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 구한말, 대한제국 임시정부 시기, 한국전쟁 이전과 이후 현대의 역사를 관통하면서 각 시기의 군사적 사고를 분석해 군사사상을 규명하는 날카로운 분석력과 논리, 그리고 그 안에 담긴 문제점을 읽어내는 비판의식, 한국의 군사사상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저자의 놀라운 통찰력과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국의 군사사상을 다룬 최고의 역작이다.
Contents
서문
제1부 군사사상이란?
제1장 서론
제2장 군사사상이란 무엇인가?
1. 군사사상이란?
가. 군사사상 용어의 난해함
나. 군사사상 용어의 정의
다. 관련 용어와의 비교
2. 군사사상 접근방법
가. 사회과학적 연구의 필요성
나. 군사사상 분석을 위한 변수 도출
3. 군사사상의 핵심 변수
가. 전쟁의 본질 인식
나. 전쟁의 정치적 목적
다. 전쟁수행전략
라.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마. 한국의 군사사상 분석을 위한 틀
제3장 고전적 군사사상 비교: 손자, 클라우제비츠, 마오쩌둥
1. 손자: 유교적 군사사상 반영
가. 전재의 본질 인식: 필요악으로서의 전쟁
나. 전쟁의 정치적 목적: 방어와 도의(道義)의 이행
다. 전쟁수행전략: 간접전략 및 우직지계의 기동전략
라. 전쟁대비: 군주 중심의 삼위일체
2. 클라우제비츠: 근대 서구 군사사상의 효시
가. 전쟁의 본질 인식: 정치행위로서의 전쟁
나. 전쟁의 정치적 목적: 국가이익 확보
다. 전쟁수행전략: 섬멸전략
라. 전쟁대비: 삼위일체의 균형 유지
3. 마오쩌둥: 혁명적 군사사상의 대부
가. 전쟁의 본질 인식: 정당한 전쟁으로서의 혁명전쟁
나. 혁명전쟁의 정치적 목적: 적 근절로 영구적 평화 달성
다. 혁명전쟁의 수행전략: 간접전략과 고갈전략 병행
라. 전쟁대비: 인민 중심의 삼위일체
4. 소결론
제2부 전통 시기의 군사사상
제4장 삼국시대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사상적 배경: 유교와 불교의 영향
나. 유교적 전쟁인식: 무력 사용 혐오
다. 현실주의적 전쟁인식: 불교의 영향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유교주의적 성격: 방어적·응징적 목적
(1) 방어적 목적
(2) 응징적 목적
나. 현실주의적 성격: 공세적 영토확장
다. 유교적 현실주의: 통일전쟁의 부재
라. 신라의 삼국통일: 의도하지 않는 결과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결성
(2) 계책의 활용
나. 직접전략 ①: 섬멸전략
(1) 기동전략: 포위섬멸 vs. 유인격멸
(2) 소모전략: 공성전 vs. 수성전
다. 직접전략 ②: 고갈전략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왕의 역할: 군 장악과 백성의 전쟁열정 확보 문제
나. 군의 역할: 상무정신 불구 군사적 천재성 부재
다. 백성의 역할: 전쟁열정의 한계
5. 소결론
제5장 고려시대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유교적 전쟁관의 왜곡: 문화적 편견
나. 현실주의적 전쟁관의 제약: 요동 및 만주 정벌의 한계
다. 전쟁의 종교화: 신적 요소의 투영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유교적 성격: 방어적·도의적 전쟁
나. 현실주의적 성격: 제한된 영토확장
(1) 영토 개념의 혼란
(2) 영토확장 추진의 한계
다. 정치적 목적의 와해: 군신의 이익 도모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전략: 균형보다 편승 추구
(2) 계책의 활용
나. 직접전략
(1) 고려-거란 전쟁: 견벽고수의 소모전략
(2) 고려의 여진정벌: 기동 중심의 섬멸전략
(3) 고려-몽골 전쟁: 해도입보와 산성입보의 고갈전략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왕의 역할: 군 장악 및 백성의 전쟁열정 자극
나. 군의 역할: 국가의 군대에서 개인의 군대로
다. 백성의 열정: 국가생존에서 각자도생으로
5. 소결론
제6장 조선시대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유교적 전쟁관: 무력 사용에 대한 혐오감
나. 유교주의에의 함몰: 생존보다 명분에 집착
다. 전쟁인식의 경솔함: ‘숭문억무’의 성향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유교적 성격: 응징 및 교화
나. 현실주의적 전쟁 목적: 대외정벌의 좌절
다. 정치적 목적의 와해: 왕과 붕당이익 추구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전략: 편승보다 균형
(2)계책의 활용
나. 직접전략
(1) 대마도 정벌: 소모전략에 의한 섬멸 실패
(2) 여진정벌: 기동전략에 의한 섬멸 실패
(3) 임진왜란: 소모전략에서 고갈전략으로
(4)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방어력 부재하의 소모전략과 고갈전략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왕의 역할: 왕 중심의 삼위일체 와해
(1) 왕권강화와 왕 주도의 전쟁대비
(2) 왕권약화와 전쟁대비의 실패
나. 군의 역할 붕괴
(1) 군사적 기반 와해
(2) 군사적 천재의 빈곤
(3) 지속적인 무기개발 실패
다. 백성의 역할: 전쟁열정의 한게와 가능성 모색
(1) 전쟁열정의 부재: 민심의 이반과 군역 회피
(2) 조선의 의병: 고려와 다른 양상
(3) 전쟁 주체로서의 백성 역할 발견
5. 소결론
제3부 근대 시기의 군사사상
제7장 구한말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평천하(平天下)’ 재인식 실패: 유교의 그림자
나. 혁명적 전쟁관: 동학혁명과 의병운동
다. 반근대적·퇴행적 전쟁관: 전쟁 방관 및 국내 혁명 진압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유교적 관점: 척사세력의 봉건질서 수호
나. 근대적 관점: 개화세력의 봉건질서 타파
다. 혁명적 목적: ‘타협’에서 ‘타도’로
라. 정치적 목적 부재: 일본의 전쟁 호응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전략: 균형전략의 실패
(2) 계책의 활용: 고종의 이중 외교 사례
나. 직접전략
(1) 서구 열강의 침략 대비: ‘해방론’과 양요
(2) 동학세력의 혁명전쟁전략: 소모적 섬멸전략의 한계
(3) 의병의 전쟁수행전략: 또 하나의 소모적 섬멸전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취약한 정부의 전쟁대비 한계
나. 군의 근대화 실패
(1) 군사제도의 혼란과 군의 분열
(2) 병역제도의 와해
(3) 신무기 도입의 한계
다. 백성들의 전쟁열정: 한국적 민족주의의 맹아
5. 소결론
제8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근대적 전쟁인식: 혁명전쟁으로서의 독립전쟁
나. 전근대적 요소의 잔존: 도덕적·윤리적 성격
다. 탈민족주의적 전쟁관: 세계평화론
2. 독립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독립에의 일치, 국체에의 갈등
나. 혁명전쟁의 목적: 일제의 타도를 추구했는가?
3. 독립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대일 연합전선 구축
(1) 초기 정부승인 외교의 실패
(2) 중국과의 대일 연합전선 형성의 한계
(3) 미국과의 대일 연합전선 구축의 한계
(4) 임시정부 승인을 위한 마지막 외교 노력의 실패
나. 직접전략
(1) 독립전쟁 노선 통합 실패: 준비론과 주전론의 갈등
(2) 독립전쟁 전략의 부재: 소규모 무장투쟁과 테러 공작의 한계
(3) 한국광복군의 참전과 국내진입작전 실패
4. 삼위일체의 독립전쟁대비
가. 정부의 역할: 전략적 리더십 부재
(1) 독립전쟁 전략방침의 문제
(2) 독립운동단체 결집 실패
나. 군의 역할: 전쟁수행 역량 부재
다. 국민의 역할: 전쟁열정의 부재
5. 소결론
제4부 현대의 군사사상
제9장 한국전쟁 전후 시기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전쟁에 대한 사유의 빈곤
나. 통일전쟁에 대한 인식 부재
(1) 평화통일에 대한 환상
(2) 북한의 혁명전쟁에 대한 이해 부족
(3) 전쟁에 대한 근거 없는 자신감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현실주의적 전쟁관?
나. 한국전쟁 초기 정치적 목적: 38선 회복에서 북진통일로
다. 중국군 개입 후 정치적 목적: 북진통일에서 현상 회복으로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전략: 연합국방에서 한미동맹으로
(2) 계책의 활용: 전략적 기만
나. 직접전략
(1) 전쟁에 대비한 군사전략의 차이점
(2) 초기 전쟁지휘체제의 와해
(3) 방어적 소모전략: 시간을 벌기 위한 축차적 지연전
(4) 공세적 기동전략: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 섬멸
(5) 소모전략으로 전환: 중국군 개입과 휴전협상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정부의 역할
(1) 정치적 목적의 혼란: 북한 위협 대비 소홀
(2) 전쟁에 대한 국민의 관심 유도 실패
나. 군의 역할: 전쟁승리 역량 부족
(1) 군사전략의 문제 \
(2) 국군의 지휘능력 및 전투수행능력의 한계
(3) 작전지휘권 이양
다. 국민의 역할: 전쟁열정의 한계
(1) 징병제 시행의 곡절
(2) 학도의용군과 소년지원병
5. 소결론
제10장 한국전쟁 이후의 군사사상
1. 전쟁의 본질 인식
가. 전쟁혐오의 전쟁관: 한국전쟁의 후유증
나. 반혁명으로서의 전쟁인식
(1) 북한의 전쟁인식: 대남 혁명전쟁
(2) 한국의 전쟁인식: 반혁명전쟁
다. 반혁명전쟁 인식의 확대: 베트남전 파병
라. 한국군 해외파병: 탈근대적 전쟁인식?
2. 전쟁의 정치적 목적
가. 국가방위에서 반격에 의한 통일로
나. 국익 확보: 베트남전 파병 사례
다. 유엔평화활동의 목적: 명분과 도의
3, 전쟁수행전략
가. 간접전략
(1) 동맹전략
(2) 북한의 계책: 주한미군 철수 유도
(3) 한국의 계책: 국력 압도를 통한 평화통일
나. 직접전략
(1) 한미연합방위전략: 소모적 형태의 방어전략 |
(2) 북한의 국지도발 대비: 소극적 대응의 한계 |
(3) 또 하나의 전쟁수행전략: 베트남전 대분란전 전략
4.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가. 정부의 역할: 국방건설과 국민의식 제고
(1) 자주국방 건설
(2) 국민의 반공의식 제고
나. 군의 역할: 전문성과 독자성 확보
(1) 전문성과 독자성의 제약 ①: 군의 정치화
(2) 전문성과 독자성 제약 ②: 작전통제권의 문제
(3) 베트남 전쟁에서 한국군의 독자적 지휘권 행사
다. 국민의 역할: 전쟁열정 제공
5. 소결론
제5부 한국적 군사사상 모색
제11장 한국의 군사사상 발전: 전통과 근대성의 조화
1. 전통과의 단절 문제
가. 한민족의 전통적 군사사상
나. 전통과의 단절
2. 근대성의 왜곡 문제
3. ‘한국적 현실주의 군사사상’ 모색
가. 전쟁의 본질 인식: 수단적 전쟁관 수용
나. 전쟁의 정치적 목적: 적극적 목적 추구
다. 전쟁수행전략: 간접전략과 직접전략을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
라. 삼위일체의 전쟁대비: 근대성 제고
제12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박창희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에서 군사문제연구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군사와 군사전략에 관심이 있으며 주요 논저로는『군사사상론』(2014, 공저),『군사전략론』(2013),『현대중국 전략의 기원』(2011), “Why China Attacks: Geostrategic Vulnerability and Its Military Intervention”(2008) 등이 있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에서 군사문제연구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군사와 군사전략에 관심이 있으며 주요 논저로는『군사사상론』(2014, 공저),『군사전략론』(2013),『현대중국 전략의 기원』(2011), “Why China Attacks: Geostrategic Vulnerability and Its Military Intervention”(200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