 자료 276
참고 문헌 286
Author
신을진,수업과성장연구소
수업과성장연구소 대표. 수업 변화를 위해 교사의 내면을 주목하고 세워야 한다는 이론을 교육계에 도입했습니다. EBS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시즌 2~3, 전국 시도교육청의 각종 직무 연수, ‘좋은교사운동’ 수업 연수 등 여러 교육기관의 수업 활동을 지원하다가, 교수직을 내려놓고 ‘수업과성장연구소’를 창립했습니다. 서울대학교 교육상담학 박사로서, 숭실사이버대학교에서 상담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온라인 교육 현장을 10년 넘게 경험하기도 했으며,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이사, 게슈탈트 상담심리학회 이사, 서울시교육청 학습도움센터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습니다. 저서로는 『교사의 성장을 돕는 수업 코칭』, 『학습상담』(공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저), 『청소년 상담학 개론』(공저) 등이 있습니다.
수업과성장연구소 대표. 수업 변화를 위해 교사의 내면을 주목하고 세워야 한다는 이론을 교육계에 도입했습니다. EBS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시즌 2~3, 전국 시도교육청의 각종 직무 연수, ‘좋은교사운동’ 수업 연수 등 여러 교육기관의 수업 활동을 지원하다가, 교수직을 내려놓고 ‘수업과성장연구소’를 창립했습니다. 서울대학교 교육상담학 박사로서, 숭실사이버대학교에서 상담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온라인 교육 현장을 10년 넘게 경험하기도 했으며,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이사, 게슈탈트 상담심리학회 이사, 서울시교육청 학습도움센터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습니다. 저서로는 『교사의 성장을 돕는 수업 코칭』, 『학습상담』(공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저), 『청소년 상담학 개론』(공저)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