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영일록 세트

번역문+표점원문
$54.00
SKU
97911898015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17
Pages/Weight/Size 158*230*55mm
ISBN 979118980152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화영일록』은 서유구(徐有?, 1764~1845)가 수원 유수(水原留守)로 재직하던 1836년(헌종 2) 1월부터 1837년 12월까지 지방 통치 및 재정 운영에 관여하여 수행한 공무를 일기형식으로 서술한 기록이다. 서유구는 수원 유수로 부임하기 전 1833년(순조 33) 4월 10일부 터 1834년(순조 34) 12월 30일까지 전라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도순찰사 전주부윤(全羅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都巡察使全州府尹)으로 21개월간 재임하면서 『완영일록(完營日錄)』이라는 8책의 업무일지를 남긴 바 있다.

『화영일록』은 『완영일록』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업무일지로서 『화영일록』에는 유수부의 업무를 보고하는 장계(狀啓)와 이에 관련하여 내려온 전교(傳敎) 등의 문서, 왕실의 중요한 날에 작성하여 바쳤던 각종 전문(箋文), 주변의 여러 군현과 부(府)및 주고받은 관문(關文) 과 문이(文移), 유수부 산하에 내린 감결(甘結)과 전령(傳令), 봄과 가을에 작성한 인사 고과인 포폄(褒貶) 등을 날짜별로 등재하여 『화영일록』을 편찬하였는데, 여기에는 서유구가 수원 유수로 임명되어 1837년(헌종 3년) 12월 3일 지경연사(知經筵事)로 낙점을 받고, 다시 11일에 전생서(典牲署) 제조(提調)로 임명이 되기까지 2년에서 19일이 모자라는 약 23개월간, 수원 유수로 재직하는 12월 12일까지의 공무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Contents
번역문 차례

일러두기

『화영일록(華營日錄)』 해제

화영일록(華營日錄) 권1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2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3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4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5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 憲宗 2년 6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7월| 병신년丙申年 1836 년, 헌종憲宗 2년 8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9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0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1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2월

화영일록(華營日錄) 권2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2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3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 憲宗 3년 4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5월| 정유년丁酉年 1837 년, 헌종憲宗 3년 6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7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8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9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0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1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2월

참고문헌 서목

색인

표점원문 차례

華營日錄 卷1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2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3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4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5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 憲宗 2년 6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7월| 병신년丙申年 1836 년, 헌종憲宗 2년 8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9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0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1월| 병신년丙申年 1836년, 헌종憲宗 2년 12월

華營日錄 卷2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2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3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 憲宗 3년 4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5월| 정유년丁酉年 1837 년, 헌종憲宗 3년 6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7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8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9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0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1월| 정유년丁酉年 1837년, 헌종憲宗 3년 12월
Author
서유구,박시현,한민섭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