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18년 이미 3만 달러를 넘어섰다. 그러나 GDP(국내총생산) 대비 사회지출은 OECD 평균의 절반에 불과한 11.1%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한국이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보편적 복지국가로 성공적으로 나아가지 못했음을 뜻한다. 왜 한국에서는 경제성장이 곧바로 공적 복지의 확대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이 책은 한국이 경제성장에 비해 복지국가로 나아가지 못한 연원을 비롯해, 보편적 복지국가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풀어야 할 핵심 쟁점을 정치-경제-복지 영영에서 총체적으로 들려준다. 공공복지 확대를 넘어 보편적 복지국가로 한 단계 도약이 필요한 시점에서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정치, 경제, 복지의 세 가지 폭넓은 시선을 통해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근원적으로 해결해야 할 핵심 쟁점을 적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 복지국가 대한민국 어떻게 만들 것인가
서장 왜 한국은 복지국가가 될 수 없었던 것일까
: 한국 복지체제의 정치경제적 기원
1. 공정한 경쟁과 정당한 보상은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왜 정치경제와 연관된 복지체제인가
3. 한국 복지국가의 정치경제적 기원과 특성
4. 복지국가를 만들어간다는 것의 의미
5. 이 책의 주요 내용
1장 한국 생산체제의 유산과 쟁점
1. 혁신을 필요로 하는 한국 경제
2. 생산체제의 유산
3. 향후 생산체제 재편을 둘러싼 쟁점
쟁점 1 지속 가능한 새로운 생산체제의 구축
쟁점 2 구조조정 시 점진적인 혁신 경로의 가능성 여부
쟁점 3 사회적 대화를 통한 혁신역량의 비대칭성 극복
쟁점 4 각자도생에서 네트워크와 협력의 길로의 이행 가능성
4. 조립형 전략의 한계 극복 과제
2장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와 쟁점
1. 이원화된 한국의 노동시장
2.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
3. 노동시장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4. 노동시장 구조를 둘러싼 쟁점
쟁점 1 1차 노동시장의 규모
쟁점 2 기업 규모와 고용 형태
쟁점 3 분절노동시장의 이론적 배경
쟁점 4 분절노동시장의 개선 방향
3장 한국 민주주의의 유산과 복지정치 전략
1. 복지와 정치
2. 복지국가 발전의 정치적 조건
3. 한국 민주주의의 유산: 복지정치의 기회와 장애물
4.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복지정치의 특성
5. 한국 복지정치의 쟁점과 과제
쟁점 1 조직된 시민사회와 유동적 시민정치의 병행발전
쟁점 2 국가 조세역량과 분배역량의 선순환적 강화
쟁점 3 민주적 권력구조와 강력한 복지국가의 동시 달성
쟁점 4 복지국가와 지역복지의 동반성장, 지역 간의 균형발전
쟁점 5 각자도생의 개인적 합리성, 복지국가의 사회적 합리성
쟁점 6 한국 선거정치의 역동성과 휘발성, 그 양면적 잠재성
6. 한국 복지정치의 고유한 역동성과 열린 미래
4장 한국 복지정치의 주요 행위자들과 복지국가의 발전 : 유산, 쟁점, 과제
1. 복지국가와 복지정치, 그리고 주요 행위자들
2. 한국 복지정치의 핵심 행위자들과 복지국가의 발전: 역사와 유산
3. 쟁점과 전망
쟁점 1 복지국가 건설에서 노동운동의 역할
쟁점 2 시민운동의 역할과 정치적 중립성
쟁점 3 좌파정당 및 여타 정당들의 역할
4.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복지동맹
5장 한국 소득보장제도의 유산과 쟁점
1. 이중적 도전과 지속 가능한 소득보장제도
2. 한국 소득보장체제의 유산
3. 소득보장체계의 보편성과 지속 가능성
4. 지속 가능한 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쟁점
쟁점 1 보편적 소득보장체계의 구성을 위한 제도의 조합
쟁점 2 소득보장제도의 재정적 지속 가능성
쟁점 3 보편적 수당의 확대 vs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적 지원
쟁점 4 집단 간 형평성을 고려한 소득보장체계의 구성
쟁점 5 사회서비스 vs 현금급여 강화
6장 한국 사회서비스제도의 유산과 쟁점
1. 사회서비스의 개념과 전개
2. 한국 사회서비스의 유산
3. 공공성 강화를 위한 사회서비스의 변화와 개선
4. 사회서비스 관련 주요 쟁점과 과제
쟁점 1 이용자 확대와 서비스 욕구 증가에 따른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쟁점 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재정립
쟁점 3 공공성 확보를 위한 시민과 지역사회의 역할
쟁점 4 ‘사회서비스원’과 ‘커뮤니티케어’의 적합한 운영
7장 한국 사적 보장체제의 유산과 쟁점
1. 복지체제 전환의 조건
2. 재정복지와 자산기반복지
3. 사적 보장체제의 형성 과정
4. 역기능에 빠진 사적 보장체제
5. 복지체제 전환의 쟁점
쟁점 1 부동산 인질사회에서 벗어나기
쟁점 2 조세개혁 마스터플랜 짜기
6. 한국형 복지국가 전략
8장 무엇을 할 것인가: 정치·경제적 유산을 통해 본 한국 복지국가의 핵심 쟁점
1. 하나의 총체로서 복지-정치-경제
2. 경제 영역에서의 쟁점
3. 정치 영역에서의 쟁점
4. 복지체제와 관련된 쟁점
5. 결론 및 쟁점이 주는 함의
그림과 표 목록 및 출처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Author
윤홍식,윤홍식,정준호,김유선,신진욱,김영순,이영수,이충권,김도균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전3권), 『이상한 성공』, 편저로는 『우리는 복지국가로 간다』, 『안보개발국가를 넘어 평화복지국가로』, 『평화복지국가』,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등이 있고, 『성공한 나라, 불안한 시민』 등 다수의 공저서가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 경제, 복지의 통합적 관점에서 복지국가의 현재와 역사이다.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전3권), 『이상한 성공』, 편저로는 『우리는 복지국가로 간다』, 『안보개발국가를 넘어 평화복지국가로』, 『평화복지국가』,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등이 있고, 『성공한 나라, 불안한 시민』 등 다수의 공저서가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 경제, 복지의 통합적 관점에서 복지국가의 현재와 역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