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세계, 정치

$24.15
SKU
97911881088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0/31
Pages/Weight/Size 140*215*30mm
ISBN 9791188108879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감정을 우리 삶과 세계(관)의 중심으로 끌어오고 직시하려는 시도

감정은 무엇인가? 감정은 재현/표상인가, 잠재/실재인가? 감정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감정은 개인적인 것인가, 사회적인 것인가? 이 둘의 구별은 유의미한 것인가? 감정은 개인의 행동과 공동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감정은 보편도덕의 기반이 될 수 있는가? 감정은 규범의 역할을 할 수 있는가? 감정과 권력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 책이 탐구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감정의 세계와 감정의 정치를 직시하는 질문들이다. 감정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씨줄로 삼고 철학, 사회학, 정치학, 국제관계학, 그리고 외교, 안보, 민족 문제를 날줄로 엮어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따라서 이 책의 각 장은 단순한 구별이 아닌 의미 있는 차이이면서도 연결이고,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연속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과 차이는 요새 많이 쓰는 말로 하자면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접근이며, 이는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자 커다란 지적 공헌이다. 감정이 국제정치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정의 존재, 의미, 본질은 물론이고, 감정과 행동유발 간의 상관관계, 감정의 집단화/사회화 메커니즘, 집단공동체 형성에서 감정의 역할 등등, 매우 다양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요청된다. 이는 국제정치학이 본연의 경계에서 벗어나 혹은 그 경계를 적극적으로 허물고 타 분야와 연결되고 그들의 통찰을 충분히 소화해야만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 책은 감정연구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을 수 있다.
Contents
서 문 감정의 세계, 감정의 정치

제1장 국제정치와 인간 본성 - 이성, 감정, 그리고 열정
I 들어가는 말
II 인간 본성에 대한 국제정치학의 관심
III 이성의 저편, 감정과 열정
IV 감정 이전의 열정: 역사적 고찰
V 열정과 감정의 국제정치: 이론적 함의
VI 맺는 말

제2장 공감과 공동체적 삶
I 들어가며
II 공감을 공동체적 삶의 기초로 삼는 철학적 입장들
III 공감 윤리학이 남기는 문제들

제3장 감정, 삶, 사회 - 감정 사회학 이론들
I 감정과 사회
II 감정 사회학 이론들
III 결론

제4장 국제정치학 감정연구의 쟁점, 함의, 그리고 향배
I 서론
II 감정의 존재론
III IR 감정연구에서의 이론적 논쟁
VI 맺음말

제5장 감정으로 정치 보기 - 2016-17 촛불집회
I 서론
II 정치참여: 합리성을 넘어
III 분노의 감정과 정치참여: 2016-17 촛불집회
IV 결론

제6장 한미동맹과 감정 - 안보-자율성 교환의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I 문제제기
II 안보-자율성 교환과 감정
III 한미동맹의 안보혜택에 대한 한국인의 담론과 감정
IV 한미동맹에 의한 자율성 감소에 대한 한국인의 담론과 감정
V 안보-자율성 교환관계의 한미동맹과 한국인의 양가적 감정
VI 결론

제7장 북한 정치체제와 마음의 습속
I 들어가며
II 북한사회의 ‘마음의 습속’
III 주체사상이 구성한 마음의 습속
IV 신소제도의 작동과 마음의 습속
V 북한주민의 습속의 변화는 가능한가?
VI 나가며

제8장 도의적 책임 논리와 일본군‘위안부’ 문제 인식의 정치과정 - 1990년대 일본의 제한적 국제규범 수용과 「고노 담화」
I 서론
II 이론적 검토: 국제규범 수용의 국제정치와 국내정치
III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발현과 국제화
IV 국가의 등장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의제화
V 「고노 담화」와 일본의 문제 인식 과정
VI 결론: “도의적 책임”과 일본 정부의 정치적 논리
Author
은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