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촛불혁명 이후 민주주의의 가치가 사회·문화적으로 확대되었다. 지난 2019년 말에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는데, 주요 내용 중 하나로 만 18세 선거권이 도입되어 2020년 4월 15일 제21대 총선을 기점으로 2002년 4월 16일을 포함한 이전 출생한 고교 3학년부터 선거와 선거운동 참여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서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민주주의, 학교민주화, 학교자치, 교육자치 등 민주주의와 관련된 용어들 여기저기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가운데 ‘민주학교’가 있다. 이 책은 민주학교의 길을 누구보다 먼저 걸어간 사람들의 고민과 실천이 담겨 있는 소중한 보고이다. 저자들은 교육 정책의 일선에서 갈고 닦은 교육 이론과 실무, 행정 경험에 바탕하여 민주학교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Contents
추천사
들어가며
제1장 민주학교,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민주학교란 무엇인가?
민주학교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제2장 민주학교, 교육과정을 만나다
교육과정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함께 만드는 민주적 교육과정
함께 실천하는 민주적 수업
함께 성장하는 민주적 학생평가
제3장 민주학교, 학교문화가 중요하다
학교문화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소통과 공감의 민주적 학교문화
자율과 책임이 있는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와 성장의 민주적 실천
제4장 민주학교의 지속적 성장을 위하여
민주시민교육을 넘어 사회정의교육을 지향하는 민주학교
민주학교 작동 방식으로서 학교 시민사회화
학교 교육과정의 초점화
학교 공간의 민주성: 공간주권의 회복
학교장의 민주적 리더십
민주학교의 지속 가능성
Author
이대성,이병희,이지명,이진희,최종철,홍석노
능곡고등학교 교감, 교육학박사-사회과교육전공.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에서 장학사로 근무하며 실천 중심의 민주시민교육과 학교민주주의 정착을 지원하였다.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학교민주주의와 학교자치 실현을 고민하며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 학교민주주의 지수 조사·활용, 학교자치조례 제정·실천, 민주시민교육 실천학교 발전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현재 능곡고등학교 교감으로 재직하며 학교자치정책실행연구회 운영, 학교 구성원의 협력적 관계 형성과 민주주의 정원으로서의 행복한 학교를 상상하며 실천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능곡고등학교 교감, 교육학박사-사회과교육전공.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에서 장학사로 근무하며 실천 중심의 민주시민교육과 학교민주주의 정착을 지원하였다.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학교민주주의와 학교자치 실현을 고민하며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 학교민주주의 지수 조사·활용, 학교자치조례 제정·실천, 민주시민교육 실천학교 발전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현재 능곡고등학교 교감으로 재직하며 학교자치정책실행연구회 운영, 학교 구성원의 협력적 관계 형성과 민주주의 정원으로서의 행복한 학교를 상상하며 실천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