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 박은식 평전

유학자 겸곡 박은식
$21.60
SKU
97911876075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5/30
Pages/Weight/Size 152*225*17mm
ISBN 979118760752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 근현대 격동기의 거인

조선후기 유학자에서 항일 독립운동가로
근대 유학자이자, 임시 정부 대통령까지
― 청년 박은식의 생각과 인생


박은식은 격동기의 거인이었다. 황해도 시골 선비로 태어나 서울 언론계에서 필설을 드날렸고 중국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생애 말년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언론인, 활동가, 혁명가의 삶이었다. 그의 삶 자체가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이다. 인물에 관한 책은 아무래도 책의 지은이에 따라 빛깔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지은이는 박은식의 글을 직접 읽고 얻은 주관적인 체험에 기반해 글을 쓰고자 했다. 책의 내용은 따라서 박은식에 관한 기존의 친숙한 역사 지식, 곧 조선후기 실학에 기반한 민족주의자라는 고정된 역사상과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 근대는 유학의 황혼기라고 하지만 박은식처럼 유학자가 언론사 주필도 되고 정부 대통령도 되는 시기가 근대였다. 어느 의미에서 근대는 새로운 유학의 여명이었다. 박은식은 황혼과 여명 사이에서 어디쯤 위치하고 있을까.
Contents
제1부
시골 선비의 입신


제1장 황해도에서 유년기를 보내다
제1절 안개 속에 가려진 삶 021
제2절 출생과 가족관계 024
제3절 사회적 지위 027

제2장 경화학계에서 문학을 공부하다
제4절 신기영 031
제5절 홍승운 034
제6절 낙학의 전통 039
제7절 서울의 유력 가문 043

제3장 평안도에서 도학을 공부하다
제8절 영원의 산골짜기 047
제9절 박문일의 도학 050
제10절 평안도의 유학 전통 055

제4장 평안도관찰사의 도정을 돕다
제11절 벼슬길의 시작 060
제12절 민병석의 교육정책 063
제13절 평안도의 교육풍토 068
제14절 민병석의 문화사업 071

제5장 대한제국 고관의 문객이 되다
제15절 청일전쟁 075
제16절 서울 이주 080
제17절 민병석의 문객 084

제6장 황성에서 유학에 정진하다
제18절 자기 수양의 길 088
제19절 인민 고통의 자각 092
제20절 변혁 철학의 완성 097

제2부
교육자강의 길


제7장 서양 선교사의 신서적을 읽다
제1절 나이 마흔의 사상 변동 105
제2절 서양 선교사의 한역서학서 111

제8장 사범 교육의 현장에 서다
제3절 대한제국 초기의 행적 118
제4절 한성사범학교 교관 122
제5절 근대 유학의 자각 126

제9장 박지원 문집 간행에 참여하다
제6절 『연암집』과 『연암속집』 131
제7절 김택영과 김교헌 135
제8절 전병훈과 손정현 139

제10장 교육자강론을 정립하다
제9절 「흥학설」과 「종교설」 144
제10절 심사기약(心死氣弱) 149
제11절 자강과 유신 153
제12절 『학규신론』 157

제11장 언론계에 투신하다
제13절 지사 박은식 162
제14절 「애급사문답」 166
제15절 시일야방성대곡 169

제12장 사회단체에서 활동하다
제16절 대한자강회 174
제17절 서우학회 179
제18절 한·중의 교육자강 182

제13장 교육자강론을 재정립하다
제19절 사회의 반성 186
제20절 신도덕의 수립 191

제3부
역사가의 독립운동


제14장 서간도에 망명하다
제1절 태백광노 199
제2절 서간도 203
제3절 대종교 207
제4절 유근과 이건승 210

제15장 고조선·고구려·발해의역사를 쓰다
제5절 한국사 노래 214
제6절 『대동고대사론』 217
제7절 『동명성왕실기』와 『발해태조건국지』 221
제8절 『천개소문전』과 『명림답부전』 227

제16장 혁명의 땅 중국에 진입하다
제9절 『몽배금태조』 232
제10절 중국의 혁명 235
제11절 한·중 연대 239
제12절 『향강잡지』 243

제17장 한국의 통사를 쓰다
제13절 이병헌, 이승희, 강유위 249
제14절 통사(痛史)의 의미 256
제15절 자강, 인도, 혁명 259
제16절 중국 문인과의 교류 265

제18장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하다
제17절 신한혁명당과 「대동단결선언」 269
제18절 『한족공보』와 노인동맹단 272
제19절 대한민족대표와 『신한청년』 276

제19장 한국 독립운동의 혈사를 쓰다
제20절 통사(痛史)에서 혈사(血史)로 282
제21절 혁명의 전사(前史) 286
제22절 3.1의 세계사 292

제20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통령이 되다
제23절 우리 동포에게 고함 298
제24절 임시정부의 마지막 대통령 303

참고문헌 309
주석 324
연보 336
찾아보기 342
Author
노관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부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대한제국기 박은식과 장지연의 자강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로 모하실학논문상을 수상했다. 전통과 근대의 통합적 사유를 위해 분발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한국의 사상사, 지성사, 개념사, 지식사, 학술사이다.
지은 책으로는 《백암 박은식 평전》(2021), 《기억의 역전》(2016), 《고전통변》(2014) 등이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전환과 메타모포시스》(2021),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2017), 《한국의 근현대, 개념으로 읽다》(2016), 《민음 한국사: 19세기, 인민의 탄생》(2015), 《두 시점의 개념사》(2013),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개념의 힘》(2013) 등이 있다. 함께 번역한 책으로는 《신역 정조실록》(2019), 《음빙실자유서》(2017) 등이 있다.
최근의 관심사는 한국에서 사상사의 탄생, 한국인이 생각한 역사란 무엇인가, 한국 학계의 실학 만들기 등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부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대한제국기 박은식과 장지연의 자강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로 모하실학논문상을 수상했다. 전통과 근대의 통합적 사유를 위해 분발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한국의 사상사, 지성사, 개념사, 지식사, 학술사이다.
지은 책으로는 《백암 박은식 평전》(2021), 《기억의 역전》(2016), 《고전통변》(2014) 등이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전환과 메타모포시스》(2021),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2017), 《한국의 근현대, 개념으로 읽다》(2016), 《민음 한국사: 19세기, 인민의 탄생》(2015), 《두 시점의 개념사》(2013),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개념의 힘》(2013) 등이 있다. 함께 번역한 책으로는 《신역 정조실록》(2019), 《음빙실자유서》(2017) 등이 있다.
최근의 관심사는 한국에서 사상사의 탄생, 한국인이 생각한 역사란 무엇인가, 한국 학계의 실학 만들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