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우리나라 최초로 협동조합과 유기농업을 시작하고, 전국 최초의 지역 신문 창간을 이끌어 낸 충남 홍성군의 작은 마을 홍동면. 교육, 협동, 유기농업, 지역공동체 관련 단체가 50여 개에 이르는데, 모두 주민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결성되고 운영되는 이 작은 마을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바로 1958년 홍동면에 문을 연 풀무학교다. 저자 이번영은 홍동면에서 태어나 풀무학교를 1회로 졸업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협동조합 실무와 전국 최초의 지역 신문인 [홍성신문] 창간의 주역으로 활동하면서 홍동 지역 변화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했다. 변화의 밑바탕을 이루는 풀무학교가 지난 60년 동안 지역을 어떻게 바꾸어왔는지 저자는 교육, 협동조합, 문화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Contents
서문
1장 풀무학교와 지역
[무교회주의 기독교]
제2의 종교 개혁
종교를 넘어 교육과 사회 개혁으로
일본 무교회도 학교 교육 통해 전승
[이찬갑]
이승훈에 바른말하는 유일한 청년
북녘은 시베리아 찬바람, 남녘은 썩어가는 뒷간
초라해서 더 의미 있는 풀무학교 개교
마을 유리조각 줍는 선생
3년 풀무질 영향 60년 넘게 이어져
[주옥로]
목사에서 무교회주의자로
청년회 결성, 연극으로 지역 운동
이상과 현실의 갈등
[최태사]
풀무학교 제3의 설립자
[홍순명]
홍동 지역공동체
2장 협동조합 마을
[풀무소비자생활협동조합]
해방 후 최초 협동조합 씨앗 뿌려
창립 3년 만에 경영 부실로 해산
주민 45명 다시 창립, 마을 순회 판매
도농 간 농산물 직거래 시작
유기농업 생산자조합으로 전환
사실상 파산, 33년 뒤로 돌아가
[풀무신용협동조합]
군사 정권도 실패한 농어촌 고리채
풀무학교 졸업생 18명, 4,500원으로 출발
한 집 평균 2명씩 조합원 가입
[나래를 펴지 못한 협동조합들]
[협동조합의 한계와 새로운 협동조합]
3장 앞서가는 문화
[홍동의 풀뿌리 언론 출판문화]
풀무학교 교지와 벽보
당국에서 금지시킨 풀무학교 국어 교과서
지역 소식지로 발전한 졸업생 소식지
홍동소식 창간과 강제 폐간
홍성신문 창간으로 이어져
한국 언론 자유 신장에 기여
[농촌 문화를 생산한 갓골어린이집]
6개 마을 대표 12명과 시작
전설 같았던 갓골극단
[홍동 사람들의 끝없는 상상력, 도서관 운동]
대한출판문화협회 상 받은 홍동학생도서실
주민 231명 뜻 모아 지어 공동 운영하는 홍동밝맑도서관
[부록] 홍동 지역 협동조합 연보
[맺는글] 오래된 꿈
Author
이번영
1947년 홍성군 홍동면 금평리에서 태어나 홍성읍에 살고 있다. 풀무학교 중등부 3회, 고등부 1회로 들어가 이찬갑, 주옥로, 홍순명 선생에게서 6년간 교육을 받았다. 부산에서 장기려 복음병원장 사택 일요일 성서 모임에 5년간 나가며 서울에서 매월 내려오는 함석헌 선생을 접하고, 서울 YMCA 노평구 성서 집회에 2년 동안 나가며 믿음과 생각과 삶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 풀무학교 행정실장, 풀무생협 창립 전무, 홍성신문 창간 편집국장을 맡았으며 홍성신문 대기자 및 논설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용감했던 홍성 사람들』(2006, 글을읽다), 『대전충남언론 100년사』(공저, 2013, 대전언론문화연구원)등의 책을 냈다.
1947년 홍성군 홍동면 금평리에서 태어나 홍성읍에 살고 있다. 풀무학교 중등부 3회, 고등부 1회로 들어가 이찬갑, 주옥로, 홍순명 선생에게서 6년간 교육을 받았다. 부산에서 장기려 복음병원장 사택 일요일 성서 모임에 5년간 나가며 서울에서 매월 내려오는 함석헌 선생을 접하고, 서울 YMCA 노평구 성서 집회에 2년 동안 나가며 믿음과 생각과 삶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 풀무학교 행정실장, 풀무생협 창립 전무, 홍성신문 창간 편집국장을 맡았으며 홍성신문 대기자 및 논설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용감했던 홍성 사람들』(2006, 글을읽다), 『대전충남언론 100년사』(공저, 2013, 대전언론문화연구원)등의 책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