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리학의 형성과 심화

$43.20
SKU
97911875050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22
Pages/Weight/Size 163*234*36mm
ISBN 979118750506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선은 이학을 지배이념으로 성립한 주자학의 나라이다. 조선 주자학은 조선 전기에는 서경덕과 이언적에 의해 불교와 도교의 비판과 극복과정에서 발전을 하였고, 이어 이황과 이이를 통해 중국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새로운 주자학의 이론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조선 주자학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상사의 거시적 흐름 속에서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제1부에 실린 첫 번째 글은 주희의 대표적인 철리시인 재거감흥 시를 다루었다. 주희는 재거감흥 시에서 만세 심학의 도통을 제시했다. 그는 요 · 순 · 우탕 · 문왕 · 무왕 · 주공 · 공자 · 안자 · 증자 · 자사 · 맹자 · 정이의 도통을 읊었다. 또한 그는 춘추의 필법을 제시하고 있고, 심학의 핵심 내용인 경(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조의 주자학자들은 이 재거감흥 시를 주희가 도를 전한 글로 이해를 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고 주석을 하여 조선 주자학의 심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성리서의 하나로 생각하고 탐구하였다. 조선조 주자학자들은 이 재거감흥 시를 통해 요순 이래 전해온 만세 심학의 도통을 명료하게 이해하여 수용하였고, 주희의 의리론과 정통론을 받아들였고, 기호학계에서는 심과 기의 관계에서 심은 곧 기라고 주장하여 중국의 주자학의 심에 대한 이해와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이학적 이해의 측면을 보여주었다.

제2부에서는 조선조의 저명한 학자인 김굉필·이연경·조목·장현광·조경·박세당을 다루었다. 주자학의 정치 이념이 지배하는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순도자가 필요했다.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로 사화의 시대에 사도를 자임하여 문도를 모아 가르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당시까지의 사장 학풍과 결별을 선언하고 일상에 도가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강조하고 몸소 소학의 가르침을 실천하였다. 그는 일상에 도가 있다는 사실을 자신의 생활에서 보여주었고 그 도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순도의 모습으로 구현하였다. 그는 마지막 죽음에 임하여 부모로부터 받은 수염 한 올도 다쳐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수염을 거두어 물고 도를 위해 순교하는 순도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사장과 결별을 하고 도학을 선창하고 의리를 가르치고 실천하여 장차 16세기의 성학과 17세기 이후 풍미하는 의리 학풍의 선각자로서의 사명을 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조선 후기의 낙론과 호론의 학설과 학자들을 다루었다. 경기도 용인의 심곡서원과 한천정사 등에서 20여 년간 강학했던 이재나 양주의 석실서원에서 강학했던 김원행은 소학 교육을 특히 중시하였다. 이재와 김원행은 둘 다 기질(氣質)을 변화시키는 공부를 강조하였고, 기질을 변화시켜 성인(聖人)을 배우고자 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김한록은 송시열 · 권상하 · 한원진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였다. 그는 평생 심성(心性)에 대해 깊은 탐구를 시도하여, ‘인심(人心)’과 ‘허령(虛靈)’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하였다. 그는 김근행이 ‘인심(人心)’은 악(惡)에 흐르기 쉽고 악(惡)을 겸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하자, ‘인심(人心)’에서는 선(善)과 악(惡)을 거론할 수 없고 오직 ‘위(危)’라고만 말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인심(人心)’은 오직 ‘위(危)’하므로, 인간의 의식과 행위에 의해 선(善)으로 흐를 수도 있고 악(惡)으로 흐를 수도 있다고 보았다.
Contents
제1부 조선 주자학의 이해와 이학(理學) 전개의 두 구도
1장 조선조 재거감흥(齋居感興) 시의 이해와 그 이학적(理學的) 함의(含意)
1. 머리말 _ 21
2. 재거감흥(齋居感興) 시의 구성과 제가(諸家)의 해설 _ 24
3. 재거감흥 시의 이학적(理學的) 함의(含意) _ 51
4. 맺음말 _ 69
2장 조선 주자학(朱子學)의 이학적(理學的) 담론과 특성
1. 머리말 _ 71
2. 주리(主理) 중심의 주자학풍 _ 73
3. 이발론(理發論)과 그 전승 _ 86
4. 이통론(理通論)과 그 전승 _ 92
5. 조선 주자학의 특성 _ 102
6. 맺음말 _ 107

제2부 조선 이학(理學)의 형성과 유통
1장 김굉필(金宏弼)의 도학(道學)의 실상과 그 의미
1. 머리말 _ 111
2. 사장(詞章)과 도학(道學)의 분기 _ 113
3. 일상에서의 도학의 실상 _ 124
4. 도학의 의미와 위상 _ 135
5. 맺음말 _ 141
2장 이연경(李延慶)의 이학적(理學的) 삶과 사상
1. 머리말 _ 143
2. 효제(孝悌)를 실천한 삶 _ 145
3. 과욕(寡欲)과 청심(淸心)의 사상 _ 161
4. 사상의 전승과 현양 _ 168
5. 맺음말 _ 176
3장 조목(趙穆)의 언행(言行)과 학문성향
1. 머리말 _ 179
2. 조목의 삶과 언행 _ 181
3. 조목의 학문성향 _ 194
4. 맺음말 _ 207
4장 장현광(張顯光)의 구도(求道)의 공간과 도통의식(道統意識)
1. 머리말 _ 209
2. 청덕(淸德)의 삶과 구도(求道)의 공간 _ 211
3. 도학(道學)의 종지(宗旨)와 명목(名目) _ 227
4. 도통(道統)과 도통의식 _ 240
5. 맺음말 _ 263
5장 조경(趙絅)의 학맥과 학문성향
1. 머리말 _ 267
2. 17세기 전반의 조선 학계 _ 269
3. 조경의 학문성향 _ 285
4. 맺음말 _ 306
6장 박세당(朴世堂)의 삶과 그 사상의 신경향
1. 머리말 _ 309
2. ‘한인(閑人)’으로서의 삶 _ 311
3. 경전(經傳)에 대한 새로운 해석 _ 322
4. 노장(老莊)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평가 _ 327
5. 맺음말 _ 336

제3부 조선 이학(理學)의 심화 양상
1장 18세기 낙론(洛論)의 학풍과 사상의 계승양상
1. 머리말 _ 341
2. 낙론학계의 강학(講學)과 학풍 _ 344
3. 낙론 사상체계의 정립 _ 364
4. 사상경향과 계승양상 _ 375
5. 맺음말 _ 393
2장 황윤석(黃胤錫)의 학문생활과 사상경향
1. 머리말 _ 397
2. 황윤석 가문의 내력 _ 399
3. 황윤석의 학문생활 _ 405
4. 황윤석의 학문과 사상경향 _ 432
5. 맺음말 _ 463
3장 18세기 호론(湖論)의 학풍과 사상의 전승
1. 머리말 _ 467
2. 호론의 학풍과 심성설(心性說) _ 469
3. 호론 학설의 정설화(定說化)와 전승 _ 490
4. 맺음말 _ 507
4장 김한록(金漢祿)의 사상과 정치적 역정(歷程)
1. 머리말 _ 511
2. 가계와 생애 _ 513
3. 심설(心說)에 대한 신견해(新見解) _ 520
4. 정치적 이론(理論)과 역정(歷程) _ 531
5. 맺음말 _ 562
Author
권오영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한국사학 전공)로 있다. 저서로는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연구』,『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혜강 최한기』(공저),『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공저)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최한기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한주 이학의 전통과 그 사상사적 의의」,「19세기 영남학계와 면우 곽종석의 이학」,「백범 김구의 청소년기 사상과 애국활동」등 다수가 있다.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한국사학 전공)로 있다. 저서로는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연구』,『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혜강 최한기』(공저),『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공저)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최한기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한주 이학의 전통과 그 사상사적 의의」,「19세기 영남학계와 면우 곽종석의 이학」,「백범 김구의 청소년기 사상과 애국활동」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