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 간 말만 무성했지 아무 성과도 없어 북한 관련 철도 사업은 국민들의 눈에는 양치기 소년이나 다름없다. 게다가 이 주제만 꺼내면 ‘또 퍼주기 사업이요?’라며 손사래를 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이때 저자인 진장원 소장은 남북중 국제고속철도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한반도의 미래 방향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유라시아대륙에서 벌어지고 있는 교통망 구축 경쟁과 중국의 고속철도 굴기 과정, 남북중 국제고속철도가 갖는 정치·경제적 의미, 철도통합을 통해 구주연합(EU)을 이루어낸 유럽의 사례와 남북중 고속철도 사업에 관련된 오해와 진실을 저자가 직접 체험한 기행과 엮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진장원 소장은 국내 유일의 교통특성화 대학인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의왕캠퍼스)의 교수이며 유라시아교통연구소장으로서 남북 및 유라시아 대륙 교통인프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칭화대(2006), 러시아 국립 극동교통대학교(2014)의 초빙교수로서 현장 경험을 했다. 그런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분단된 한반도가 열강의 틈바귀에서 살아남기 위해 남북중 고속철도가 갖는 의미를 서술하는 저자의 해박함에 신뢰가 간다. 중국고속철도의 현장과 유라시아 대륙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미래 대한민국이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 역사·사회·경제적 통찰을 자연스럽게 얻게 될 것이다.
Contents
추천사
제1장 들어가기
제2장 유라시아 대륙과 한반도 북핵일지
제1절 대륙의 부활
유라시아 대륙
떠오르는 유라시아 대륙
제2절 대륙 각국의 움직임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유럽의 Ten-T 프로젝트와 고속철도 건설 열풍
중앙아시아의 지역경제협력 CAREC
일본의 미워도 다시 한 번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제3절 한반도종단철도와 북핵일지
손기정 선수와 철마는 달리고 싶다
한반도종단철도(TKR)와 러시아의 열망
북한은 언제부터 핵개발에 뛰어들었나?
북핵과 개성공단 폐쇄 유감
제4절 유라시아 대륙철도와 한반도의 운명
북핵일지와 남북철도 연결사업으로부터의 시사점
유라시아 대륙철도는 통일에 도움이 되나?
제3장 중국의 일대일로와 고속철도망
제1절 중국 고속철도 발전 역사
동아시아 고속철도의 시작
중국 교통망의 비약적 발전
중국 고속철도의 시작(1단계: 1995~2005년)
중국 고속철도 발전기(2단계: 2006~2011년)
7·23 사고와 중국 고속철도의 발전
중국 고속철도 황금기(3단계: 2012~2020년)
중국 고속철도 미래(4단계: 2021~2030년) 4종4횡에서 8종8횡으로
중국의 우광(우한~광저우) 고속철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철도는 어디에 있을까?
중국의 칭짱철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철도는 어디에 있을까?
중국의 고속철도 차량
중국의 고속철도몽과 한반도 평화
제2절 동쪽 끝에서 만난 고속철도
베이징에서 하얼빈
안중근 의사와 하얼빈역
남북 화해를 기다리는 훈춘
훈춘에서 블라디보스토크
단동과 북한
제3절 서쪽 끝에서 만난 고속철도
베이징에서 우루무치로 가는 길
우루무치 단상
사막에 생겨난 훠얼궈스 국제통상구
훠얼궈스에서 만난 한국 음식점
투루판: 손오공의 땅 화염산
세계의 불가사의 카레즈
제4장 동아시아 철도경제공동체와 남북중 국제고속철도
제1절 동아시아 철도경제공동체와 남북중 국제고속철도
동아시아 경제성장과 상호 의존성 증가
몸으로 체험한 중국의 경제성장
북한: 동아시아 루트의 미싱 링크(Missing link)
안중근 의사와 동양평화론
김대중 대통령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
노무현 대통령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
문재인 대통령과 동아시아 철도·경제·에너지 공동체
동아시아 공동체를 둘러싼 미·중·일의 각축
제2절 남북중 국제고속철도의 가능성
한반도의 대동맥이 될 경의축
평창 고속열차가 다 좋다던데
남북중 국제고속철도와 동아시아 초국경 고속철도 경제권
제3절 남북중 국제고속철도에 관한 오해
비행기를 타지 누가 기차를 타겠나?
정말 여객수요가 있을까?
동북아 국제특송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그 많은 돈을 또 퍼주기냐?
철도 주권론과 재정조달방안
EU의 형성과 철도시스템 통합(상이한 남북중 철도시스템 극복)
북한에 전력이 부족하잖아요?
뭘 준비해야 하죠?
제5장 맺는말
참고문헌
Author
진장원
국내 유일의 교통특성화 대학인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의왕캠퍼스)의 교수이며 유라시아교통연구소장으로서 남북 및 유라시아 대륙 교통인프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칭화대(2006), 러시아 국립 극동교통대학교(2014)의 초빙교수로서 현장 경험을 했고, 현재는 (사)유라시아평화철도포럼 상임대표, 대한교통학회 부회장으로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여러 철도, 교통 관련 위원회에서 활동해왔다.
국내 유일의 교통특성화 대학인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의왕캠퍼스)의 교수이며 유라시아교통연구소장으로서 남북 및 유라시아 대륙 교통인프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칭화대(2006), 러시아 국립 극동교통대학교(2014)의 초빙교수로서 현장 경험을 했고, 현재는 (사)유라시아평화철도포럼 상임대표, 대한교통학회 부회장으로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여러 철도, 교통 관련 위원회에서 활동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