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과 주일미군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
$21.60
SKU
97911878226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1/29 - Tue 0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ue 01/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3/29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87822660
Categories 사회 정치 > 국방/군사
Description
국방정책기획통인 임기훈 국방부 정책기획차장이 냉전기·탈냉전기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을 조명하고 그에 따른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책 『주한미군 과 주일미군』을 펴냈다.

저자는 다수의 미 국가안보전략 관련 자료와 연구논문 등을 통해 획득한 실증적 논거를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다. 아울러 한미 연합군사령부에서 다양한 연합연습에 참여하고 국방부에서 수많은 한미 정책협의를 기획하고 주한미군사령부와 미 국방부·국무부의 정책 담당관들과 함께 일하면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은 냉전기, 그리고 탈냉전기 미국의 안보·국방전략과 한국과 일본의 대미 동맹전략,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서 개관했으며, 총 4장으로 구성했다.
Contents
책을 쓰면서

서론

CHAPTER 1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체계와 국제정치 이론

1.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체계
(1) 국가안보전략과 국방·군사전략
(2) 미국의 국방전략 문서
2.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
(1) 미어샤이머의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
(2) 월츠의 ‘방어적 현실주의’와 비교
(3)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의 탈냉전기 동북아 국제체제 적용
3. 동맹이론
(1) 동맹의 정의와 유형
(2) 동맹의 형성 동기
(3) ‘자율성-안보 교환’의 동맹 모델
(4)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성격
(5)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탈냉전기 한미동맹과 미일동맹 적용

CHAPTER 2 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과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1. 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
(1) 1950년대 : 트루먼 독트린, 뉴룩 전략 및 대량보복전략
(2) 1960년대 : 유연대응전략과 상호확증파괴
(3) 1970년대 : 닉슨 독트린과 베트남화 전략, 카터 독트린
(4) 1980년대 : 롤백 전략(레이건 독트린)
2. 냉전기 주한미군의 역할
(1) 주한미군 병력 규모의 변화
(2) 한미 연합연습 및 훈련
(3) 주한미군의 역할
3. 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
(1) 주일미군 병력 규모의 변화
(2) 미일 연합연습 및 훈련
(3) 주일미군의 역할
4. 냉전기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비교 및 상관관계
(1)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비교
(2)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관관계

CHAPTER 3 탈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과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1. 탈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
(1) 조지 H. W. 부시 행정부
(2) 클린턴 행정부
(3) 조지 W. 부시 행정부
(4) 오바마 행정부
(5) 트럼프·바이든 행정부
2. 탈냉전기 주한미군의 역할
(1) 한국의 안보 자율성 확대 노력
(2) 동북아 작전적 기동군으로서의 주한미군
주한미군 병력 규모 및 전력의 변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
주한미군 참가 연합연습 및 훈련의 확대
주한미군의 역할
3. 탈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
(1) 미일 방위협력의 가속화 및 ‘보통국가화’ 추구
(2)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략적 기동군으로서의 주일미군
주일미군 병력 규모 및 전력의 변화
주일미군의 재편
미일 연합연습 및 훈련
주일미군의 역할

CHAPTER 4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 및 상관관계

1.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
(1)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2)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
2.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관관계
(1)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전력 구조 특성 및 성격
(2)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호 승수효과
(3)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호 민감성과 취약성

결론

주(註)
참고문헌
Author
임기훈
<학력>
육군사관학교 졸업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정치학 석사)
경남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주요 경력>
한미 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동티모르 평화유지군 사령부(PKF HQs, Dili, East Timor)
이라크 다국적군사령부(Multinational Forces HQs, Baghdad, Iraq)
미 합동참모대학(U. S. Joint Forces Staff College)
국방부 국방정책실 SCM 담당, 대미정책총괄, 정책기획과장
대통령비서실 국방비서관실 국방정책/개혁 담당 행정관
국방부 정책기획차장

<논문>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20 21)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제37권 4호, 2021)
<학력>
육군사관학교 졸업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정치학 석사)
경남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주요 경력>
한미 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동티모르 평화유지군 사령부(PKF HQs, Dili, East Timor)
이라크 다국적군사령부(Multinational Forces HQs, Baghdad, Iraq)
미 합동참모대학(U. S. Joint Forces Staff College)
국방부 국방정책실 SCM 담당, 대미정책총괄, 정책기획과장
대통령비서실 국방비서관실 국방정책/개혁 담당 행정관
국방부 정책기획차장

<논문>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20 21)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제37권 4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