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교과 융합의 이론적인 논의가 될 뿐만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융합 교과목의 개발이나 융합 교과 수업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1부에서는 언어 중심 교과 융합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특히 언어 중심 교과 융합 교육을 정의하고, 어떤 교육 내용을 담을 것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그런 다음 2부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다루었다. 그리하여 언어를 핵심으로 하는 교과인 ‘국어’를 중심으로 ‘도덕’, ‘지리’, ‘과학’, ‘수학’, ‘미술’, ‘체육’ 등 다양한 교과와의 융합 교육의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자(SSK)지원 사업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연구단은 융합 교육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해 책의 체제에 맞게 연구 성과물을 다시 쓰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정리하였다.
Contents
1부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이란 무엇인가
1장 융합 교육과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
1. 창의적 인재 양성과 융합 교육
2. 교과 융합 교육의 성격
3. 교과 융합 교육의 목표
4. 언어의 특성과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
5. 언어 중심 교과 융합의 원리와 유형
2장 언어 중심 교과 융합 교육의 내용
1.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과 융합 교육
2. 언어 중심 교과 융합 교육의 내용 범주
3. 문학을 활용한 언어 중심 교과 융합 교육의 내용
2부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3장 국어와 도덕의 융합 교육
1. 국어와 도덕의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국어와 도덕의 융합 교육의 방향
3. 국어와 도덕의 융합 교육의 내용
4. 국어와 도덕의 융합 교육의 실행 방안
4장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
1.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의 방향
3.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의 내용 생성 ─ [춘향전]을 제재로
4.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의 실천과 그 지원 190
5장 과학적 설명모형의 구성과 서사구성의 융합 교육 방안 ─ 가추법과 도상적 사고실험을 중심으로
1. 도입
2. 과학교육에서 과학적 설명모형의 구성
3. 과학적 설명모형 구성의 관점에서 본 서사적 사고력의 핵심
4. 과학적 모형구성과 서사구성의 융합 교육 모색
6장 문학과 과학의 융합 교육 ─ 과학 소설을 중심으로
1. 제4차 산업혁명과 문학·과학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교육과정, 교과서로 본 문학·과학 융합 교육의 현재
3. 문학·과학 융합 교육 제재로서의 과학 소설
4. 문학·과학 융합 교육의 방향
7장 과학 교육에서 은유와 서사의 활용
1. 은유와 서사를 활용하는 과학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인간의 언어생활에서 은유와 서사의 가치
3. 과학에서 은유와 서사의 역할
4. 과학 교육에서 은유와 서사의 활용
8장 문법과 수학의 융합 교육
1. 문법과 수학의 융합 교육 가능성
2. ‘수학적 지식의 구성’과 ‘문법의 지식 구성적 기능’
3. 문법과 수학의 융합 교육 내용
4. 문법과 수학의 융합 교육 실행 방안
9장 문학과 미술의 융합 교육
1. 문학과 미술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문학과 미술 융합 교육의 가능성
3. 문학과 미술의 융합 교육의 내용: 밀레이의 [오필리아]
4. 문학과 미술의 융합 교육의 실행 방안
10장 문학과 체육의 융합 교육
1. 문학과 체육 융합 교육의 필요성
2. 문학과 체육 융합 교육의 가능성
3. 문학과 체육의 융합 교육의 내용: [어부사시사]의 흥(興)
4. 문학과 체육의 융합 교육의 실행 방안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구본관,윤여탁,김종철,유준희,구자현,고정희,윤대석,서명희,이지수,조진수
1966년 경북 월성군(현재 경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서경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문학박사). 우리말의 형태론을 출발점으로 하여 어휘론, 국어사 및 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언어와 인간의 연구에 흥미를 느끼고 있다.
1966년 경북 월성군(현재 경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서경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문학박사). 우리말의 형태론을 출발점으로 하여 어휘론, 국어사 및 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언어와 인간의 연구에 흥미를 느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