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기 이후 한국 근현대사에서 각 시기별 종교자유 문제를 조망하고, 특히 민주화 시대 이후 오늘날에도 ‘종교적 신념에 따른 병역거부’나 미션스쿨의 종교자유 문제, 배타적 종교 활동에 따른 사회적 갈등의 야기 등으로 드러나는 종교자유 문제의 여러 현상을 조명하여, 초기에는 소수종교의 선교자유를 보장하던 종교자유가 점차 국가권력의 통치 이데올로기나 거대 종교권력의 선교 방편으로 기능하는 현실을 진단하였다.
Contents
I. 서론
1. 왜 종교자유인가? 2. 종교자유의 존재방식
3. 선행연구 동향 4. 책의 개요
II. 한국사회의 근대성 수용과 종교자유
1. 서구 근대성과 종교자유 2. 서구 종교의 선교 활동과 종교자유
3. 국권주의와 민권주의에 나타난 종교자유
III. 일제하 종교교육 논쟁과 종교자유
1. 근대 일본의 종교·교육 정책과 기독교학교 2. 조선총독부의 종교·교육 정책과 기독교학교
3. 장로교와 감리교의 대응 양상
IV. 일제하 신사참배 논쟁과 종교자유
1.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 2. 기독교계의 신사종교론과 신사비종교론
V. 일제하 종교법과 개신교
1. [종교법안]과 일본 개신교의 대응 2. [종교법안]과 식민지 조선 개신교의 대응
VI. 군사정권 시대의 인권 문제와 종교자유
1. 산업선교 논쟁과 선교의 자유 2. 병역거부 논쟁과 양심의 자유
VII. 종교법인법과 한국종교
1. 일본 종교법인법의 약사 2. 사회단체등록법안과 종교계의 대응
3. 종교법인법 논쟁
VIII. 성시화, 템플스테이, 땅밟기
1. 개신교의 성시화운동과 불교의 반성시화운동 2. 공직자의 종교자유
3. 템플스테이 논쟁 4. 땅밟기와 종교평화법
IX. 학교와 종교자유 203
1. 국가의 교육정책과 미션스쿨의 종교교육 2. 종교교육의 자유와 종교자유의 충돌
3. 개종주의적 선교와 정치적 현실주의
보론: ‘연대, 이대 사건’과 종교자유
XI. 안티기독교 운동
1. 시민사회, 교회개혁운동, 안티기독교 2. 안티기독교 운동의 기원과 계보
3. 안티기독교 진영의 담론과 실천 4. 안티기독교 운동의 주체와 이데올로기
5. 개신교의 대응 양상
XII. 결론
Author
이진구
한국종교문화연구소장. 주요 관심사는 한국근현대 종교사, 한국 기독교사, 종교자유와 인권 등이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편저), 『한국기독교사 탐구』(공저), 『아메리카나이제이션』(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비교의 시선으로 바라본 종교의 세계』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 인식」, 「한국 개신교 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최근 한국사회의 불교와 보수 개신교의 갈등」 등이 있다.
한국종교문화연구소장. 주요 관심사는 한국근현대 종교사, 한국 기독교사, 종교자유와 인권 등이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편저), 『한국기독교사 탐구』(공저), 『아메리카나이제이션』(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비교의 시선으로 바라본 종교의 세계』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 인식」, 「한국 개신교 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최근 한국사회의 불교와 보수 개신교의 갈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