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담론은 통일·북한 문제의 개괄적 이해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사회 변화를 설명하지도 또 이끌지도 못할 때가 더 많다. 개인의 삶과 사회 활동 나아가 사회의 변화는 로컬에서 추동되기도 한다. 체제적 변화가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경로도 로컬을 통해서일 때가 많다. 특정 로컬을 하나라도 숙지하고 있는 것이 통일 이전이든, 통일 과정이든, 통일 이후이든, 취업 활동이나 사회 활동의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기존 통일·북한 담론에서 관심도, 실용성, 객관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특정 공간을 통해 살펴본다. 실존 공간을 통해 통일·북한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사실에 충실한 담론을 형성하고자 한다. 특정 로컬 공간에서 숙지될 수 있고 또 개인 삶에 도움이 되며, 그리고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는 새로운 통일·북한 담론의 시안을 만들고자 한다.
Contents
서장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김재한(한림대학교)
1장[동서독 분단선] 분단국 접경지대의 갈등, 화해, 치유-고상두(연세대학교)
2장[시베리아횡단철도] 남·북·러 연결-김성진(덕성여자대학교)
3장[북·중 국경] 국경 지역 관리-강택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장[평양] 북한의 지배 체제-여현철(국민대학교)
5장[판문점] 남북 대화-배광복(대구가톨릭대학교)
6장[백두산] 자연재해, 급변 사태, 환경 협력-정기웅(한국외국어대학교)
7장[북한 숲] 남북한 환경 협력-엄태일(한림성심대학교)
8장[원산] 동해안 관광 협력-김범수(강원연구원)
9장[해주] 서해안 평화 번영 구상-황지욱(전북대학교)
10장[한반도 중앙] 분단·통일의 고중세사-정원주(한국교통대학교)
11장[한민족 마음] 편견과 동질성-이윤수(라온마음심리상담연구소)
Author
김재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다.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통일독일의 정치적 쟁점』, 2007.
“구 동독의 과거청산과 통일한국에 대한 시사점.” (2019).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다.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통일독일의 정치적 쟁점』, 2007.
“구 동독의 과거청산과 통일한국에 대한 시사점.” (2019).