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실무 10년, 문제해결 강의 10년. 두 경력 못지 않게 자랑삼고 싶은 경력이 있다면 ‘HRD SCHOOL’로 부터 지금 ‘문제해결 연구회’까지 연구 10년 이력이다. 전략 실무 10년은 좌충우돌 경험을 축적하는 기간이었다. 에뛰드(현 에뛰드 하우스)에서 시작한 마케팅 전략 업무는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 보다 이해관계자를 만나 대화하는 시간, 현장 조사 일이 더 많았다. 이 때 터득한 것이 있다면 ‘답은 현장에 있다’라는 명언을 각인한 것이다. 그 후 IT 붐을 타고 컨설팅 일을 할 때 맡은 전략 실무 핵심은 ‘차별화’였다. 다른 말이 필요 없이 오로지 ‘무엇을 차별화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일했다. 성과도 꽤 있었고, 일도 재밌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부족함이 찾아 들었다. 그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매너리즘에 빠졌는가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었다. ‘답은 현장에 있고, 차별화도 이뤘음에도 부족한 것, 그것이 무엇인지?’ 찾는 여정에서 시작한 것이 HRD SCHOOL 이었다.
문제해결 강의 10년 여정은 이렇게 시작한다. 전략 업무를 신나게 하던 중 HRD 분야로 관심을 돌린 것을 두고 ‘놀랍다’라는 반응 보다는 ‘굳이 그 길을 가려하느냐?’라는 반응이 조금 더 많았다. 나는 이 반응이 흥미로웠다. 여기에 ‘부족함’을 채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어떻게 확신했느냐고 일이 재밌었기 때문이다. HRD SCHOOL은 HRD 일을 잘 하고 싶은 이들이 모인 스터디 이름이다.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2년 여 쯤 독자적인 커리큘럼도 만들었다. ‘기업 교육론’을 시작으로 ‘전략이란 무엇인가?’ ‘조직 행동론’까지 학습했다. 전략 실무 끝물에 느낀 ‘부족함’이 ‘더불어 학습’ 였는가 싶을 정도로 매 순간 알차고 기쁘게 이 일을 했다. 문제해결 강의도 서서히 궤도에 올라서고 있어 보람이 차고 넘쳤다. 특히 전통적인 인맥이 아닌 새로운 학습 네트워크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박진감 넘쳤다. 여기서 머무는 일이 아깝다라는 생각은 나만 가진 일은 아니었다. 문제해결 연구회를 새롭게 시작한 이유다.
문제해결 연구회는 스터디 한계를 극복해 보기로 했다. 비즈니스 선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저마다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해결의 곤란함을 기술적으로 논리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일을 스스로 잘하기 위한 자기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를 토대로 실천하는 활동임을 알렸다. ‘세상에 풀지 못 할 문제는 없다’라는 확신을 놓치 않고, 이를 자긍심 원천으로 삼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연구회는 새로운 기회를 찾는 데 주저 하지 않는 사고 기능 활동임을 역시 강조하고 있고, 이 기개는 꺾지 않을 참이다.
사실 숱한 강의 이력과 눈길을 끄는 학력과 알만한 인맥을 늘어 놓치 않는 까닭은 저자로서 있는 이 자리는 실무와 강의 못지 않게 학습 네트워크로 인연을 맺고 있는 그들의 역할이 오늘의 나이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 간 함께 학습하고, 스스로 성장한 그들 면면이 또 다른 나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이 『해결에 집중하라』의 또 다른 의미이고 별미이다. 그 깊은 맛을 독자들에게도 선사하고 싶다.
전략 실무 10년, 문제해결 강의 10년. 두 경력 못지 않게 자랑삼고 싶은 경력이 있다면 ‘HRD SCHOOL’로 부터 지금 ‘문제해결 연구회’까지 연구 10년 이력이다. 전략 실무 10년은 좌충우돌 경험을 축적하는 기간이었다. 에뛰드(현 에뛰드 하우스)에서 시작한 마케팅 전략 업무는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 보다 이해관계자를 만나 대화하는 시간, 현장 조사 일이 더 많았다. 이 때 터득한 것이 있다면 ‘답은 현장에 있다’라는 명언을 각인한 것이다. 그 후 IT 붐을 타고 컨설팅 일을 할 때 맡은 전략 실무 핵심은 ‘차별화’였다. 다른 말이 필요 없이 오로지 ‘무엇을 차별화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일했다. 성과도 꽤 있었고, 일도 재밌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부족함이 찾아 들었다. 그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매너리즘에 빠졌는가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었다. ‘답은 현장에 있고, 차별화도 이뤘음에도 부족한 것, 그것이 무엇인지?’ 찾는 여정에서 시작한 것이 HRD SCHOOL 이었다.
문제해결 강의 10년 여정은 이렇게 시작한다. 전략 업무를 신나게 하던 중 HRD 분야로 관심을 돌린 것을 두고 ‘놀랍다’라는 반응 보다는 ‘굳이 그 길을 가려하느냐?’라는 반응이 조금 더 많았다. 나는 이 반응이 흥미로웠다. 여기에 ‘부족함’을 채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어떻게 확신했느냐고 일이 재밌었기 때문이다. HRD SCHOOL은 HRD 일을 잘 하고 싶은 이들이 모인 스터디 이름이다.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2년 여 쯤 독자적인 커리큘럼도 만들었다. ‘기업 교육론’을 시작으로 ‘전략이란 무엇인가?’ ‘조직 행동론’까지 학습했다. 전략 실무 끝물에 느낀 ‘부족함’이 ‘더불어 학습’ 였는가 싶을 정도로 매 순간 알차고 기쁘게 이 일을 했다. 문제해결 강의도 서서히 궤도에 올라서고 있어 보람이 차고 넘쳤다. 특히 전통적인 인맥이 아닌 새로운 학습 네트워크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박진감 넘쳤다. 여기서 머무는 일이 아깝다라는 생각은 나만 가진 일은 아니었다. 문제해결 연구회를 새롭게 시작한 이유다.
문제해결 연구회는 스터디 한계를 극복해 보기로 했다. 비즈니스 선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저마다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해결의 곤란함을 기술적으로 논리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일을 스스로 잘하기 위한 자기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를 토대로 실천하는 활동임을 알렸다. ‘세상에 풀지 못 할 문제는 없다’라는 확신을 놓치 않고, 이를 자긍심 원천으로 삼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연구회는 새로운 기회를 찾는 데 주저 하지 않는 사고 기능 활동임을 역시 강조하고 있고, 이 기개는 꺾지 않을 참이다.
사실 숱한 강의 이력과 눈길을 끄는 학력과 알만한 인맥을 늘어 놓치 않는 까닭은 저자로서 있는 이 자리는 실무와 강의 못지 않게 학습 네트워크로 인연을 맺고 있는 그들의 역할이 오늘의 나이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 간 함께 학습하고, 스스로 성장한 그들 면면이 또 다른 나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이 『해결에 집중하라』의 또 다른 의미이고 별미이다. 그 깊은 맛을 독자들에게도 선사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