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주로 가기로 했다
그것이 쉽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기 때문이고, 도전할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2022년 6월 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2차 시험 발사 성공!
-2022년 8월 5일, 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성공!
-2023년 황정아 박사가 만들고 있는 군집위성 ‘도요샛(SNIPE)’ 발사 예정!
-2025년 발사 예정인 나사의 유인 달 탐사 국제협력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미션’ 참여!
‘누리호’와 ‘다누리’의 연이은 발사 성공으로 우리는 이제 우리나라 땅에서, 우리나라가 만든 인공위성을, 우리나라가 만든 발사체에 실어 우주로 보낼 수 있는 ‘우주 주권’을 지닌 일곱 번째 나라가 되었다. 또한 독자 개발한 위성과 로켓을 발사함으로써 우주 강국이라는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각인시켰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이 우주를 동경하고 호기심을 품게 되었지만, 실제 인공위성과 로켓을 제작하고 발사하여 우주를 탐사하는 데 어떤 기술과 과정이 필요한지 제대로 이야기하는 책은 없었다. 우주 선진국들이 우주개발을 진행해온 과정과 현재의 추세, 그리고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사를 종합적으로 짚어주는 책도 많지 않았다.
인공위성을 만드는 물리학자 황정아 박사가 집필한 『우주미션 이야기』에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우주 개발 미션’의 모든 과정이 담겨 있다. 우주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제작 과정과 기술을 차근차근 설명해준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초창기부터 현장에서 헌신한 황정아 박사가 직접 경험한 이야기와 지식을 처음으로 풀어낸 책이기 때문에 독자들은 더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1장 인공위성은 로켓을 타고 날아간다
인공위성과 우주선은 어떻게 다를까
인공위성을 둘러싼 경쟁
인공위성을 발사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우리나라의 인공위성과 로켓
2장 우주탐사 미션
많은 나라가 로켓을 개발하는 이유
액체연료와 고체연료
새로이 떠오르는 우주산업
인공위성과 로켓을 개발하는 과정
3장 인공위성
임무 또는 탑재체에 따라 나누기
모양에 따라 나누기
궤도에 따라 나누기
무게에 따라 나누기
우리나라의 위성
인공위성의 핵심 부품
개발 단계의 모델
4장 인공위성의 꽃, 탑재체
탑재체 선정과 개발
과학기술위성 1호의 탑재체
우리나라 위성의 탑재체
5장 우주 환경 시험
조립 시험
우주 환경 시험
6장 로켓과 연료
로켓은 어떻게 작동할까
로켓의 종류
우리나라의 로켓
급성장하는 세계 우주시장
세계 발사체 시장의 현황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재사용 발사체
소형 우주발사체가 필요한 이유
가장 거대한 로켓
달 착륙에 필요한 로켓
화성 착륙에 필요한 로켓
7장 인공위성과 지상국
우주와의 통신
지상국은 어떻게 구성할까
우리나라의 지상국 개발
안테나의 원리
한국천문연구원의 지상국 안테나
다중 위성 관제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데이터 처리 시스템
뉴스페이스 시대의 전문 인력
도요샛위성 프로젝트의 지상국 개발
심우주 지상국
8장 우리는 왜 우주로 가야 할까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의 의미
우리나라의 우주산업, K-스페이스 시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화성 탐사 레이스
후발주자 아랍에미리트의 도약
미래를 위한 우주탐사
Author
황정아
우주를 사랑하는 물리학자로서 우주 환경을 연구하고, 인공위성을 만든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대표교수이기도 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과정 동안 과학기술위성 1호의 우주 물리 탑재체 개발에 참여하면서 인공위성과 인연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4기의 큐브샛 미션인 스나이프(SNIPE) 프로젝트의 시스템을 총괄하고 있다. 언젠가는 우리나라도 태양계 탐사뿐 아니라 태양권계면을 벗어나 새로운 지평선을 여는 인공위성을 개발할 것이고, 이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국가우주위원으로, 정지궤도 복합위성 개발사업 추진위원, 425 정찰위성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주 날씨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주 날씨 이야기》가 있으며,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첨단기술의 과학》 《십 대, 미래를 과학하라!》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등을 함께 집필했다.
우주를 사랑하는 물리학자로서 우주 환경을 연구하고, 인공위성을 만든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대표교수이기도 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과정 동안 과학기술위성 1호의 우주 물리 탑재체 개발에 참여하면서 인공위성과 인연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4기의 큐브샛 미션인 스나이프(SNIPE) 프로젝트의 시스템을 총괄하고 있다. 언젠가는 우리나라도 태양계 탐사뿐 아니라 태양권계면을 벗어나 새로운 지평선을 여는 인공위성을 개발할 것이고, 이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국가우주위원으로, 정지궤도 복합위성 개발사업 추진위원, 425 정찰위성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주 날씨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주 날씨 이야기》가 있으며,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첨단기술의 과학》 《십 대, 미래를 과학하라!》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등을 함께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