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중국과 북한의 국경(중·조 국경)을 이루는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와 단둥과 같은 국경 도시를 집중적으로 연구해온 인류학자 강주원의 2022년 신간이다. 전작들에서 저자는 수십 차례의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하여 흔히 빠질 수 있는 선입견들을 무너뜨리는 데에 큰 성과를 거뒀다. 이를테면 압록강과 두만강이 중립 수역을 이루어 양국에서 공유한다는 사실, 국경 도시 단둥을 무대로 한국인, 중국인, 조선족, 북한화교 등이 대규모 직·간접 무역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실, 남북 교류가 국제 무대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 들은 우리의 시각과 시야를 한층 더 확장해주었다.
저자는 코로나19 이후 압록강과 두만강에서 다시 임진강과 한강, 그리고 휴전선과 DMZ로 눈길을 돌려, 그동안 우리가 잘 몰랐거나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되짚어보고 이를 극복하면서 평화와 공존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휴전선의 본 모습, 군사분계선, 남방한계선, 민통선과 같은 다양한 선들, 임진강과 한강 하구의 중립 수역, 철조망과 평화의 십자가, 대성동 자유의 마을처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느끼지만 실상은 어렴풋하고 낯선 공간에 대해 속속들이 이야기를 꺼낸다.
Contents
머리말
2020년 코로나19 전후, 한반도 안과 밖을 기록하기 · 5
20년의 조금 익숙함과 2년의 너무 낯섦 사이에서 | 나에게 다가온 철조망들 | 두 질문의 답: 있음 혹은 없음
1부 한국 사회에 투영된 분단 그림: 평화는 상상화보다는 사실화일 때 와닿는다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에 바탕을 둔 상상력 · 27
남북 교류와 만남의 불시착 공간은? | 약 30년 전에도 이뤄진, 상상이 아닌 현실 | 미래가 아닌 남북 만남의 방식과 장면
로마에 간 평화의 십자가: DMZ 철조망으로 만들었다면! · 60
감동에서 물음표로 | DMZ 철조망과 해안 철조망 | 휴전선 말뚝으로 만든 평화의 십자가를 소망하며
2020년대 초반, 강변북로를 지나 자유로를 달리다 · 72
매번 새롭게 다가온 자유로 | 자유로 한강: 철조망과 평화 | 자유로 임진강: 철조망과 무언의 풍경 | 자유로 임진강 너머: 북한, DMZ, 한국을 구분하기
2부 같은 듯 다른 듯: 압록강 & 임진강
선입견과 편견을 넘어 · 105
다양한 선과 면 : 민통선, 남방한계선, 휴전선, 민북, DMZ | DMZ, 어디까지 가봤나? | 존재하지 않는 휴전선을 그려놓은 지도들 | 임진각 너머, 북한은 멀다 | 평화 곤돌라는 평화체험일까
그곳에도 삶이 있다 · 141
통일대교 민통선은 금지의 선이 아니다 | 두 개의 선(민통선과 남방한계선)을 일상적으로 넘나드는 사람들 | 민통선은 다양하다
현실에서 평화를 그리면서 누리자 · 164
자유로에 휴전선 시종점을 표시한 안내판이 있다면 | 같은 중립 수역: 한쪽은 함께 이용, 한쪽은 함께 금지 | 예전처럼 남북 중립 수역에서 발 담그고 과일을 먹자! | 남북이 함께 모내기하는 판을 꿈꾸며 | 오늘 도라산역에 갈까?: 서울-평양 열차 연결 이전에
3부 남북 교류와 만남의 공간, 중국 단둥: 공존과 공생이 일상에 스며들다
2019년에 낸 『압록강은 휴전선 너머 흐른다』: 이후를 기록하기 · 205
남북 교류와 만남의 달력을 만들다 | 그때 그 시절, 남북은 그렇게 살았다 |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서신교환: 빈칸 없음이 주는 무게감
코로나19 상황: 단둥 지인들이 전해온 소식들 · 229
북한 달력, 이메일 그리고 마스크와 방호복 | 남북 교류와 만남의 통계 범위는 어디까지 | 북한의 국경 봉쇄는 몇 년일까? | 2020년대 초반, 단둥엔 개성공단이 다섯 개가 넘는다
맺음말
2013년, 2016년, 2019년 그리고 2022년 기록을 마치면서 · 255
다시 찾아갈 압록강과 두만강, 그리고 또 달려갈 임진강과 한강 | 다섯번째 책과 또 하나의 약속을 다짐하면서
참고문헌 · 266
Author
강주원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2012)를 받았다. 2000년부터 중국 단둥과 중·조 국경지역(두만강·압록강)을 찾아가고 있다. 그곳에 살고 있는 북한사람·북한화교·조선족·한국사람과 관계맺음을 하며 국경에 기대어 사는 이들의 삶을 기록하고 있다. 북한과 한국 사회를 낯설게 보고 만나는 노력을 하고 한반도의 평화·공존에 대한 고민을 업으로 하는 인류학자의 길을 걸어가는 꿈을 키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웰컴 투 코리아』(2006, 공저), 『나는 오늘도 국경을 만들고 허문다』(2013), 『압록강은 다르게 흐른다』(2016) 등이 있다. 2012년에 재외동포재단 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2012)를 받았다. 2000년부터 중국 단둥과 중·조 국경지역(두만강·압록강)을 찾아가고 있다. 그곳에 살고 있는 북한사람·북한화교·조선족·한국사람과 관계맺음을 하며 국경에 기대어 사는 이들의 삶을 기록하고 있다. 북한과 한국 사회를 낯설게 보고 만나는 노력을 하고 한반도의 평화·공존에 대한 고민을 업으로 하는 인류학자의 길을 걸어가는 꿈을 키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웰컴 투 코리아』(2006, 공저), 『나는 오늘도 국경을 만들고 허문다』(2013), 『압록강은 다르게 흐른다』(2016) 등이 있다. 2012년에 재외동포재단 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