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전작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에 이어, 공교육의 근본적인 혁신을 도모하는 고교학점제가 우리 고등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 갖춰져야 할 제반 조건 및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특히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학교문화 만들기, 누군가의 희생을 담보로 하거나 주먹구구식 관례가 아닌 합리적 규범에 근거한 체계적인 학교운영, 학생들이 주체가 된 과목 선택과 진로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 및 편성, 발달적 관점에서의 질적 평가 방안 및 공간의 융통성과 개방성을 높여 학점제에 최적화된 학교 공간혁신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한편, 실제 사례들과 경험자들의 인터뷰를 풍부하게 담았다. 또한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고교학점제 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 방향과 실천 사례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Contents
저자의 글_ 모든 학생의 꿈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민주화를 향한 힘찬 시동, 고교학점제
CHAPTER 01 고교학점제와 미래교육 _ “공교육의 새로운 진화를 위한 플랫폼이 열리다!”
01 미래 교육과정,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02 교육과정 주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 만들기 / 03 고교학점제 연착륙을 위한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CHAPTER 02 고교학점제와 학교문화 _“왜 학교문화가 중요한가?”
01 우리가 학교문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2 새로운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극복해야 하는가? / 03 낡은 고정관념을 벗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라 !
CHAPTER 03 고교학점제와 학교운영 _“학교, 무엇을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01 우리는 왜 협력적 소통에 주목하는가?/ 02 학교 업무를 재구조화하라! / 03 학사운영 관리를 재구조화하라!
CHAPTER 04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_“교육과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01 고교학점제는 진로교육의 도약대이다! / 02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CHAPTER 05 고교학점제와 학교교육과정_“학교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1 학교교육과정의 의미와 절차를 알아보자!/ 02 학생중심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해외의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CHAPTER 06 고교학점제와 평가 _“양적 서열화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질적 평가로!”
01 책임교육의 차원에서 평가를 바라보라!/ 02 고교학점제 안에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07 고교학점제와 학교 공간혁신 _“모두를 위한 학교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다!”
01 학교 공간은 왜 중요한가?/ 02 고교학점제를 위한 학교 공간혁신의 기준은 어떻게 다른가?/ 03 사용자들이 함께 설계에 참여하는 학교 공간혁신 / 04 성공적인 학교 공간혁신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라/ 05 국내의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혁신 사례를 찾아서/ 06 해외 사례로 살펴보는 학교 공간혁신 아이디어
CHAPTER 08 특성화고등학교와 고교학점제 _“학교 본연의 정체성을 극대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라!
01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02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 운형모형의 개발 과정 특징/ 04 고교학점제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모형/ 05 사례로 살펴보는 직업계고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06 특성화고등학교 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자료
Author
김삼향,김인엽,노병태,정미라,최영선
경기도교육청 학교교육과정과 장학사로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정책을 통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학교를 꿈꾸며 (사)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 공부하고 있다. 최근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지역 교육과정 구성 방안,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 연구 등에 함께 참여하였다.
경기도교육청 학교교육과정과 장학사로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정책을 통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학교를 꿈꾸며 (사)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 공부하고 있다. 최근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지역 교육과정 구성 방안,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 연구 등에 함께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